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The Star-Spangled Banner/영상)] [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
<-5><#13264E> '''{{{#fff 휘트니 휴스턴의 싱글}}}''' || || ''[[All the Man That I Need]]'' [br] (1990) || → || ''' ''The Star-Spangled Banner'' '''[br](1991) || → || ''[[Miracle(휘트니 휴스턴)|Miracle]]''[br](1991) || || ''[[Fine]]'' [br] (2000) || → || ''' ''The Star-Spangled Banner'' '''[br](2001) || → || ''[[Whatchulookinat]]''[br](2002) || ||||
{{{+2 '''The Star-Spangled Banner'''}}} || ||||<#fff> {{{#!wiki style="margin:-5px -11px" [[파일:whitney_ssb_cd_front.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01년판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whitney_ssb_cd_front_2001.jpg|width=100%]] }}}}}}}}} || || '''수록 앨범''' ||'''-'''[* 싱글만 발매됨] || || '''발매일''' ||'''1991년 2월 12일''' [br] '''2001년 9월 26일'''^^재발매^^ [br] 2021년 1월 27일^^재발매^^[* 휘트니의 공연 30주년을 기념하여 스트리밍 싱글로 재발매됐다.] || || '''아티스트''' ||'''[[Whitney Houston]]''' || || '''길이''' ||'''2분 15초''' || || '''장르''' ||'''[[컨템퍼러리 R&B|R&B]] · [[팝 음악|팝]]''' || || '''작사''' ||'''Francis Scott Key''' || || '''작곡''' ||'''John Stafford Smith''' || || '''프로듀서''' ||'''John Clayton · Ricky Minor''' || || '''B-Side''' ||"[[America the Beautiful]]" || || '''녹음 시기''' ||[[1991년]] [[1월 27일]] || || '''레이블''' ||Arista Records || ||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width=100]]]] ||'''6위 (피크) / 27주 차트인''' || ||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11,080,000'''[* 2023년 8월 9일 기준] || ||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100]]]] ||'''4073만 회'''[* 2022년 9월 10일 기준][* '91년 [[슈퍼볼]] 국가 제창 퍼포먼스 영상의 조회수이다. 공식 뮤직비디오 등은 없다.] || [목차] == 개요 == [[1991년]]에 최초로 발매된 [[휘트니 휴스턴]]의 싱글. 이후 [[2001년]] [[9.11 테러]] 직후에 다시 발매되었다. == 상세 == [[1991년]] 당시 진행 중이었던 [[걸프전]]에 참전한 군인들을 위해 녹음된 자선 싱글이다. 원래는 발매가 예정되어 있지 않았는데, 1월 27일 [[슈퍼볼 XXV]]에서의 국가 퍼포먼스가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킴에 따라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최초로 발매되었을 때 모든 수익금은 'American Red Cross Gulf Crisis Fund(미국 적십자사 걸프 위기 기금)'에 기부되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재발매됐을 때도 100만 달러의 수익을 벌어들였는데, 이 역시 'The New York Firefighters 9/11 Disaster Relief Fund(뉴욕 소방관들의 9/11 테러 구호 기금)'과 같은 곳에 전액 기부되었다. == 성적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 '91 [[슈퍼볼 XXV]]에서의 퍼포먼스 이후 대중의 폭발적인 반응이 터져나왔으며, 이에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싱글은 불티나게 팔렸다. RIAA로부터 발매 2개월 만에 '''골드 인증'''(50만 장 판매)를 받았으며, '01년 '''1×플래티넘 인증'''(100만 장 판매 인증)을 받았다. 싱글이 발매된 이후 [[1991년]]에 [[빌보드 핫 100]]에서 최고 순위 '''20위'''를 기록했다. [[1968년]] 이후로 최초로 국가가 빌보드 싱글차트에 진입함과 동시에, [[빌보드 핫 100]]차트에서 국가의 종전 최고순위를 경신하는 기염을 토했다.[* [[1968년]]에 Jose Feliciano(호세 펠리치아노)의 국가 버전이 차트인했다.] [[9.11 테러]] 이후 싱글이 재발매되었을 때는 빌보드 '''6위'''까지 올라갔다. 이는 '''국가가 [[빌보드 핫 100]]에서 Top10을 기록한 최초/유일의 사례'''가 되었고, 이 싱글은 휘트니 휴스턴 최후의 빌보드 Top10 히트곡이 되었다. 또한 이때 '빌보드 Hot Singles Sales'에서[* 실물 싱글 판매량만을 집계하여 순위를 내는 차트이다.] '''1위'''를 기록했다.[* 이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한 휘트니의 곡은 "[[I Will Always Love You]]"와 "[[Exhale (Shoop Shoop)]]". 