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tlt로고.png|width=5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드리뷩탐스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예전 아이콘 ]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tlt옛날프사.jpg|width=96%]]}}}}}}}}} || || '''채널명''' ||The Living Tombstone[* '''더 리빙 툼스톤''', 직역하면 '''살아있는 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이니셜로 'TLT'라고 부른다. 과거 프로필에도 'TLT'라고 쓰여있었다.] || || '''본명''' ||요아브 란다우[br]Yoav Landau || || '''출생''' ||[[1991년]] [[4월 4일]] ([age(1991-04-04)]세) || || '''가입날짜''' ||[[2011년]] [[5월 22일]] || || '''구독자''' ||603만명[*기준 [[2022년]] [[8월 30일]].] || || '''누적 조회수''' ||약 18.4억회[*기준] || || '''소속사''' ||Screenwavemedia || || '''국적'''[* 복수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링크''' ||[[https://www.youtube.com/user/TheLivingTombsto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LivingTombston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https://www.facebook.com/TheLivingTombston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soundcloud.com/tltombstone/|[[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The Living Tombstone.jpg|align=center&width=700]] [[https://youtu.be/zN46BzHG08s|실제]][[https://youtu.be/fxauVt-fcmM|얼굴]] --[[잭 멧]] 이랑 닮았다-- [[이스라엘]] 출신의 유튜브 음악가. 일반적으로는 원곡이나 다른 뮤지션의 곡을 리믹스 해서 올리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각종 게임 또는 애니 패러디 음악을 짓는 것으로 유명하다. [[브로니 뮤지션]]으로 먼저 알려졌으며 가장 유명한 브로니 뮤지션이기도 하다. 특히 대표작 [[Discord(음악)|Discord]]의 경우 포니 2차 창작 영상 가운데 처음으로 1000만 재생을 돌파한 영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2014년뒤로 더이상 포니 창작물을 만들지 않는데, 활동을 계속하면서 해즈브로와의 법적인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해서 그렇다고. 이후 [[프레디의 피자가게]]의 2차 창작곡으로 훨씬 더 유명해졌으며 현재 가장 재생수가 높은 곡인 [[https://youtu.be/l18A5BOTlzE|Five Night's at Freddy's 1 Song]]의 조회수는 ''' 3억회'''이다. 이는 리빙 툼스톤의 채널 뿐만 아니라 유튜브에 존재하는 '''모든 FNaF 2차 창작 영상들을 통틀어서''' 가장 높은 조회수다. 일반적으로 자신이 올린 곡의 mp3내려받기주소를 같이 올리는데, iTunes 등에 유료로 출시된 곡은 다운링크가 없거나 일반 음질로 올라와있다. 고음질로 듣고 싶다면 [[아이튠즈]]에서 구매하자. --아니면 [[Spotify]] 구독을 끊자.-- [[2018년]] [[4월 11일]] 유튜브 구독자수가 300만을 넘었다. [[12월 10일]] 누적 조회수가 10억을 넘었다. 2019년 7월 29일 자신이 OST 제작에 참여한 공포 게임 'In Sound Mind'를 만들고 있다는 소식과 티저 영상을 올렸다. [[https://www.youtube.com/watch?v=m8A-2cKYqWo|#]] == 작품목록 == >※ 한 작품을 가지고 여러 곡을 만들었을 경우 시리즈 작품에 넣으며 대표곡만 보이기 영상으로 놔두고 나머지는 링크처리 한다. 