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8SrhI5IEH4)]}}}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AwYHdycWA0)]}}}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Artcore}}} || || {{{-1 '''BPM'''}}} ||{{{-1 178}}} || || {{{-1 '''작사/작곡'''}}} ||{{{-1 [[Tsukasa]]}}} || || {{{-1 '''보컬'''}}} ||{{{-1 Aki Misawa}}} || || {{{-1 '''BGA'''}}} ||{{{-1 [[채지윤|KKUEM]](원화) / HooN(모션)}}} || ||<-2> {{{#!folding [ 영어 가사 보기 ] Open your eyes, 눈을 떠요, Open up the clear blue sky 그리고 저 맑고 푸른 하늘을 보세요 I'll be there 전 그곳에서 To hold you close in my mind 제 마음속 당신을 가까이 기다리고 있을 거예요 Can you see the snow 눈꽃들이 보이나요 Melting down the sea blow 바다 위로 흩날리며 녹아드는 눈꽃들이요 Celebrate a brand new day 다시 한 번 하루가 밝아오는 걸 축복하러 To start again 이 모든 것이 시작되었죠 Silence 고요함, A Breath of my soundless wing 소리 없는 내 날개의 숨결은 Change the darkness 어둠을 밝히고, Into a flawless ring 완전한 순환으로 돌아가죠 No Matter how you try to fly 어떻게 하늘을 날 건지는 중요하지 않죠 The ice will bring you down again 눈꽃들이 다시금 당신을 대지로 인도해 줄 거예요 Feel the night will die 언젠간 끝날 밤을 느껴요 Only time will tell 오직 시간만이 말해주겠죠 Open your heart 마음을 열어 봐요 To the place where dreams apart 꿈이 흩어져 있는 그 곳으로요 I'll be there 전 그곳에서 To hold you close in my mind 제 마음속 당신을 가까이 기다리고 있을 거예요 Can you see the snow 눈꽃들이 보이나요 Melting down the sea blow 바다 위로 흩날리며 녹아드는 눈꽃들이요 Celebrate a brand new day 다시 한 번 하루가 밝아오는 걸 축복하러 To start again 이 모든 것이 시작되었죠 I'll wait for you 당신을 기다릴게요}}} || ||<-2> {{{#!folding [ 일본어 가사 보기 ] 抱きしめた蒼空の色集めて瞳開く 다키시메타 아오조라노 이로 아츠메테 히토미 히라쿠 끌어안은 푸른 하늘의 색을 모아 눈을 떠 空に舞う最後の雪が始まりを告げる朝に 소라니 마우 사이고노 유키가 하지마리오 츠게루 아사니 하늘에 흩날리는 마지막 눈이 시작을 알리는 아침에 降り積もる白さに凍える世の合間晴空の夢を見る 후리츠모루 시로사니 코고에루 요노아이마 하레소라노 유메오 미루 내려 쌓인 하얀색에 싸늘해진 세상의 틈새에서 맑은 하늘의 꿈을 꿔 凍り付く身体に憧れだけを抱えて 코오리츠쿠 카라다니 아코가레다케오 카카에테 얼어붙은 몸에 그리움만을 감싸안고서 闇の中叶わぬ願いも積もってはこの身体蝕んで 야미노나카 카나와누 네가이모 츠못테와 코노 카라다무시반데 어둠 속 이루어지지 않을 바램도 쌓이면 이 몸을 갉아서 息さえもできぬままに 이키사에모 데키누 마마니 숨조차 쉬지 못하는 채 ああ 溺れてく 아아 오보레테쿠 아아 빠져들어 가 繰り返し夢見た場所を描いて瞳閉じる 쿠리카에시 유메미타 바쇼오 에가이테 히토미 토지루 계속해서 꿈꾸던 장소를 그리며 눈을 감아 閉ざされた白い世界にただ落ちてゆく 토자사레타 시로이 세카이니 타다 오치테유쿠 닫혀버린 흰 세계에 그저 떨어져 가 零れてく願いの欠片探した手探りでも 오보레테쿠 네가이노 카케라 사가시타 테사구리데모 넘쳐 내린 소원의 조각을 찾으며 손을 더듬을지라도 暗闇を照らす光がいつか指先に触れる 쿠라야미오 테라스 히카리가 이츠카 유비사키니 후레루 어둠을 비추는 빛이 언젠가 손가락끝에 닿을 その日を 소노 히오 그 날을 かすか翼の息吹が闇の中聞こえてくる 카스카 츠바사노 이부키가 야미노나카 키코에테쿠루 희미한 날개의 기척이 어둠 속에서 들려와 飛べない身体に浴びる凍てついた風 토베나이 카라다니 아비루 이테츠이타 카제 날 수 없는 몸에 받는 얼어붙은 바람 止めばもう夜が明ける 야메바 모우 요가 아케루 멈추면 이제 날이 밝아와 解き放つ夢見た場所を目指して瞳開く 토키하나츠 유메미타 바쇼오 메자시테 히토미 히라쿠 해방시켜, 꿈꿨던 장소를 향에 눈을 떠 頬撫でる暖かな風 호오나데루 아타타카나 카제 뺨을 스치는 따뜻한 바람 羽ばたいて さあ 하바타이테 사아 자아, 날갯짓해 曇りない 願いの欠片集めて空に散らせ 쿠모리나이 네가이노 카케라 아츠메테 소라니치라세 떼 없는 소원의 파편을 모아 하늘에 흩뿌려 蒼空に最後の雪が始まりを告げる朝に 아오조라니 사이고노 유키가 하지마리오 츠게루 아사니 푸른 하늘에 마지막 눈이 시작을 알리는 아침에 目ざめを 메자메오 깨어나}}} || == 개요 == >DJMAX 시리즈에 첫 참여한 KKUEM의 영상이 돋보이는 곡. >하늘을 바라보는 여성과,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테크니카 공식 홈페이지의 공식 곡 설명.] [[Tsukasa]]가 코믹마켓에 내놓은 동인 앨범인 '''The Clear Blue Sky'''의 수록곡이자 타이틀 곡[* 이 앨범에는, 이 곡 외로도 [[In My Heart]], [[Colours of Sorrow]]의 원곡이 수록되어 있다.]