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 스포일러)] [include(틀:Cytus/ChapterA)] |||||||| '''The New World'''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10.png|width=240]] || ||<:>작곡||||||||<:>[[Cranky]]|| ||<:>BPM||||||<:>75|| ||<:>연주 시간||||||||<:>4:57|| || ||<:>EASY||<:>HARD|| ||<:>레벨||<:>1||<:>1|| ||<:>노트 수||<:>1||<:>1|| ||<:>특이사항||||||||<:>'''이지, 하드 레벨 1[br]노트 1개'''|| Cytus의 스토리를 담은 음반 ALIVE의 마지막 곡이다. ~~근데 가장 먼저 항목이 작성되었다~~ Cytus 6.0 업데이트를 통해 수록,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선택 방법은 챕터 10 대문의 이지/하드 서클을 클릭. ALIVE 수록곡들 모두 고퀄리티의 음악을 자랑하기 때문에 취급이 특별할 수밖에 없는데, 이 곡의 경우 그 취급이 ALIVE 곡들 중에서도 가장 특별하다. 이 곡은 사이터스 스토리의 마지막을 장식하기 때문에 '''엔딩 크레딧'''이 BGA 중간에 뜨며 장장 5분에 걸친 엔딩 크레딧 및 스토리의 마지막을 다룬 BGA를 느긋하게 감상할 수 있다. 엔딩 크레딧에 약간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작곡가 쪽의 문제가 많았었는데 [[Twenty One]]의 작곡가 Qrabit가 '''Qraqbit'''(...)로 써져 있다든지~~[[KONMAI|RAYRAK]]~~, 3R2, [[onoken|Ani]] 등 몇몇 작곡가가 빠져있었다. 이 문제는 현재 6.1.0 버전에서 수정되었다. 그리고 정말 마지막, CYTUS라는 글자를 중심으로 서클 3개가 돌아가다가 그 마지막 순간에 '''노트 하나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그 노트를 치면 '''게임 클리어.''' 사이터스 전곡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노트가 하나밖에 없다.''' 그래서 이지, 하드 패턴 모두 '''1레벨'''이다. 이 하나밖에 없는 노트 때문에 깔끔하게 치고 TP 100까지 따내며 개운하게 사이터스의 스토리를 마무리하거나 퍼펙을 치긴 쳤는데 TP 70이 나오거나 실수로 굿이나 배드가 뜨거나 방심하다 놓치는 등 '''노트 하나로 유저들의 멘탈이 붕괴되느냐 마느냐'''가 결정되기도 한다. 사실 스크롤 속도가 답답할 정도로 느려서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이 또한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다시하기다.[* 사실 콤보 점수 시스템으로 인해 굿이 뜨면 630000, 배드가 뜨면 270000점이 되어 Fail이 뜰 수밖에 없다! ] 오랜 시간의 기다림 끝에 나오는 하나의 노트를 느린 스크롤 상태에서 실수로 치는 일은 빈번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노트도 분명 곡을 끝마치는 순간 정확한 싱크로 나타나는 노트이다. 실수하면 점수 혹은 TP가 훅 내려가겠지만 다시 올리기란 어렵지 않다. --5분을 다시 손놓고 기다리고 있는게 지루할 뿐-- 몇 판씩 반복해서 힘겹게 올리는 다른 곡들보다도 어렵다는 등 이곡을 승격화(?)하는 발언은 실제로 많은 유저들의 눈총을 받고 있다. 몇 번을 해도 점수가 안 오른다면 본인이 애초에 판정 공략을 잘못하고 있는 것이다. '''곡이 어려운 게 절대 아님을 명심하길 바란다.''' 하드 난이도 중 가장 쉽다는 점을 이용해서 플레이 스토어 도전 과제인 하드 밀마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으니 참고. 진짜 마지막으로, 사이터스의 스토리의 마무리를 장식하는 곡인 만큼, 정말 이 곡을 플레이하고 싶다면 사이터스 전곡을 통틀어서 '''가장 마지막으로 플레이할 것을 추천한다.''' 그 마지막 노트를 치는 순간 게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동을 다른 곡보다 먼저 선택했을 때보다 몇 배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Q_YNVMFqgy0|이 곡 하드 TP 100을 끝으로 Cytus 전곡을 TP 100 완료한 영상]] [[분류:Cytus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