한 작품에 한 곡만 있을 경우 단일 작품에 넣는다. === 시리즈작품 === ==== {{{#blue BLUE}}} vs. {{{#red RED}}}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LT_Logo(BV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6bceb, #86bceb, #86bceb, #86bceb, #eb8f8f, #eb8f8f, #eb8f8f, #eb8f8f)" '''{{{#blue,#0000ff BLUE}}} vs. {{{#red,#ff0000 RED}}}'''}}}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5-WT4DlkvgpXt_FlNT0jXQOUh9hDcIv1|블루]]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5-WT4DlkvgoxsI6t9GaIIA-8Mw_rRQ2L|레드]] TLT의 [[더비 매치]]식 시리즈. 한 샘플을 기반으로 서로 상반된 성향의 리믹스를 다룬다. 블루는 청아한 부드럽고 가벼운 성향을 중점으로 둔다면, 레드팀은 정열적인 [[하드코어]][[매니악]]스타일로 대응되는 형태다. 서로 상반된 양과 음같은 대립 구도를 다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색깔을 구분해뒀으며, 항상 왼쪽 위에 해당 색상 스타일을 표시해 둔다. 공통적으로는 [[전자음악]]이자 [[댄스]]음악이지만, 각기 나타나는 성향은 곡마다 매번 다른 편. 객관적으로 다뤄본다면 [[딥 하우스]] VS [[하드코어 테크노]]. 실제로는 블루는 대중적인 성향이 강하고, 레드는 [[매니아]]부류들을 위한 스타일의 성향이 강해서 접근하는 차이가 다르다. 그래서 블루쪽의 조회수가 더욱 많은 편이다. 최초의 시도는 [[https://www.youtube.com/watch?v=D-UmfqFjpl0|Dog of Wisdom]]이라는 원본을 기준으로 만든 리믹스였다. 참고로 원본이 만들어진지 약 1달만에 만들어진 리믹스다. 사용된 원본 및 샘플은 다음과 같다.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6bceb, #86bceb, #86bceb, #86bceb, #eb8f8f, #eb8f8f, #eb8f8f, #eb8f8f)" '''{{{#blue,#0000ff BLUE}}} vs. {{{#red,#ff0000 RED}}}'''}}} || || '''[[Dog of Wisdom]]''' || [[https://youtu.be/2LOmFBBq4T0|[[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sqJDbe9A36c|[[파일:tltred.png|width=25]]]] || 슬기의 개, 겨루기시리즈처음의 원본. || || '''[[Squid Melody]]''' || [[https://youtu.be/Rmea5ET_n9g|[[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SabrsZiRFYI|[[파일:tltred.png|width=25]]]] || 오징어메들리, [[스플래툰]]을 주제로 다룬 곡. 처음으로 원본이 없는 본샘플로 만든 곡이다. 보컬담당은 요아브 란다우(Yoav Landau). 원본을 보면 알겠지만, 목소리만 따로 남아있는 배경음판이 없는 샘플링이다. || || '''[[Globglogabgalab]]''' || [[https://youtu.be/2VePeXzGup0|[[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UYJaSo9o8g4|[[파일:tltred.png|width=25]]]] || 글롭글로갑갈랍 리믹스. [[밈(인터넷 용어)]]에 따르면, 2013년에 공개된 어린이영화인 스트로윙스키와 신비한 집(Strawinsky and the Mysterious House)에서 발굴된 드립이며, 조잡한 삼차원그래픽으로 만든듯한 괴생명체가 스스로를 글랍글로갑갈랍이라 소개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영상이다. 오리지널 원본은 음악이 있지만, 원작자가 mr을 제거한 버전을 내놓으면서 이 샘플을 이용해 만들었다. || || '''[[Basics in Behavior]]''' || [[https://youtu.be/weZKm1kTrpc|[[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g3Z3OIls68w|[[파일:tltred.png|width=25]]]] || 행동의 기본, [[발디의 수학교실]]을 주제로 다룬 곡. 스플래툰 다음으로 원본이 없는 오리지널 샘플 두번째. 보컬은 [[OR3O]] BLUE 버전의 경우 1년만에 조회수가 약 '''3400만'''을 돌파하면서 프레디시리즈다음으로 조회수가 높은 원곡이 되었다. || || '''[[I Don't Know What Sex Is]] Remix''' || [[https://www.youtube.com/watch?v=IyqAiDBgXNg|[[파일:tltblue.png|width=25]]]] || [[파일:tltred.png|width=25]] || 샘과 빌([[Sam & Bill]])의 난 성교가 뭔지 몰라([[I Don't Know What Sex Is]])라는 노래를 리믹스한 곡이다. 블루인데도 다른 곡의 레드 버전과 분위기가 비슷하다. 