[[분류:엘튼 존 노래]][[분류:2001년 노래]][[분류:2002년 싱글]][[분류:팝]][[분류:소프트 록]] [include(틀:엘튼 존)] ||<-2><#fff> [[파일:external/991.com/Elton+John+This+Train+Dont+Stop+There+Any+202325.jpg|width=100%]] || ||'''수록 앨범'''||[[Songs from the West Coast]]|| ||'''앨범 발매일'''||[[2001년]] [[10월 1일]]|| ||'''녹음 기간'''||{{{-1 [[2000년]] [[9월 18일]] ~ [[10월 12일]][br][[2001년]] [[1월 30일]] ~ [[2월 23일]], [[2월 27일]] ~ [[3월 2일]], [[3월]] ~ [[4월]]}}}|| ||'''녹음실'''||[[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첼로 스튜디오[br]로스앤젤레스 소니 스튜디오[br]로스앤젤레스 조니 유마 레코딩[br][[영국]] [[런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 ||'''장르'''||[[팝 음악|팝]], [[소프트 록]]|| ||'''싱글 발매일'''||[[2002년]] [[1월 14일]] {{{-3 (UK)}}}[br][[2002년]] [[1월 21일]] {{{-3 (US)}}}|| ||'''싱글 B면'''||[[Did Anybody Sleep with Joan of Arc]] {{{-3 (CD)}}}[br][[I Want Love]] (Live) {{{-3 (CD)}}}[br][[American Triangle]] (Live) {{{-3 (CD)}}}[br][[Philadelphia Freedom]] (Live) {{{-3 (CD)}}}|| ||'''재생시간'''||4:39|| ||'''작사가'''||[[버니 토핀]]|| ||'''작곡가'''||[[엘튼 존]]|| ||'''프로듀서'''||패트릭 레너드|| ||'''발매사'''||Rocket, Mercury|| [목차][clearfix] == 개요 == [youtube(Bx1wK_3NDzQ)] [[엘튼 존]]의 2001년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의 12번 트랙이자 두 번째 싱글이다. == 곡 구성 == 피아노로 조용히 시작하다가 밴드 연주, 관현악이 어우러져 감미로우면서도 애절한 분위기를 이끄는 발라드 곡이다. 조성은 내림가장조(Ab 장조)이고 절에서만 바장조(F 장조)로 전조한다. 가사는 중년 남성의 서글픈 이야기를 담았는데 엘튼 존에 대한 자전적인 곡이라고 해석되었다.[* Elton John: Fifty Years On: The Complete Guide to the Musical Genius of Elton John and Bernie Taupin, 135~136 페이지] 2001년 11월 26일 영국 런던의 도미니언 극장에서 열린 제73회 로열 버라이어티 퍼포먼스([[영국 왕실]]의 연례 문화행사)에서 이 곡을 부르기 앞서, 자신과 버니 토핀이 쓴 최고의 곡들 중 하나라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Fr71u1RkLB4|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2001년 11월 26일 제73회 로열 버라이어티 퍼포먼스)]]] 2000년 9월 18일과 10월 12일 사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첼로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곡들 중 하나이다. 백업 연주는 엘튼 존 밴드의 기존 멤버들이 맡지 않았고 《Songs from the West Coast》에서 프로듀싱 및 키보드 연주를 맡은 미국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패트릭 레너드가 섭외한 세션 뮤지션들이 연주를 맡았다. 백 보컬에는 [[게리 발로우]]를 포함하여 [[엘튼 존 밴드]]의 기타리스트 데이비 존스턴과 드러머 나이절 올슨, 백 보컬리스트였던 쿠디산 카이(개명 이전 본명 나탈리 잭슨)이 참여했다. 2000년 첼로 스튜디오에서는 패트릭 레너드가 섭외한 뮤지션들과 함께 앨범을 작업했지만 2001년 1월 30일부터 2월 23일까지 로스앤젤레스의 소니 스튜디오에서 녹음 일정을 다시 잡았을 때는 엘튼 존이 데이비 존스턴과 나이절 올슨을 불렀다. 두 사람은 여러 곡들에서 백업 연주와 백 보컬을 맡았다.