이 기록만 보더라도 당시 임팩트가 얼마나 강했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91년에 16주, '01년에 11주를 차트인하면서 총 '''27주''' 간 빌보드 싱글차트에 차트인했다. 이는 '''휘트니의 싱글 중 4번째로 오랜 기간 동안 차트인'''한 기록이다.[* 1위가 29주 차트인의 "[[I Will Always Love You]]", 2위가 28주 차트인의 "[[My Love Is Your Love(싱글)|My Love Is Your Love]]" · "[[Heartbreak Hotel(휘트니 휴스턴)|Heartbreak Hotel]]"] 성적을 종합하여 보면, '''역대 가장 성공한 국가'''라고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실물 싱글 100만 장 판매에 빌보드 최고순위 6위, 27주 차트인 등의 성적은 웬만한 중대박급 규모의 히트 싱글 성적이기 때문. === [[빌보드 핫 100]] 성적 === == 오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bkWuVUkPmY)]}}}|| || '''공식 오디오''' || == 가사 == || {{{#000000 '''The Star-Spangled Banner'''}}} || ||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 ==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_lCmBvYMRs)]}}}|| || '''[[1991년|{{{#373a3c 1991년}}}]] [[1월 27일|{{{#373a3c 1월 27일}}}]] [[슈퍼볼 XXV|{{{#373a3c 슈퍼볼 XXV}}}]]에서의 라이브''' || '''휘트니 휴스턴의 예술성과 영향력을 상징하는 공연이다.''' 3/4박자에서 4/4박자로 편곡된 국가를 '딱 한 번' 듣고 녹음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곡을 완벽하게 표현해냄으로써 무수한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마지막 부분의 가사 "free"에 넣은 두성 애드립에 드러난 천재적이고 감각적인 곡 해석력 역시 찬사를 받았다. 뿐만 아니라 이 당시 절정에 달하던 그의 보컬 기량 역시 극찬을 받으면서 '''휘트니 휴스턴 최고의 라이브 퍼포먼스'''로 꼽힌다.[* 아무리 못해도 Top3안에 랭크한다.] 또한 이 공연은 거의 모든 설문에서 '''역대 최고의 미국 국가 퍼포먼스'''로 꼽히며,[* 아무리 못해도 역대 국가 퍼포먼스 Top3에 랭크한다.] 이 점 때문에 휘트니가 국가를 부르고 난 뒤부터 모든 여가수들이 국가를 부를 때 휘트니의 버전을 참고한다. 퍼포먼스 이후 사람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폭발적'''이었다. Arista Records에 싱글 구매 문의가 쇄도했으며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빌보드 핫 100]]에 진입을 했다. '''[[휘트니 휴스턴]]의 상징과도 같은 공연'''으로 자리잡았으며 휘트니 휴스턴 관련 뉴스에서 줄기차게 자료화면으로 활용되었고, 그녀가 사망했을 때에도 기념영상 중 한 부분으로 들어갔다. 현재까지도 두고두고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고 있는 퍼포먼스이다. 총 3800만 뷰를 기록하면서 [[유튜브]]에 올라온 국가 제창 공연 중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나쁜쪽으로 압도적인 화제성을 자랑하는 [[퍼기]]의 [[2018년]] 국가 제창 공연도 2200만 뷰를 기록 중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M9-DONjnTc)]}}}|| || '''[[1991년|{{{#373a3c 1991년}}}]] [[3월 3일|{{{#373a3c 3월 3일}}}]] HBO's Welcome Heroes''' || [[걸프전]]이 끝나고 참전 용사들이 돌아온 후에 개최된 [[HBO]]의 Welcome Heroes 공연에서 이 곡을 공연했다.[* 정확히는 '91년 [[슈퍼볼]] 공연 버전] == 여담 == * 도시전설급 여담으로, 당시 그녀가 향한 곳이 [[뉴욕 자이언츠]] 벤치 쪽이라 기가 그쪽으로 모여 자이언츠가 그 기를 받아 우승했다는 [[카더라]]가 있다. * 이 당시가 [[밀리 바닐리]] 파동 직후라 립싱크에 민감했던 시기였었고, 휘트니의 슈퍼볼 국가 퍼포먼스도 립싱크 논란이 불거졌다. 휘트니 측에선 립싱크를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아무래도 슈퍼볼이라는 무대의 특성상 아무리 집음을 잘해도 실제 공연에서의 음량을 담보할수 없는 환경에, 당시 걸프전의 여파가 있던 공중파 방송의 특성과 무대의 무게때문에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만큼 립싱크라기보단 일종의 사전녹음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몇달 후, 위에도 링크된 Welcome Home Heroes 공연에서 라이브로 훌륭하게 소화해내서 라이브로 못부를 것이라는 의심을 없애버렸다.] * 휘트니 휴스턴 전기영화에서도 등장한다.[[https://youtu.be/pSateXXVmoQ|영상]] [[분류:휘트니 휴스턴]][[분류:1991년 노래]][[분류:1991년 싱글]][[분류:2001년 노래]][[분류:2001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6위 노래]][[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