근데 이 곡의 레드버전은 현재까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 || '''[[Pikachu's Lament]]''' || [[https://youtu.be/HNVkgMTEzAg|[[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HCnWfCRFZpI|[[파일:tltred.png|width=25]]]] || 피카츄의 애도. 노래소리는 Sam & Bill. 블루버전보다 레드버전이 조회수가 더 높다. || || '''[[Right Now]]''' || [[https://youtu.be/whTddNXphGE|[[파일:tltblue.png|width=25]]]] || [[https://youtu.be/8ZSN56ghPig|[[파일:tltred.png|width=25]]]] || 곧바로. [[델타룬]]의 인물 수지를 다룬 곡. 노래소리는 담셀은 우울해(Damsel is Depressed), 에미 존스(Emi Jones), 그리고 [[샘 해프트]](Sam Haft). 레드버전의 경우 곡에 참여한 Omnipony의 [[소아성애|불미스러운 사건]] 때문에 영상이 일부 공개로 전환되었다. ||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PfMb50dsOk, width=560, height=315)]}}}|| || [[Discord(음악)|Discord]] || 원래 브로니 뮤지션이였던 만큼 곡이 '''총 48개'''나 되므로 전체 곡 목록은 [[https://www.youtube.com/watch?v=hnmVVG7LIHU&list=PL5-WT4DlkvgpwQ5Icc-bUxrO321WV2MI1|링크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xPfMb50dsOk|Discord (Remix)]] * [[https://www.youtube.com/watch?v=hKAB91trmbg|Pinkie's Brew (Remix)]] * [[https://youtu.be/Gyfl7FJjkKM|Nightmare Night (Remix)]] * [[https://www.youtube.com/watch?v=2okSis_wtls|Smile Song (Remix)]] * [[https://youtu.be/JRx70YbJ1OY|One Trick Pony (Remix)]] * [[https://www.youtube.com/watch?v=FvJOwD9u4AM|Rainbow Factory (Remix)]] * [[https://www.youtube.com/watch?v=kd6e_ZfTyqI|Good ol' Days feat. Mic The Microphone and Jackle App]]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18A5BOTlzE, width=560, height=315)]}}}|| || Five Nights at Freddy's Song || The Living Tombstone의 곡중 가장 인기가 많고 조회수도 압도적으로 높은 시리즈. 모든 곡이 리믹스가 아니라 직접 만든 오리지날 곡이다. FNAF 1편을 주제로 한 'Five Nights at Freddy's Song'은 최초의 FNaF의 2차 창작곡이기도 한데, 조회수 1억회를 넘기며[* 2020년 12월 26일 기준으로 'Five Nights at Freddy's Song'의 조회수는 '''2억회'''이고, FNaF 3를 주제로 한 'Die in a Fire'는 1억 3천만회이다. 그리고 2020년에는 'The Man Behind the Slaughter' 밈의 부흥으로 FNaF 2를 주제로 한 "It's Been So Long" 노래가 다시 뜨면서 1억뷰를 넘겼고, 2022년 5월에는 FNaF 4를 주제로 한 "I Got No Time"이 1억회를 넘기면서 결국 FNaF 시리즈의 팬메이드 곡 중 조회수 1억 이상인 곡을 4개나 갖게 되었다.] The Living Tombstone의 주가를 크게 상승시켰다. 그 이후에 나온 곡들도 6천만~1억 사이의 높은 조회수를 얻으면서 사실상 공식 주제가 취급 받는중. 특히 [[스콧 코슨|제작자]]가 능력을 인정해주기도 했다. 원래는 4편부터는 만들지 않겠다고 했었으며 실제로 아무리 기다려도 FNAF 4의 곡은 나오지 않았는데, 어느날 갑자기 업로드 되었다.[* 4가 올라온 이유 중 하나가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s-9.2.1|무개념 빠들의 강요]]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음원도 2분 46초대로 짧은데다 보컬영역보다 간주영역이 더 넓다.] 4편 이후에도 만들지 않겠다고 3, 4편의 영상을 설명을 통해 재차 언급했으나 이후 FNAF SL의 곡이 올라오면서 총 5편이 되었다. 