[* Songs from the West Coast 라이너 노트[br][[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1970년대 초기 앨범들과 1995년 정규 26집 [[Made in England]] 등 여러 앨범들에 참여한 영국의 편곡자 폴 벅마스터가 관현악 편곡을 맡은 곡들 중 하나이다. 리드 보컬은 2001년 2월 27일과 3월 2일 사이 영국 런던의 타운하우스 스튜디오에서 녹음했고, 관현악은 그해 4월 19일과 4월 20일 첼로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Songs from the West Coast 라이너 노트] 문법상 제목에 "Don't"가 아니라 "Doesn't"를 써야 하지만, 영어권 노래 가사에서 거칠고 투박한 느낌을 강조하거나 가사의 리듬을 맞추려는 의도에서 "Don't"가 자주 사용된다. 다만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곡들 중에서 1992년 정규 24집 [[The One(음반)|The One]]의 수록곡 [[The One(음반)#s-8.7|When a Woman Doesn't Want You]]라는 예외도 있다.[* [[http://english.stackexchange.com/questions/17973/the-grammaticality-of-that-dont-impress-me-much|The grammaticality of “that don't impress me much”]]] == 발매 == 2001년 8월 20일(미국)과 9월 24일(영국) 발매한 《Songs from the West Coast》의 리드 싱글 [[I Want Love]]에 이어 후속 싱글로 발매했다. 영국에서는 2002년 1월 14일 싱글로 발매했고 미국에서는 그해 1월 21일 발매했다.[* [[http://www.eltonjohnworld.com/index.php/archives/37-2002-01-january/94-traindelaynewsingledelayed|Train Delay! New single delayed]][br][[https://web.archive.org/web/20211001133829/https://worldradiohistory.com/Archive-RandR/2000s/2002/RR-2002-01-18.pdf|2002년 1월 18일자 Radio & Records (25 페이지)]]] 영국 [[UK 차트]] 24위, [[빌보드]]의 하위 차트인 어덜트 컨템퍼러리 10위, 네덜란드 83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B면 곡이 없는 프로모션 싱글로 발매했지만 영국에서는 추가 수록곡들을 포함한 CD 싱글로 발매했다. CD 싱글에는 《Songs from the West Coast》를 작업했을 때 녹음한 발라드 곡 [[Did Anybody Sleep with Joan of Arc]]를 포함하여 [[I Want Love]]와 [[American Triangle]]의 실황, 1975년 곡 [[Philadelphia Freedom]]의 실황을 수록했다. 모든 곡들의 실황은 2001년 9월 9일 영국 런던의 [[BBC]] 라디오 시어터 공연에서 가져왔다.[* [[https://www.discogs.com/ko/master/129334-Elton-John-This-Train-Dont-Stop-There-Anymore|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싱글들 - 디스콕스]]] 싱글 표지는 《Songs from the West Coast》 앨범 아트의 전체 사진 중에서 왼쪽에 있는 사진을 편집해서 사용했다.[* [[https://1.bp.blogspot.com/-mWl-ByA-8l4/XofTAROPtkI/AAAAAAAAUzw/R_MHjKRXtRIBms8HdAIZwsMVtfeniV-RwCLcBGAsYHQ/s1600/booklet1-1.jpg|Songs from the West Coast 전체 사진 (1)]][br][[https://1.bp.blogspot.com/-bU01OYniWBQ/XofTDM6QBrI/AAAAAAAAUz4/sVEB55CXVCg_ndKZof41hAYUEyLrp7GRQCLcBGAsYHQ/s1600/booklet1-2.jpg|Songs from the West Coast 전체 사진 (2)]][br][[https://1.bp.blogspot.com/-OgBnZTG7g7I/XofTB0rrg9I/AAAAAAAAUz0/1vRn8LCnOsYLHYL7LxGix5WqNG6uVUWHgCLcBGAsYHQ/s1600/booklet1-3.jpg|Songs from the West Coast 전체 사진 (3)]][br][[https://1.bp.blogspot.com/-6bizNe4V6hM/XofTETvW4oI/AAAAAAAAUz8/-YBZC67xfm4-OoiMqtsEL5rKLwJEkeH4gCLcBGAsYHQ/s1600/booklet1-4.jpg|Songs