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투지스/음반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efba27 '''The Stooge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2, 순위=185,연도2=2020,순위2=488)]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95)]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2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96)]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89)]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10)] ---- }}} || ||<-2><#342115> '''{{{#efba27 {{{+1 The Stoog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 stooges_1969.jpg|width=100%]]}}} || || '''발매일''' ||[[1969년]] 8월 5일 || || '''녹음일''' ||[[1969년]] 4월 || || '''장르''' ||[[프로토 펑크]], [[개러지 록]] || || '''재생 시간''' ||34:33 || || '''곡 수''' ||8곡 || || '''프로듀서''' ||[[존 케일]] || || '''스튜디오''' ||더 히트 팩토리 || || '''레이블''' ||[[엘렉트라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미국]]의 록밴드 [[스투지스]]의 데뷔 앨범. 1969년 8월 5일 발매되었다. 펑크 록/개러지 록의 역사를 연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상세 == 이전에는 없었던 파격적이고 거친 라이브로 이름을 알음알음 알려가던 스투지스가 엘렉트라 레코드와 계약해서 발매한 앨범이다.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멤버였던 [[존 케일]]이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현대음악과 클래식을 전공했던 존 케일의 성향 때문에 라이브보다는 점잖아졌고 징글벨, [[비올라]]같은 악기가 삽입되어 다양한 사운드를 보여준다. 때문에 거친 사운드를 좋아하는 정통 펑크 팬들에게는 아쉬운 점으로 꼽히는 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대중음악 신에서는 들을 수 없었던 거칠고 파격적인 성향의 곡들로 가득 차있다. [[지미 헨드릭스]]나 [[핑크 플로이드]]의 [[Interstellar Overdrive]]같은 곡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발매 당시에는 판매량도 적었고 평론가들에게도 외면받았지만 현재에는 [[펑크 록]]이 가야할 길을 제시한 명반으로 평가받는다. == 트랙 리스트 == * 1. '''1969''' * 의미 없이 흘러가 버린 1년에 대한 노래이다. '작년에 난 21세 였고 올해 난 22세라네', '할 일 없는 새로운 해' 등 의 가사가 인상적이다. * 2. '''[[I Wanna Be Your Dog]]''' * 스투지스의 가장 유명한 노래 중 하나. 제목 그대로 아름다운 여성의 개가 되고 싶다는 변태적인 내용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중간에 징글벨이 연주되는 부분이 있다. [[소닉 유스]], [[데이비드 보위]], [[너바나(밴드)|너바나]] 등 수많은 후대의 아티스트들이 커버했다. * 3. '''We Will Fall''' * 10분에 이르는 음산하면서 주술적인 대곡. 존 케일이 비올라를 직접 연주했다. * 4. '''No Fun''' * 중서부에서의 지루하고 따분한 삶을 묘사한 곡. [[조니 캐쉬]]의 Walk the Line을 모델로 했다고 한다. 해체 직전이던 1978년 1월 14일 [[샌프란시스코]] 공연에서 [[섹스 피스톨즈]]가 [[https://www.youtube.com/watch?v=3K3uAlyNL5o|마지막으로 연주한 곡]]이다. * 5. '''Real Cool Time''' * 6. '''Ann''' * 기타리스트 론 애쉬튼과 드러머 스콧 애쉬튼의 어머니에 대한 노래라고 한다. * 7. '''Not Right''' * 8. '''Little Doll'''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69년 음반]][[분류:셀프 타이틀 앨범]][[분류:프로토 펑크]][[분류:개러지 록]][[분류:스투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