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3> {{{#!wiki style="margin:5px" [[휘트니 휴스턴|[[파일:Whitney_signature ver.3.png|width=65]]]] [br] [[휘트니 휴스턴|{{{#fff {{{-1 '''Album Chronology'''}}}}}}]]}}} || ||<#fff> {{{#000,#fff ←}}} ||<|2><#000> {{{#fff {{{-1 '''OST'''}}}[br]{{{+1 ''' ''The Bodyguard: [br] Original Soundtrack Album'' '''}}}[br]{{{-1 (1992)}}}}}} ||<#fff> {{{#000,#fff →}}} || ||<#fff> {{{#000000 {{{-2 정규 3집}}}}}} [br][[I'm Your Baby Tonight(음반)|{{{#000000 {{{-1 ''' ''I'm Your Baby Tonight'' '''}}}}}}]][br]{{{#000000 {{{-2 (1990)}}}}}} ||<#fff> {{{#87CEEB {{{-2 OST}}}}}}[br][[The Preacher's Wife: Original Soundtrack Album|{{{#87CEEB {{{-1 ''' ''The Preacher's Wife: OST'' '''}}}}}}]][br]{{{#87CEEB {{{-2 (1996)}}}}}} || || '''{{{#fff The Bodyguard OST의 주요 수상 ·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10위))] ---- [include(틀:미국 내 앨범 판매량 순위)]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80년~1999년))] ---- [include(틀: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 [include(틀: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1975~1999))] ---- [Include(틀:빌보드 200 최장 기간 1위 앨범 목록)] ---- ||<#fff,#131313><:><-5>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25]]]] [br]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The Predator'' [br] [[아이스 큐브|{{{-3 {{{#808080 Ice Cube}}}}}}]] ||<:> {{{+1 → }}} ||<#FFE400><:> ''' ''The Bodyguard OST''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13주 연속)}}}}}} ||<:> {{{+1 → }}} ||<#FFE400><:> ''[[Unplugged(에릭 클랩튼)|Unplugged]]'' [br] [[Eric Clapton|{{{-3 {{{#808080 Eric Clapton}}}}}}]] || ||<:> ''[[Unplugged(에릭 클랩튼)|Unplugged]]'' [br] [[Eric Clapton|{{{-3 {{{#808080 Eric Clapton}}}}}}]] ||<:> {{{+1 → }}} ||<:> ''' ''The Bodyguard OST''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1주)}}}}}} ||<:> {{{+1 → }}} ||<:> ''[[Songs of Faith and Devotion]]'' [br] {{{-3 [[디페시 모드|{{{#808080 Depeche Mode}}}]]}}} || ||<:> ''[[Songs of Faith and Devotion]]'' [br] {{{-3 [[디페시 모드|{{{#808080 Depeche Mode}}}]]}}} ||<:> {{{+1 →}}} ||<:> ''' ''The Bodyguard OST''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3주 연속)}}}}}} ||<:> {{{+1 → }}} ||<:> ''Get a Grip'' [br] {{{-3 [[에어로스미스|{{{#808080 Aerosmith}}}]]}}} || ||<:> ''Get a Grip'' [br] {{{-3 [[에어로스미스|{{{#808080 Aerosmith}}}]]}}} ||<:> {{{+1 →}}} ||<:> ''' ''The Bodyguard OST''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3주 연속, '''총 20주''')}}}}}} ||<:> {{{+1 → }}} ||<:> ''[[janet.]]'' [br] {{{-3 [[자넷 잭슨|{{{#808080 Janet Jackson}}}]]}}}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147)]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사운드트랙)]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142)]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The Bodyguard OST)] ---- [include(틀:이즘 선정 명반, 음반명=The Bodyguard OST)] }}} || ||||<:> '''{{{+1 {{{#fff The Bodyguard: Original