으로, 제목답게 맑고 청명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아트코어]] 장르의 곡이다. 테스트 버전에서의 장르명은 'J-POP' 이었으나, 정발판에서 Artcore로 변경되었다.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에 최초 수록되었으며, 별명 및 약칭으로는 '''클블스''', 클리어 불가 스카이 등이 있다. 해당 앨범의 수록곡은 아래를 참조하자. 디제이맥스에 수록된 곡들 외에 Apoptosis 등의 곡도 명곡으로 꼽힌다. {{{#!folding [트랙리스트 열기] 1 - Trace 2 - [[In My Heart]] 3 - Apoptosis 4 - [[Colours of Sorrow|Color of Sorrow]] 5 - Tears in the Dark 6 - The Clear Blue Sky 7 - 추억(追憶) 8 - 바람에 실려(風にのせて) 9 - The Clear Blue Sky (오쿠보 히로시 편곡 버전) 10 - [[In My Heart#s-2|In My Heart ~ESTi Remix~]] }}} 오리지널 곡은 일본어 보컬이었으나, DJMAX에는 영어 보컬 버전이 수록되었다. 일본어 보컬을 불렀던 미사와 아키가 그대로 영어 버전의 보컬을 다시 불렀다. 다만 DJMAX 버전(1분 32초)이 원곡인 일본어 버전(4분 47초)의 기승전결 구조에서 승과 전을 완전히 없애버린 형태라 일어 버전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보컬의 차이 때문에 일본어 버전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아무래도 가수가 일본인이니 영어로 발음하는 것보다 일본어로 발음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성량이 풍부한 것은 당연하다. [[BGA]]는 [[머리카락/분홍색|분홍 머리]]의 소녀와 [[머리카락/주황색|오렌지색 머리]]의 [[소녀]]가 서 있고 [[바람]]이 불어 [[머리]]와 [[치마]]가 펄럭이는 영상이 주로 나온다. 음악과의 매치도 좋고 [[구름]]의 표현이 매우 화려하다. 하지만, 소녀의 뒷모습에서 [[머리카락]]이 휘날리는 애니메이션이 어색하다는 평가도 많이 받는다. 후속곡으로 [[Silent Clarity]]가 있다. 이 쪽은 [[DJMAX TECHNIKA TUNE]] 수록. 덧붙여 DDR 시리즈에도 의외의 영향을 준 곡인데, 이 곡을 테크니카에서 들었던 당시 DDR 디렉터이자 작곡가 [[TAG(작곡가)|TAG]]가 Tsukasa한테 연락해서 "DDR에도 클블스 비슷한 느낌으로 한 곡 써주세요"라 부탁했고 그렇게 해서 탄생한 곡이 [[Straight Oath]]라고 한다. ==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 4B모드에서는 기본 3레벨, 하드모드 7레벨 곡으로 나오나 하드모드가 사실상 사기난이도가 아닐까 싶을정도로 채보가 치기 까다롭다. 노트 파훼는 어렵지 않지만 다른 노트가 좁고 촘촘하게 몰려오다보니 엄지로만 조작하는 포터블 특성상 손가락이 상당히 꼬이는 패턴. 차라리 8레벨의 Dark envy가 클리어 자체는 더 쉽다. BS-CE 링크 디스크 모드를 이용하여 플레이할수 있는 6B FX 모드는 표기 난이도는 12지만 실제로 BS의 14~15레벨 곡들에 맞먹는 고난이도를 가지고 있으니, 6B FX 모드를 해보지 않은 고수 플레이어라면 한번쯤 플레이해 보자. == [[DJMAX TECHNIKA]] == DJMAX 테크니카의 베타 테스트 버전은, 특유의 적은 게이지[* 포터블처럼, 한번에 뭉텅 깎이고 한번에 뭉텅 차는] 도 있고, 매우 짠 판정 덕에 이 곡 중간의 폭타 부분을 넘기기가 매우 힘들었기 때문에 '클리어 불가 스카이' 라는 별명이 생겼으나, 정발판 테크니카에서 전체적인 판정과 게이지가 테스트 버전에 비해 매우 후해짐에 따라, 이 부분의 처리가 매우 수월해졌고, 테크니카의 레벨 6 곡 중에서 최약체로 분류되고 있으며, 파퓰러 3스테이지에서 Fate, Secret World와 함께 3스테이지 첫 클리어에 많이 사용되는 곡이다. 그러나 7월 스페셜에서는 타임라인의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고(SIN 보다 아주 약간 느림) 후반에 페르미온 형식의 노트 배치로 플레이어를 엿먹인다. 12월 스페셜 패턴의 보상으로 등장한 [[Specialist II|SpecialistⅡ set]]에 선택곡으로 수록되어 레벨 9임이 확정되었다. 