from the West Coast 전체 사진 (4)]]] 영국의 사진가 및 감독이자 "I Want Love" 뮤직비디오 감독 샘 테일러우드가 촬영했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2018년 헌정 앨범 [[Restoration]]에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로잔느 캐쉬와 에밀루 해리스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h8O-4F4vko|로잔느 캐쉬/에밀루 해리스 - 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2018)]]] == 뮤직비디오 == [youtube(SsuHAn54wPs)] 뮤직비디오는 [[저스틴 팀버레이크]]가 출연하여 엘튼 존 역을 맡았고, 미국의 사진가이자 감독 데이비드 라샤펠이 뮤직비디오 제작을 맡았다. 데이비드 라샤펠은 《Songs from the West Coast》의 세 번째 싱글 [[Original Sin]]의 뮤직비디오도 제작했다. 뮤직비디오는 공연을 앞둔 엘튼 존의 1970년대 전성기의 일상을 담았다. 엘튼 존은 카메라를 향해 포즈를 취하고, 동료 연예인들을 반갑게 맞이한다. 그중 버니 토핀을 닮은 사람으로부터 골든디스크를 받아 사진을 찍는 장면도 있다.[* Elton John: The Biography, 367 페이지] 슈퍼스타의 무성의한 듯한 모습과 웃음, 명성 뒤에 숨겨진 슬픔을 생생하게 되살린 자전적 뮤직비디오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무대 백스테이지에 몰려들어 반갑게 맞이하는 팬들이 사인을 요청하는 장면에서 엘튼 존은 한 명에게서 사인을 하지만, 1971년부터 1998년까지 엘튼 존과 일했던 전직 매니저이자 [[퀸(밴드)|퀸]]의 매니저이기도 했던 존 리드에 의해 제지되었다. 이 뮤직비디오에서 존 리드 역은 [[피위의 플레이 하우스]]의 주인공 '피위 허먼' 역으로 유명한 미국의 배우 폴 루번스가 맡았다.[* [[https://www.imdb.com/title/tt6779492/|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뮤직비디오: IMDb 정보]]] 2019년 5월 개봉한 전기 영화이자 뮤지컬 영화 [[로켓맨(영화)|로켓맨]]의 초기 기획 당시 저스틴 팀버레이크를 이 곡의 뮤직비디오처럼 그대로 엘튼 존 역으로 섭외하고 [[월트 디즈니 픽처스]] 배급으로 제작하려고 했으나, 데이비드 라샤펠이 감독 직을 거절하면서 무산되었다. 이 영화는 개봉하기 앞서 수년간 제작 난항을 겪었다.[* [[https://variety.com/2019/film/news/rocketman-elton-john-biopic-premieres-cannes-1203212483/|Elton John’s Husband-Producer Says ‘Rocketman’ Captures ‘Madness’ of Singer’s Early Life]]] == 참여자 == * 보컬, 작곡, 피아노 - 엘튼 존 * 작사 - 버니 토핀 * 베이스 - 폴 부시넬 * 드럼 - 맷 체임벌린 *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데이비 존스턴, 폴 부시넬, 쿠디산 카이, 게리 발로우 * 관현악 편곡 - 폴 벅마스터 * 프로듀싱 - 패트릭 레너드 == 가사 == >You may not believe it >당신은 아마 믿지 않겠지 >But I don't believe in miracles anymore >하지만 나는 이 기적들을 더 이상 믿지 않을 거야 >And when I think about it >나는 생각할 때마다 >I don't believe I ever did for sure >내가 확신했는지 믿지 않을 거야 >All the things I've said in songs >모든 것들은 노래에서 말했어 >All the purple prose you brought from me >당신이 내게 가져왔던 모든 미사여구 >Reality's just black and white >현실은 그저 흑과 백 >The sentimental things I'd write >내가 썼던 감성적인 것들 >Never meant that much to me >내게 중요한 의미는 아니었지 > >I used to be the main express >나는 한때 앞만 보고 달렸어 >All steam and whistles heading west >모든 증기와 경적은 서쪽으로 향하고 있었어 >Picking up my pain from door to door >칸칸마다 나의 