그리고 이후 6년만에 '''[[FNaF SB]]를 주제로 한 곡이 올라오면서 6편이 되었다.''' * [[Five Nights at Freddy's 1 Song]] - [[Five Nights at Freddy's|FNaF 1]][* 이 동영상 좌측 하단을 보면 배터리가 점점 줄고 0%가 되면 사무실이 암전되는 원작 고증까지 있다.] * [[It's Been So Long]] - [[Five Nights at Freddy's 2|FNaF 2]][* 2020년 통칭 The man behind the slaughter라는 밈으로 재조명되고있다. 설명해보자면 걍 아무 생물, 심지어 지구나 휴대폰(...)을 보라색으로 칠해둔 뒤 [[퍼플가이|살인자]]라 부르는 밈 [[https://youtu.be/Eummqb_zf7Y|밈 모음집]][[https://youtu.be/7NkuKVGxWmI|밈 모음집 2]] [[https://youtu.be/LAKBwrodHg8|밈 영상중 하나]]][* 2020년 5월 11일, 밈이 유행한 덕분인지 드디어 조회수 '''1억을 돌파했다!''' [[https://twitter.com/LivingTombstone/status/1259620863650918400?s=19|원작자인 리빙 툼스톤이 이에 관한 트윗을 남겼다.]] 또한 공교롭게도 이 날은 미국 현지 시간 기준으로 '''어머니의 날'''이다.] [* 하지만 스토리가 제대로 정리가 안되었을때 만들어진 곡이라 그런지 공식 스토리와는 다른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The Puppet]]이 골든프레디의 어머니라던지(...) 참고로 이 설정은 당시에 2차 창작에서 자주 쓰이던 설정이었고, 현재에도 2차 창작물에서 간간히 보이긴 한다.)] * [[Die In A Fire]] - [[Five Nights at Freddy's 3|FNaF 3]] * [[I Got No Time]] - [[Five Nights at Freddy's 4|FNaF 4]][* FNAF 1 곡의 가사를 조금 느리게 한 후 FNAF 4 곡의 반주에 입히면 FNAF 1이랑 거의 똑같다. Geometry Dash의 Allegiance라는 익스트림 데몬에서 사용한 곡이다.][* 이후 2022년 5월 '''1억회 조회수를 돌파했다.'''] * [[https://youtu.be/kXMwZNRiPe0|I Can’t Fix You]] - [[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FNAF SL]][* [[Crusher-P]]와 같이 작곡했다.강한 빛이 나오니 조심하자. 마지막은 사람마다 섬뜩할수 있으니 주의.] * [[This Comes From Inside]] - [[FNaF SB]][* 다른 노래들과 달리 잔잔한게 특징. 중간에 나오는 남성의 보컬은 '''[[Five Nights at Freddy's 1 Song]]에서 사용된 바로 그 보컬이다.'''][* 공교롭게도 툼스톤의 프레디 시리즈 6번째 노래인데 6년 후 나왔고, 6명의 애니메이터가 뮤비를 담당하였다.] * [[https://youtu.be/dHlpa5utQzQ?si=-O_nlFia_Phml_wO|Join Us For A Bite Remix]] - FNaF SL[* [[JT Music]] 원곡의 리믹스] ==== [[컵헤드]]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Npx69OOp8, width=560, height=315)]}}}|| || Floral Fury || * [[https://youtu.be/b-Npx69OOp8|Floral Fury]] * [[https://youtu.be/8zfvc5fT2eM|Clip Joint Calamity]] * [[https://www.youtube.com/watch?v=UJ4EVpFWvr0|Inkwell Isle One]] === 단일 작품 === * 오리지널 곡 * [[No Mercy]] - [[오버워치]]를 주제로 한 곡. 해당 문서 참고. * [[https://youtu.be/7pA8hZqXWHY|1000 Doors]] - [[Spooky's Jump Scare Mansion]] 곡. BSlick와 [[Crusher-P]]와 협업한 곡이다. [[1000 doors]]문서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eaK5_eJRzmA|Collecting Cookies]] - [[Cookie Clicker]] 곡. * [[https://www.youtube.com/watch?v=eM3LnNjAZh0|Tom's Dog]] - [[asdfmovie]]5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182y2vS_Yi4|Report, Report, Report!]] - [[Among Us]] 곡 * [[https://www.youtube.com/watch?v=5BbQdlP4PaU|Mineturtle]] * [[https://www.youtube.com/watch?v=jNiCaFnOKFs|Fundead Theme]] - [[Eddsworld]]의 Fundead 에피소드 중 나오는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n3DfLpdhXkg|Goose Goose Revolution]] - [[Untitled Goose Game]] 곡. 