여담이지만, 파퓰러가 아닌 테크니컬 패턴도 레벨 8 중에서 최약체로 많이 분류된다. 하지만, 일단 레벨이 레벨인 탓에 입문자들에게는 꽤 버거운 패턴. SP 패턴은 7월 스페셜 첫번째 클리어 방지곡. == [[DJMAX TECHNIKA 2]] == || 패턴 || 난이도 || 등급 || 가격 || 기타 || || Duo || 4 || - || 가격 || 기타 || || Star || 4 || C || 300 || || || NM || 4 || C || 400 || || || HD || 7 || C || 500 || [[Golden Disc Set]] 보스곡 || || MX || 8 || D || 600 || [[Specialist II|Specialist Ⅱ]] 선택곡 || [youtube(4BxWVZs7sm0)] NM(PP)패턴 영상 [youtube(HQXP6lgtbJ0)] HD(TP)패턴 영상 [youtube(3WDynuIldfQ)] MX(SP)패턴 영상 Star(Lite)만 1 상승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패턴에서 난이도가 하락 되었다. 다만, 노멀 패턴은 레벨이 2나 하락했기 때문에 물렙에서 단숨에 사기곡으로 상승(…) 또한 Duo 패턴은 HD 패턴에 익숙해져야 100%를 넘길 수 있다. == [[DJMAX TECHNIKA 3]] ==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D || 100 || 4 || || || ||<#FFFF00> Normal || D || 100 || 4 || 8박 스크롤 || || ||<|2><#0000FF> {{{#white Hard}}} || C || 150 ||<|2><:> 7 || 8박 스크롤, 영어 보컬 || [[Golden Disc Set]] 상위 보스곡 , [[Ragnarok(DJMAX)|미션 - 고행]] 수록 || || - || - || 8박 스크롤, 일본어 보컬 || [[Orientalism Set]] '''전용 셀렉곡''' || ||<#FF0000> Maximum || B || 200 || 8 || 4박 스크롤 || [[Specialist II|Specialist II Set]] 셀렉곡 || [youtube(MUSeev76cBI)] [[Orientalism Set]] 전용 일본어 보컬 버전 HD 패턴 하드 패턴이 신규 디스크셋인 [[Orientalism Set]]에 수록되었다. 그리고 Orientalism Set에서 플레이하면 보컬이 '''[[일본어]]'''로 나온다. 스타 믹싱이나 팝 믹싱에서는 그대로 영어이다. 이는 같은 작곡가의 곡인 [[In My Heart]]에도 동일하며, 따라서 맥스샵에선 영어 보컬 버전만 구입 가능하다. == [[DJMAX TECHNIKA Q]] == |||||||||||| [[DJMAX TECHNIKA Q]] 난이도 체계 || |||| 2라인 |||| 3라인 || || 패턴 || 난이도 || 패턴 || 난이도 || ||<#FFFF00> NORMAL || 3 ||<#FFFF00> NORMAL || 3 || ||<#0000FF> {{{#white HARD}}} || 5 ||<#0000FF> {{{#white HARD}}} || 5 || ||<#FF0000> EXPERT || 7 ||<#FF0000> EXPERT || 8 || [youtube(z1-TlxyTCkE)] 3라인 EXPERT 플레이 영상.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 Clear Blue Sk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The Clear Blue Sk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2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47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656}}}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6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724}}}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936}}}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25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39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714}}}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828}}}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0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1.22 