고통을 싣고 >Riding on the storyline >이어지는 생각에 >Furnace burning overtime >용광로는 과열되었어 >But this train don't stop, >하지만 이 기차는 멈추지 않아, >This train don't stop, >이 기차는 멈추지 않아, >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이 기차는 더 이상 멈추지 않아 > >You don't need to hear it >당신을 들을 필요가 없어 >But I'm dried up and sick to death of love >하지만 나는 사랑의 죽음에 관해 지치고 아팠어 >If you need to know it >당신이 알아야 한다면 >I never really understood that stuff >나는 그런 것들을 이해하지 못하겠어 >All the stars and bleeding hearts >모든 별들과 괴로워하는 마음 >All the tears that welled up in my eyes >눈에서 왈칵 솟았던 모든 눈물들 >Never meant a thing to me >내게 아무런 의미도 없어 >Read 'em as they say and weep >그들이 흐느끼고 말한 대로 읽어줘 >I've never felt enough to cry >나는 절대 울고 싶지 않았어 > >When I said that I don't care >내가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을 때 >It really means my engine's breaking down >나의 기계가 고장 났다는 것을 의미했어 >The chisel chips my heart again >나무 부스러기는 마음속으로 들어갔고 >The granite cracks beneath my skin >감추었던 강인함이 갈라지고 >I crumble into pieces on the ground >나는 산산조각 나 버릴 거야 == 라이브 ==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공연들에서 가끔씩 불렀다.[* [[https://www.setlist.fm/stats/songs/elton-john-63d6be6f.html?song=This+Train+Don't+Stop+There+Anymore|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라이브 목록]]] * [[https://www.youtube.com/watch?v=03amzn_Q1E8|2001년 7월 17일 튀르키예 이즈미르]] * [[https://www.youtube.com/watch?v=-6kLk4hGpd0|2001년 9월 9일 BBC 라디오 시어터]] * [[https://www.youtube.com/watch?v=Uc7p5XuxpuQ|2001년 9월 26일 BBC 탑 오브 더 팝스]] * [[https://www.youtube.com/watch?v=0BnylFTiojU|2001년 11월 13일 일본 도쿄]] * [[https://www.youtube.com/watch?v=FjZHA6uaWNs|2001년 12월 3일 〈Live by Request: Elton John〉]] * [[https://www.youtube.com/watch?v=3AAULQpHHAo|2001년 12월 14일 미국 필라델피아]] * [[https://www.youtube.com/watch?v=ZgU9dRRbe54|2002년 1월 25일 래리 킹 라이브]] * [[https://www.youtube.com/watch?v=SVaJOKfSxs0|2002년 10월 31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https://www.youtube.com/watch?v=ayPU4U0XG8E|2002년 12월 1일 영국 런던]] *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관현악을 맡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lwPhIiYKfs4&t=4843s|2004년 6월 28일 영국 버밍엄]] *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 심포니 오케스트라가 관현악을 맡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qQSOzXcmDx4&t=4980s|2004년 7월 18일 미국 뉴욕]] *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관현악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