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Beauty Behind The Madness)]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e6d913 ''{{{+2 '''The Hills'''}}}''[br]'''관련 둘러보기 틀'''}}}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 '''[[https://www.billboard.com/music/music-news/billboard-25-best-songs-critics-picks-6806155//|{{{#000000 빌보드 선정 2015년 최고의 곡}}}]][br]{{{#000000,#191919 {{{+5 10위}}}}}}''' || || [[롤링 스톤|{{{#!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ollingstonemagazinecirclelogo.png|width=100]]}}}]] || '''[[https://www.rollingstone.com/music/music-lists/50-best-songs-of-2015-144910/the-weeknd-earned-it-35478/|{{{#000,#fff 롤링 스톤 선정 2015년 최고의 곡}}}]][br]{{{#000,#fff {{{+5 11위}}}}}}''' || ---- ||||<#fff,#404040><-5> {{{+1 [[빌보드 핫 100|[[파일:BillboardHot100(2020Version).png|width=200]]]][br][[빌보드 핫 100]] {{{#b2a529 '''역대 1위'''}}}}}} || || ''[[Can't Feel My Face]]'' [[The Weeknd|{{{-2 {{{#8086a0 The Weeknd}}}}}}]] || {{{+1 →}}} || ''' ''The Hills'' ''' '''[[The Weeknd|{{{-2 {{{#8086a0 The Weeknd}}}}}}]]'''[br]{{{-2 (6주 연속)}}} || {{{+1 →}}} || ''[[Hello(Adele)|Hello]]'' [[Adele|{{{-2 {{{#8086a0 Adele}}}}}}]] || ----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1)]}}} || ||<-5> '''{{{#e6d913 [[The Weeknd|{{{#e6d913 The Weeknd}}}]]의 싱글}}}''' || || [[Earned It]][br](2014) || → || '''The Hills'''[br](2015) || → || [[Can't Feel My Face]][br](2015) || ||<-2> ''{{{+2 '''The Hills'''}}}''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he_hills_realalbumcover11.jpg|width=100%]]}}}|| || '''수록 음반''' ||[[Beauty Behind The Madness|[[파일:bbtm_logo.png|width=250]]]]|| || '''발매''' ||'''2015년 5월 27일'''|| || '''작사·작곡'''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일란젤로''', [[Belly|아마드 발쉬]], 엠마누엘 니커슨|| || '''프로듀서''' ||'''일란젤로''', 마노|| || '''장르''' ||'''[[얼터너티브 R&B]], [[트랩(음악)|트랩]]'''|| || '''길이''' ||'''4:04'''|| || '''레이블''' ||[[XO|[[파일:xologoreverse.png|width=22&bgcolor=#fff]]]] [[유니버설 뮤직 그룹#s-2.1.4|[[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5&bgcolor=#fff]]]]|| ||<#7C7C7C>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RED 1위}}} (6주 연속)''' || ||<#7C7C7C>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RED 3위}}}'''|| ||<#7C7C7C> '''[[Spotify|[[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1,733,822,061회''' ^^2023년 1월 7일 기준^^|| ||<#7C7C7C>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1,922,355,355회[* 공식 뮤직비디오 조회수.]''' ^^2023년 1월 7일 기준^^||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he-hills.gif|width=100%]]}}}|| ||<#fff,#191919> {{{-2 {{{#000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난 항상 다섯시 반에만 너한테 전화해 {{{#000 '''The only time that I'll be by your side'''}}} 네 곁에 있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 || 2014년 12월 발매된 [[Earned It]]의 뒤를 이어, 이듬해 2015년 5월 27일에 발매된 3번째 싱글이자 2집 ''[[Beauty Behind The Madness]]''의 5번째 트랙 수록곡. 