패치에서 9 → 10으로 상향.] [br] {{{-5 55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759}}}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817}}} || ||<-5> 특수 패턴 || || TB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s-6.2.4|HeartBeat]]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12월 21일 [[DJMAX CE]] DLC로 등장했다. 특이점이라면, 4B부터 8B까지 모든 MX패턴의 난이도가 13으로 동일하다는 점과 8B NM패턴은 초반에 기어가 사라지는 연출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또한 전작까지 없었던 피아노음과 일부 신스음이 플레이할 수 있는 노트로 추가되었다. 엔딩 부분에서 특히 선명하게 들을 수 있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ph4mkXNKE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USLsDxXOGw)]}}}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jIaZba_los)]}}} || ||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Ahm-KDXxn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e7uiJTfld0)]}}}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ab4Oatg1l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D02UYwRR54)]}}} || 5B SC는 중반부 발광이 매우 까다롭다. 난잡한 동시치기는 물론 나선계단까지 껴서 패턴 읽기도 어렵고, 리딩이 된다 해도 처리 또한 어렵다. 정배치 기준 나선계단이 왼쪽에서 나오기 때문에 오른손잡이라면 미러를 걸면 훨씬 더 쉽게 칠 수 있지만, 직후 나오는 양손 원핸드 약지-중지 트릴 세례 때문에 한 손 혹사만으로 발광을 넘길 수는 없다. 다만 반대로 말하면 약중 트릴만 넘길 수 있다면 미러의 수혜를 가장 톡톡히 받는 곡 중 하나. 5B NM 패턴은 피버가 x3에서 끊기므로 스코어링 작을 노릴 경우 수동 피버를 사용해 x3 피버를 늦게 터뜨려줘야 한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K9oJ0AGmA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SvpBaWXao0)]}}}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hU3jAeqZJ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ksgq70ZBio)]}}} || 6B SC는 한 손을 롱 노트로 묶어두고 다른 손으로 16비트 잡노트를 처리하는 구성이 주가 된다. 아직 SC 패턴에 익숙하지 않다면 후렴구 돌입 직전 데님 배치의 8비트 동시치기 패턴에서 고전할 수 있으나, 이를 제외한 다른 구간이 딱히 모난 구간이 없고 박자도 노래에 맞춰 딱딱 떨어지기 때문에 97% 정도의 스코어링까지는 큰 어려움이 없다. 그 이상의 스코어링을 노릴 때 유의해야 할 점이라면 롱노트와 동시에 떨어지는 잡노트를 박자에 맞게 잘 처리하는 것과, 영상 기준 1분 16초 구간의 박자가 어긋난 계단도 유의. 6B NM 패턴 역시 5B NM과 마찬가지로 스코어링을 노린다면 수동 피버를 사용하자.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HHpL8A1XpA)]}}}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v9jpucVtyk)]}}} || || {{{#737373 MX}}} || {{{#737373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AnzYP8ZoB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dsjowoiuqM)]}}} || 8B SC의 경우 6버튼 SC에서 일부 16비트를 덜어내고 트리거를 끼워넣었다. 그 외에는 원핸드 3연타가 자주 나오는 게 특징. == [[TAPSONIC BOLD]] == || '''패턴''' || '''난이도''' || || '''EASY''' || 3 || || '''NORMAL''' || 6 || || '''HARD''' || 7 || || '''EXPERT''' || 9 ||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