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b22222, #b22222)" {{{#white '''There's a Riot Goin' On의 주요 수상 이력'''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대 콘셉트 앨범)]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99,연도2=2020,순위2=82)]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4)]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1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61)]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216, 연도=1998, 순위2=978,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140)]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FFFFFF><:><-5>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FFE400><:> Santana III ||<#FFE400><:> {{{+1 → }}} ||<#FFE400><:> [[There's a Riot Goin' On]](2주) ||<#FFE400><:> {{{+1 → }}} ||<#FFE400><:> Music || }}} || ||<-2><#000000> '''{{{#ffffff {{{+1 There's a Riot Goin' 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re's a Riot Goin' On.jpg|width=100%]]}}} || || '''발매일''' ||[[1971년]] [[11월 20일]] || || '''녹음일''' ||[[1970년]] - [[1971년]] || || '''장르''' ||[[펑크(음악)|펑크(Funk)]], [[:분류:사이키델릭 소울|사이키델릭 소울]], 프로그레시브 소울, 딥 펑크(Funk) || || '''재생 시간''' ||47:33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슬라이 스톤 || || '''스튜디오''' ||레코드 플랜트 || [목차][clearfix] == 개요 == [[1971년]] [[11월 20일]] 발매된 미국의 [[Funk]] 밴드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의 5집 앨범. == 상세 == 4집 앨범 Stand!의 대성공 이후 큰 명성을 얻게 된 밴드는 내외적으로 여러 문제를 겪으며 위기를 겪게 된다. 먼저, 스톤 형제와 래리 그레이엄의 갈등이 있었고, 에픽 레코드는 더 많은 판매량을 요구했고, [[흑표당]]은 밴드의 백인 멤버였던 그레그 에리코와 래리 마티니, 매니저이자 백인이었던 데이비드 카프래릭을 쫓아내라고 요구했다. 더군다나 밴드의 리더였던 슬라이 스톤은 약물 중독에 빠지게 된다. 또한 베트남전의 살육과 흑인 민권운동으로 인해 격렬해지는 인종갈등은 밴드의 감정상태를 예민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내외적 상황이 반영된 결과, 본작에서는 전작 Stand!에서 보여준 경쾌한 음악과는 다른, 마약의 영향이 짙게 느껴지는 음울하고 주술적인, 미국의 병폐와 슬라이의 정신적 붕괴를 낱낱이 토로하는 좌절과 분노의 펑크 음악을 들려주게 된다. 이와 같은 배경을 통해 발매된 There's a Riot Goin' On은 발매 직후 평단과 대중 양쪽 모두에게 극찬을 받았다. 앨범은 [[빌보드 200]] 1위에 올랐으며, 앨범의 싱글인 "[[Family Affair(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Family Affair]]" 역시 대히트를 치며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다. 평단에서 역시 이 앨범을 밴드 커리어의 최정점일뿐만 아니라 펑크 및 대중음악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친 클래식으로 평가하고 있다. 발매 이전에 미리 기획되어 있던 앨범의 제목은 수록곡 이름이기도 한 "Africa Talks To You" 였으나, [[마빈 게이]]의 [[What's Going On]]의 발매 이후, 이에 대한 대답으로서 제목을 There's a Riot Goin' On으로 바뀌었다. == 트랙 리스트 == === Side A === ==== Luv N' Haight - 4:01 ==== [Youtube(hoPJZ4UMm7E)] ==== Just Like a Baby - 5:12 ==== [Youtube(OoHlLXaxGec)] ==== Poet - 3:01 ==== [Youtube(4iHZ9vAp6a4)] ==== [[Family Affair(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Family Affair]] - 3:0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amily Affair(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Youtube(xag5RKD0VHk)] ==== Africa Talks to You 'The Asphalt Jungle' - 8:45 ==== [Youtube(Xp2vQkBXiPI)] ==== There's a Riot Goin' On - 0:00 ==== [Youtube(aBPgdzY-SFA)] === Side B === ==== Brave & Strong - 3:28 ==== [Youtube(DD7443z6Xog)] ==== (You Caught Me) Smilin' - 2:53 ==== [Youtube(cfljDrx9Tho)] ==== Time - 3:03 ==== [Youtube(u9Eq8hacV9c)] ==== Spaced Cowboy - 3:57 ==== [Youtube(XcQV0YK_mkc)] ==== Runnin' Away - 2:51 ==== [Youtube(b7bvIIgQIJU)] ==== Thank You for Talkin' to Me Africa - 7:14 ==== [Youtube(uOlRX_MibFw)] [[분류: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1971년 음반]][[분류:Funk]][[분류:프로그레시브 소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