이 곡은 자신의 곡 "[[Can't Feel My Face]]"의 빌보드 핫 100 1위 자리를 제치고 '''1위를 바꿔치기'''했다. 게다가 그 1위를 '''6주 연속'''으로 달성하는 기염을 토한다. 2015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 '''10위'''를, Year-End US Hot R&B Songs 차트에서 '''1위'''를 달성했다. 이듬해 2016년의 [[빌보드 연말 차트]]에서도 32위를, Year-End US Hot R&B Songs 차트에서 5위를 달성하며 '''2년 연속''' 빌보드 연말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그리고 '''Decade-End 차트'''[* 2010년대 총 결산 차트]에서까지 31위를, Decade-End US Hot R&B/Hip-Hop Songs 차트에서 '''5위'''를 달성하는 등의 놀라운 흥행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롤링스톤 선정 2015년 최고의 곡 50선에서 1위, 'Can't Feel My Face', 39위 'Earned It'과 함께 꼽혔고 '''11위'''를 달성했다.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135위에 올랐다. 전 세계에서 약 '''1,340만 장'''을 판매했고, 이 판매량 중 미국 내에서만 무려 '''1,100만 장 판매'''를 달성하여 [[RIAA]]에서 ''''1x Diamond'''' (11x Platinum)를 [[https://www.riaa.com/gold-platinum/?tab_active=default-award&se=The+Weeknd#search_section|수상]]했다. 이로써 총 4개의 다이아몬드 인증 싱글(The Hills, [[Blinding Lights]], [[Starboy(싱글)|Starboy]], [[Can't Feel My Face]])을 갖게 되었다. == 일화 == 'The Hills'는 래퍼들의 리믹스가 많이 이뤄진 곡이다. 그 중에서 [[Eminem]]이 The Hills에 참여하게 된 일화가 [[Starboy|3집]] 공개 이후(2016년 말) [[http://southpawer.com/2016/11/25/the-weeknd-eminem-jay-z-renegade-the-hills-interview/|위켄드의 인터뷰]]에서 뒤늦게 공개가 된 바 있다. 요약하자면: 스튜디오 전화기로 에미넴이 위켄드에게 전화했고, 곡 리믹스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위켄드는 에미넴이 직접 스튜디오 전화기로 연락을 취했다는 것과 작업을 함께하고 싶어한다는 것에 굉장히 놀랐고, 'The Hills' 리믹스를 완전 죽여놨다며[* killed it. 우리말 뉘앙스로 하면 '찢었다' 정도 된다.] 에미넴을 크게 칭찬했다. 여담으로 비슷한 시기에 [[Daft Punk]]도 위켄드에게 연락을 취했고, 이후 3집 수록곡들의 작업을 같이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일렉트로닉 프로듀서 RL Grimes가 2015년 말 [[https://www.youtube.com/watch?v=PrwB6qsL6fU|리믹스]]를 발매한 바 있다. == 가사 == || {{{#e6d913 '''원문'''}}} || {{{#e6d913 '''해석[* [[http://hiphople.com/lyrics/4166751|출처]], 해석 일부 수정]'''}}} || ||<^|1> [br][Intro] Yeah Yeah Yeah [Verse 1] Your man on the road, he doin' promo You said, "Keep our business on the low-low" I'm just tryna get you out the friend zone 'Cause you look even better than the photos I can't find your house, send me the info Drivin' through the gated residential Found out I was comin', sent your friends home Keep on tryna hide it but your friends know [Chorus]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that I'll be by your sid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yeah I only fuck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I'd ever call you min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babe [Verse 2] I'ma let you know and keep it simple Tryna keep it up don't seem so simple I just fucked two bitches 'fore I saw you And you gon' have to do it at my tempo Always tryna send me off to