참고로 아래 팬곡과 부른 사람이 같다. * [[https://www.youtube.com/watch?v=DTbfw8_SMmI|Alastor's Game]] - [[해즈빈 호텔]]의 팬 곡. [[알래스터]]를 중심으로 한 노래이다. 본 작품의 인기 덕분인지 올려진지 2달만에 '''1000만회를 달성했다!''' 참고로 이 영상의 여파 때문인지, 이 이후로 나오는 노래들의 조회수가 100만회 대에 몰려있는 걸 볼 수 있다. * [[https://youtu.be/lOL4uJGaIxk|Memory]] - [[킹덤 하츠 시리즈]]의 2차창작 노래. 평상시 올리는 노래들과 달리 매우 잔잔해 팬들을 놀라게 했다. * 리믹스 * [[Spooky Scary Skeletons]] - 항목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346m3ByAXyw|Bendy and the Ink Machine Remix]] - [[Bendy and the Ink Machine]]의 2차 창작곡 리믹스. * [[https://youtu.be/nI26a2pDxGk|Don't Tattle On Me Remix]] - 호러게임 [[Tattletail]]의 2차 창작곡 Don't Tattle On Me의 리믹스. * [[https://youtu.be/K3m3_7RoGZk|Epoch]] - Savlonic의 곡 Epoch의 리믹스. * [[https://youtu.be/V-mrCVDL9G4|Bonetrousle Remix]] - [[언더테일]]의 [[파피루스(언더테일)|파피루스]]의 테마곡 Bonetrousle의 리믹스 버전. * [[https://youtu.be/1bZtCt_Siro|Jump Up, Super Star! Remix]] -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주제곡 [[Jump Up, Super Star!]]의 리믹스. * [[https://youtu.be/i92AZxL6Wl4|ECHO 【Gumi English】 Remix]] - [[Crusher-P]]가 작곡한 [[VOCALOID 오리지널 곡]] [[ECHO]]의 리믹스. * [[My Ordinary Life]] - 항목 참고. * [[https://youtu.be/vWltUi1zXWM|The Ghostbusters Theme]] - Ray Parker Jr.이 부른 [[고스트버스터즈]] OST 리믹스. === 오리지널 곡 === 최근에는 2차 창작이나 리믹스가 아닌 순수 오리지널 곡들도 올리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Zj0JOHJR-s&list=PL5-WT4Dlkvgp_AJsjM8ZiixbkaNiVattH|오리지널 곡 목록]] * [[https://youtu.be/kMX3PHut8Hs|Cut the Cord]] - 한 디자이너가 동경하던 스타급 디자이너에게 거절당한 후[* 스타 디자이너는 사실상 자신의 왕국이나 마찬가지인 커다란 공방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 공방의 '''벽을 부수고''' 들어온 주인공이 자신의 디자인 도안을 보여줬다가 쫓겨난다.] 복수심을 품고 경쟁 디자이너로 성장하면서 서로를 견제하는 이야기. 점점 그 스케일이 커지다 결국 전쟁을 벌이게 되고, 결국 상대방을 꺾었지만 동경했던 사람을 자신의 손으로 무너뜨려버린 후환과 똑같이 변해버린 자신을 자각하고 후회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T3hTwgDy_Ww|Drunk]] - 과음을 소재로 한 곡.[* 2020년 It's Been so long랑 Alaster's game와 함께 2019년 이후로 TLT의 인기가 조금씩 사라질려고 할때 인기를 더욱 늘려준 곡이다.] 처음에는 사회활동의 일환이니까, 오랜만에 본 친구들이니까, 이번주는 힘들었으니까 등으로 술이 늘어가는 것에 자기 합리화를 하던 화자가 점점 술에 잡아먹히는 과정이 묘사된다.[* 영상에서 술 그 자체이자 악마적인 존재를 표현하는 듯 한 얼굴들이 ''''딱 한 잔만!(Just one drink!)'''' ''''딱 두 잔만!(Just two drinks!)'''' 하고 추임새를 넣는다. 화자는 7잔째부터 숫자를 제대로 세지 못해 여덞잔이라 읊조리다 필름이 끊기고 병원 근처에서 돌아왔음에도 열두 잔 째를 다시 마시기 시작한다.] 사이키델릭한 애니메이션의 영상미도 감상 포인트. 영상 시작부에 과도한 음주를 다루는 이미지가 쓰였음을 알리는 동시에 책임감 있는 음주를 권고하는 메세지가 있다. 3절의 각종 술을 들이붓는 파트에서 [[소주]]가 등장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mPhY1OQkISg|Sunburn]] - 한 소녀가 오토바이를 타는 학생을 보고 자신도 저들처럼 되겠다며 마음을 먹으며 상상하는 이야기다. * [[https://youtu.be/hJdhReIKXpQ|Love I Need]] - 채널 설립 9주년을 기념해 올린 영상이다.