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e26632 '''The infamou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순위=369,연도=2020)]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57)]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28)]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 순위=34)]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The Infamous)] ---- }}} || |||| '''{{{+1 ''The Infamous''}}}[br]디 인페이머스'''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25c92211a1744a4d8a2d7854dd1d5fae.webp|width=100%]]}}}|| || '''발매일''' ||[[1995년]] [[4월 25일]] || || '''녹음일''' ||[[1994년]] ~ [[1995년]] || || '''장르''' ||[[동부 힙합]], [[붐뱁]][br]하드코어 힙합, [[갱스터 랩]] || || '''재생 시간''' ||66분 51초 || || '''곡 수''' ||16곡 || || '''프로듀서''' ||[[Mobb Deep]], Matt Life, Schott Free, [[큐팁|The Abstract]] || || '''레이블''' ||Loud & RCA || [목차][clearfix] == 개요 == >'''I got you stuck off the realness, we be the infamous''' >'''내가 너를 현실에서 벗어나게 했어, 우리는 악명 높은 사람들이야''' >---- >[[Shook Ones (Part II)]] 中 1995년 Loud, RCA 레코드에서 [[Nas|나스]], [[큐팁]] 등의 아티스트의 참여와 함께 발매된 [[맙 딥]]의 정규 앨범. == 상세 == '''동부 힙합을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이자 맙딥 커리어 최고의 앨범으로,''' 90년대 동부 특유의 드럼 중심 비트를 수용하면서도 한 발 더 나아가 어두운 분위기를 극대화했다. [[AllMusic]]과 [[피치포크 미디어]]는 이 앨범에 만점을 매겼다. 뉴욕의 그림자를 보여주는 가사와 딱딱한 비트는 잊을 수 없는 맙 딥 특유의 음악을 만들었고 사실상 하드코어 힙합을 재정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사는 여자, 갱스터, 마약 등 흔히 말하는 갱스터 힙합을 뿌리로 하면서도 프로듀서인 하보크와 프로디지의 래핑이 더해져 맙딥 특유의 무게감 있는 트랙들이 구성되었다. 이는 3집 Hell on earth에서 더 강해진다. 하지만 마냥 하드코어한 트랙들만 있는 건 아니고 재즈 힙합의 대명사인 큐팁이 프로듀싱해서 톡톡 튀는 느낌의 "Drink Away the Pain", "Temperature's Rising", "Give Up the Goods" 같은 트랙들 덕분에 완급조절이 잘 되어있는 편이다. 큐팁의 프로듀싱 능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 이 앨범의 백미는 맙딥의 마스터피스인 "Survival of the Fittest" 와 "Shook Ones (Part II)". 무게감을 갖춘 비트가 담담한 갱스터랩을 만나면 어떤 포텐이 터지는지 제대로 보여주었다.[* 이 둘은 맙딥 유튜브에서 조회수가 가장 높기도 하다.] Shook Ones Pt 2 의 비트는 영화 [[8마일]] 하이라이트에 쓰이기도 했으며, '''힙합 역사상 최고의 비트'''를 꼽을 때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곡이다. [[빌보드 200]] 중 15위에 랭크하는 등 상업적으로 성공한 앨범으로 골드 인증을 받았다. 발매 당시부터 지속적인 찬사를 듣고 있는 힙합 앨범이기도 하며 [[우탱 클랜]]의 ''[[Enter the Wu-Tang (36 Chambers)]]'', [[Nas|나스]]의 ''[[Illmatic]]'', [[노토리어스 B.I.G.]]의 ''[[Ready to Die]]''와 같이 90년대 동부 힙합 전성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이 시기엔 서부 힙합을 대표하는 아티스트인 투팍이 힙합 역사상 최고의 앨범 중 하나인 [[Me Against the World]]를 냈다. 그런데도 동부 힙합을 대표하는 음반이라는 평과 지속적으로 찬사를 받고 있으니 그만큼 이 앨범의 위상을 알 수 있다. == 트랙리스트 == ||<-5><#2b4788> '''{{{#e26632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The Start of Your Ending (41st Side) || 4:24 || || 2 || The Infamous Prelude || 2:12 || || 3 || [[Survival of the Fittest(맙 딥)|Survival of the Fittest]] || 3:43 || || 4 || Eye for a Eye (Your Beef Is Mines)[br]{{{-2 (feat. [[Nas]] & [[Raekwon]])}}} || 4:48 || || 5 || Just Step Prelude || 1:06 || || 6 || Give Up the Goods (Just Step)[br]{{{-2 (feat. Big Noyd)}}} || 4:02 || || 7 || Temperature's Rising[br]{{{-2 (feat. Crystal Johnson)}}} || 5:00 || || 8 || Up North Trip || 4:58 || || 9 || Trife Life || 5:19 || || 10 || Q.U. – Hectic || 4:46 || || 11 || Right Back at You[br]{{{-2 (feat. [[Ghostface Killah]] & [[Raekwon]] & Big Noyd)}}} || 4:52 || || 12 || The Grave Prelude || 0:50 || || 13 || Cradle to the Grave || 4:57 || || 14 || Drink Away the Pain (Situations)[br]{{{-2 (feat. [[Q-Tip]])}}} || 4:44 || || 15 || [[Shook Ones (Part II)]] || 5:24 || || 16 || Party Over[br]{{{-2 (feat. Big Noyd)}}} || 5:40 || == 뮤직비디오 == [include(틀:영상 정렬,url=yoYZf-lBF_U)] [include(틀:영상 정렬,url=hIq4UTgqDAc)] [[분류:맙 딥]][[분류:1995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동부 힙합]][[분류:붐뱁]][[분류:하드코어 힙합]][[분류:갱스터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