rehab Drugs started feelin' like it's decaf I'm just tryna live life for the moment And all these motherfuckers want a relapse [Chorus]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that I'll be by your sid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yeah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I'd ever call you min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babe [Bridge] Hills have [[파파라치|eyes]], the hills have eyes Who are you to judge? Who are you to judge? Hide your lies, girl, hide your lies (Hide your lies, oh, baby) Only you to trust, only you [Chorus]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that I'll be by your sid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yeah I only call you when it's half past five The only time I'd ever call you mine I only love it when you touch me, not fee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When I'm fucked up, that's the real me, babe [Outro] Ewedihalehu Yene [[BBTM|konjo]], ewedihalehu Yene fikir, fikir, fikir, fikir Yene fikir, fikir, fikir, fikir Ewedihalehu Yene konjo, ewedihalehu... [br] ||<^|1> [br][Intro] 예- 예- 예- [Verse 1] 네 애인은 홍보하러 돌아다니는데 너는 “[[불륜|우리 일]]은 조용히 비밀로 하자”라고 하네 너와 친구 이상이 돼보려는 거야 너는 사진보다도 더 예쁘니까 네 집을 못 찾겠어, 주소 좀 보내줘 네가 사는 부자 동네에서 드라이브하고 있어 내가 온다는 걸 듣고 네 친구들을 돌려보냈지만 숨기려고 해도 네 친구들은 다 알아 [Chorus] 난 항상 다섯시 반에만 너한테 전화해 네 곁에 있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너와의 섹스는 다섯 시 반에만 너를 내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자기야 [Verse 2] 그냥 간단하게 말할게 이 관계를 유지하는 건 그리 쉽지가 않아 너를 만나기 전에 두 여자랑 잤어 너도 내 박자에 맞춰줘야 할 거야 나를 계속 재활센터로 보내려고 해 이젠 마약도 점점 무더져가 그냥 이 순간을 즐기려는 것뿐이야 이 씨발 새끼들은 다 나의 중독이 재발하길 바라네 [Chorus] 난 항상 다섯시 반에만 너한테 전화해 네 곁에 있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너와의 섹스는 다섯 시 반에만 너를 내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자기야 [Bridge] 언덕엔 [[파파라치|눈]]이 있어, 눈이 있어 네가 누군데 판단해? 누군데 판단을? 네 거짓이나 숨겨, 자기야, 네 거짓이나 숨겨 너밖에 믿을 사람이 없어, 너밖에 [Chorus] 난 항상 다섯시 반에만 너한테 전화해 네 곁에 있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너와의 섹스는 다섯 시 반에만 너를 내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시간 네가 나를 만질 때만 기분이 좋아, 느낄 때 말고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나는 취했을 때만 진짜 내가 나와, 자기야 [Outro] 그대를 정말 사랑해 나의 [[BBTM|미녀]]여, 그대를 사랑해 내 사랑,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 사랑, 사랑, 사랑 그대를 정말 사랑해 나의 미녀여, 그대를 정말... [br] || === 설명 === 강렬하게 변형된 엠비언트 사운드와 과하게 노이즈 처리된 위켄드의 가느다란 목소리가 이끌어내는 어두움이 일품인 노래이다. 화자인 남성은 가수이고, 사귀진 않지만 쾌락을 위해 자주 밤을 지내는 '친구'인 여성에게 친구 이상의 관계가 되자고 이야기하는 곡이다. 정작 여성은 이미 애인이 있고, 보는 눈이 많아(파파라치 등) 그런 관계로의 발전을 원치 않고 있다. 때문에 화자는 눈에 잘 띄지않는 새벽 5시 30분에 만나 잠자리를 같이하고 몰래 빠져나가는 이런 관계를 확실히하기 위해 집 주소도 모른 상태로 여성에게 간다. 이런 거짓말[* 여성은 이미 애인이 있으면서도 여성의 친구들에게 화자와 사귀는거 아니라고 거짓말 한 것을 의미한다. 물론 곡의 벌스에서 나오듯이 여성의 친구들은 둘의 관계를 쉬쉬할 뿐 아주 잘 알고 있다. (...)]