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나오는 해골 캐릭터는 현재 리빙 툼스톤의 프로필에 있는 그 해골 캐릭터이다. 뮤비에서 여러 게임을 패러디한 것이 나오는데[* 젤다의 전설에, 파이널 판타지 7에, 심지어 '''미연시'''까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항상 체력(♡)은 밑바닥이고, 추가로 체력을 얻을 기회는 항상 사라지거나 본인이 주저하거나, 잘못된 길로 들거나 직접 날려먹는 모습을 연출한다. 가사와 연결시켜서 생각하면 누군가에게 의지하지 못하는 (♡를 얻을 수 없는) 상태여서 힘겹고, 그 상황을 개선시키려고 목표를 쫒아 달리고 노력하나(게임 플레이를 계속하나) 결국 지쳐서 주저앉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 [[https://youtu.be/aJgOdZN4HcA|Chosen]] * [[Hit The Snooze]] - 2020년대 초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인한 [[코로나 블루]], 즉 우울증을 주제로 한 곡. == 디스코그래피 == === 앨범 === ==== zero_one ==== ==== zero_one:reoloaded ==== * zero_one의 리패키지. ==== In Sound Mind - Original Soundtrack ==== * 본인이 참여한 공포게임의 사운드 트랙 == 여담 == *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베가스]], [[FL Studio]], [[포토샵]]이라고 한다. * 예전에 koolfox 라는 채널을 운영했었다. 주로 team fortress 2 영상을 올렸다. * [[타라 스트롱]]과 [[히브리어]](?)[* TLTS와 달리 타라 스트롱은 [[이디시어]]를 나중에 배웠다고 하며, 주고 받은 트윗이 히브리 문자로 된건 확실한데 히브리어인지 이디시어인지 당장 확인이 어렵다.]로 트윗을 주고 받는 사이다. * [[브로니]] 유저로 원래는 포니 시리즈에서 리믹스 활약을 펼치면서 툼스톤 전용 캐릭터도 따로 존재하는 편이다. [[http://knowyourmeme.com/photos/1036747-the-living-tombstone|#]] * 툼의 묘한 미소를 짓는 짤방을 통해 만든 [[http://knowyourmeme.com/memes/tombs-face|툼의 얼굴]]이라는 밈이 존재하는데, 원래는 밈으로 등재되려 했으나 사실 한 브로니 팬이 억지로 만든 [[억지 밈]]으로 판명되어 밈 명단에 제명(Deadpool)되었다. 이 당시가 2012년, 초창기 브로니 리믹스 활동 중에 어쩌다가 제작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생긴거라 단순한 해프닝으로 끝났다. 현재는 툼스톤 밈 문서에 참고 사항으로만 넣어진 상태. [[http://knowyourmeme.com/memes/people/the-living-tombstone|#]] * [[ECHO]]로 유명한 보컬로이드 프로듀서 [[Crusher-P]]와 친분이 있으며 i can't fix you처럼 같이 작업한 곡도 몇개 있다. * 영어 [[보컬로이드]]인 [[CYBER SONGMAN]]의 데모곡에 참여했다. [[https://youtu.be/rcNbIoLh89o|#]] * 놀랍게도 [[맥큐뭅]]의 팬이기도 하다. overkill 비트세이버때부터 봤으며 die in a fire 비트세이버편에서는 고맙다는 코맨트까지달았다. * 상술했듯이 [[FNaF 시리즈]] 노래가 인기가 많은 만큼 무개념 빠들의 노래를 더 만들어달라는 강요가 상당한 편이였다. 이외에도 특정 음악 활동을 강요하는 이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제발 그런 요구는 하지 말자'''. 음악 영상을 제작하는 게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영상에선 음악 뿐만 아니라 각종 애니메이션과 특수효과를 편집하는 게 얼마나 [[노가다]]인지는 영상 제작하는 이들은 잘 알 것이다. * 최근 업로드가 뜸해진 이유를 밝혔는데 자기 노래중 일부가 소속사 [[WMG]]에서 [[클레임]]이 들어왔기 때문. 다른곳으로 소속사를 이동할 예정이라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TLT, version=50)] [[분류:미국의 남성 유튜버]][[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이스라엘의 음악 프로듀서]][[분류:이스라엘의 작곡가]][[분류:이스라엘계 미국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1991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