로 유지하는 비밀 관계를 계속하고 싶으면 자신이 지금처럼 약에 쩔어도 있고, 다른 여자들과 잠자다가도 만나는 이 모습을 받아들이거나, 이 비밀을 깨고 확실하게 연인이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협박 아닌 협박(?)을 하는 것이다. 곡의 말미에 등장하는 암하라어[* Ewedihalehu, Yene konjo, ewedihalehu, Yene fikir.]는 결국 연인이 되고 싶어하는 화자의 마음을 대변한다. 곡의 중간 중간 등장하는 찢어지는 듯한 노이즈는 자동차의 스키드 소리[* 여성의 비명 소리라 생각할 수도 있다.]이다. 화자가 술에 잔뜩 취한 채로 차를 운전하면서 낸 소리라고 생각할 수 있고, 노이즈 직후 강렬한 비트음과 베이스음이 깔리는 것으로 미뤄보아 사고가 난 상황이라 추측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 역시 곡의 이런 부분들을 캐치해서 시각화했다.] 이런 상황적인 묘사를 표현함과 동시에 음악으로도 표현했기에 곡이 놀랍도록 치밀하고 계획적이면서도 잘 짜여졌음을 알 수 있다. 위켄드의 최대 히트곡들 중 하나이지만, 동시에 위켄드의 노래들 중에서도 '''굉장히 퇴폐적이고 광기에 가득찬 노래'''로 꼽힌다. 우울하고 강렬한 노래가 빌보드 Hot 100 1위를 차지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으나, 이 정도로 비관적이면서도 어두운 노래가 1위를, 그것도 6주 연속으로 달성한 것은 실로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 음악 장르의 흐름을 분석한 언론 기사에서 2015년 The Hills의 히트를 기준으로 이후의 5년 동안 R&B 장르가 스트리밍과 음원 차트 모두에서 타 장르보다 상당히 우세하게 인기를 얻었으며, 팝 장르에서조차 이전에서는 찾기 어려운 어두운 가사, 어두운 멜로디 및 곡 스타일이 담긴 곡들이 전 세계적으로 수 십 배[* 실제적으로 2015년 기준으로도 바로 2~3년 전까지는 빌보드 등의 메인 스트림 차트에서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의 어두운 곡들이 2020년대 들어서는 밥 먹듯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유의 퇴폐성이 완전히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왔음을 알 수 있다.] 가까이 폭증한 것으로 나온다. 롤링 스톤 역시 2010년대 Decade 아티스트 리스트에 위켄드를 뽑으며 대중음악계의 트렌드와 판도를 바꿔놓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zTuBuRdAyA)]}}}|| || {{{#e6d913 {{{+1 '''The Hills 공식 뮤직 비디오'''}}}[br] 2015년 5월 27일 공개.}}}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GfiJowcJiVw)]}}}|| || {{{#e6d913 {{{+1 '''The Hills 공식 오디오'''}}}[br] 2018년 7월 24일 공개.}}}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fhjdtQDcOo)]}}}|| || {{{#e6d913 {{{+1 '''The Hills Remix'''[* [[에미넴]]이 참여한 파트 일부분.] VR Experience 비디오}}}[br] 2015년 10월 21일 공개.}}} || == 여담 == * 보통 미국에서 The Hills라고 하면, [[캘리포니아]]주 [[로스 앤젤레스]]의 [[산타 모니카]] 산을 뜻한다. 이 산 주변에 있는 '히든 힐'이 바로 곡의 배경이자 가사에서 등장한 '부자 동네'이다. 또한 위켄드가 현재 살고 있는 집이 이곳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한때 이 곡의 여성이 [[Ariana Grande]]가 아니냐는 소문이 돈 적이 있었다. 아리아나가 전 남친 [[Big Sean]]과의 결별 전 어떤 언덕에서 작은 '교통 사고'가 났었던 것이 알려지며 발단이 되었다. 곡의 뮤직비디오가 자동차 사고로 시작하는 점과, 가수와 많이 연관된 단어들(Promo, Tour)이 가사에 등장하는 점, 시기상 위켄드가 아리아나 그란데와의 듀엣 "[[Love Me Harder]]"로 큰 인기 몰이를 하던 이후에 나온 곡이라는 점 등 때문이다. 물론, 전부 '''헛소문'''이고 게다가 곡이 나올 당시, 위켄드는 [[벨라 하디드]]와 열애중이었다. 뮤직비디오 속 내용이야 [[Beauty Behind The Madness|2집]]의 '뮤직비디오 스토리' 항목만 봐도 상관 없음을 알 수 있다. 해당 논란은 후에 off the table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되었다. [[분류:The Weeknd]][[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힙합 차트 1위 노래]][[분류:2015년 노래]][[분류:2015년 싱글]][[분류:얼터너티브 R&B]][[분류:트랩(음악)]][[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분류:Spotify 20억 스트리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