Soundtrack Album}}}}}}''' || ||<-2>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보디가드사운드트랙.jpg|width=100%]]}}} || || '''발매일''' ||[[1992년]] [[11월 17일]] || || '''녹음''' ||[[1991년]] ~ [[1992년]] || || '''장르''' ||[[팝 음악|팝]] · [[컨템퍼러리 R&B|R&B]] || || '''재생 시간''' ||57분 44초 || || '''프로듀서''' ||[[David Foster]] · Narada Michael Walden || || '''곡 수''' ||13곡 || || '''레이블''' ||Arista, BMG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2년 11월 17일에 발매한 [[휘트니 휴스턴]], [[케빈 코스트너]] 주연인 [[보디가드(미국 영화)|영화 보디가드]]의 OST 앨범이다. == 상세 == 총 13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져 있고 많은 가수들이 참여하였지만, [[휘트니 휴스턴]]이 앨범 절반인 6개 트랙을 홀로 장식하였으므로 사실상 [[휘트니 휴스턴]]의 앨범으로 봐도 무방하다. 실제로 [[보디가드(미국 영화)|영화]] 자체도 휘트니의 뜨거운 인기에 힘입어 대흥행에 성공했고, OST 앨범도 휘트니의 곡들로 인해 흥행에 성공했기 때문. 영화의 최후반부, 레이첼(휘트니 휴스턴)과 프랭크(케빈 코스트너)의 키스신에서 흘러나오며 강한 인상을 남긴 [[I Will Always Love You]]는 당시 [[빌보드 핫 100]]에서 가장 오랫동안 1위를 한 싱글(14주)이었다.[* [[보이즈 투 멘]]이 몇 개월 전에 [[End of the Road]]로 달성한 13주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었다. 이는 1996년 [[머라이어 캐리]]와 보이즈 투 멘의 듀엣곡인 [[One Sweet Day]]에 깨진다.(16주)] 이 노래의 이름은 몰라도 하이라이트 직전의 '쿵!' 소리와 함께 울리는 ''앤다이야~~''부분은 전 세계인이 한 번쯤은 들어본 부분일 거다. 이 앨범의 유례없는 대성공으로 [[휘트니 휴스턴]]은 전성기를 보내고,[* 여가수 통틀어서 [[1993년]] ~ [[1994년]]의 [[휘트니 휴스턴]] 정도의 인기를 얻은 가수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있다고 해봐야 --똑같이 영화 ost로 전성기를 누린--[[1998년]]의 [[셀린 디옹]], [[2011년]]의 [[아델]] 정도. The Bodyguard OST와 [[I Will Always Love You]] 둘 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여가수 앨범, 싱글이기 때문이다.] 'The Bodyguard World Tour'를 [[1993년]]부터 시작하여 세계 각지를 돌며 돈을 쓸어담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996년]]까지 이전보다 훨씬 마약에 빠져 마약 중독에까지 이르고, 그 결과 목 상태가 예전보다 악화하여 음역대가 낮아지고 목소리가 굵어진다. 이 때문에 [[1993년]] 이후 항상 [[I Will Always Love You]]는 원키가 아닌 한키를 낮춰서 불렀고, [[I Have Nothing]] 역시 키를 낮춰서 불렀다. === 기록 === 이 앨범이 세운 기록은 아래와 같다 :: * '''전세계 19개 국가/지역 앨범 차트 1위'''[* [[호주]], [[오스트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유럽]],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 [[유럽]] 지역 앨범 차트[* European Top 100 Albums Chart] '''15주 1위''' * [[캐나다]] 앨범 차트 '''12주 1위''' * [[독일]] 앨범 차트 '''11주 1위''' * [[오스트리아]], [[스위스]] 앨범 차트 '''9주 1위''' * [[프랑스]], [[뉴질랜드]] 앨범 차트 '''8주 1위''' * [[네덜란드]], [[노르웨이]] 앨범 차트 6주 1위 * [[호주]] 앨범 차트 5주 1위 * [[스웨덴]] 앨범 차트 4주 1위 *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앨범 차트 2주 1위 * '''전세계 5개 국가 앨범 차트 연말 1위'''[* [[호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독일]], [[미국]]] * [[영국]] 앨범 차트 '''연말 2위''' * [[캐나다]], [[일본]] 앨범 차트 '''연말 3위''' * [[뉴질랜드]], [[스위스]] 앨범 차트 '''연말 4위''' ---- * '''총 판매고 4100만 장''' * '''세계 역대 음반 판매량 순위 3위''' *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여자 가수의 음반''' *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OST 음반''' * '''미국 내 판매량 약 1800만장 이상''' (RIAA인증 18×플래티넘) *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 10위''' ---- * '''[[1994년]] [[그래미 어워드/올해의 앨범상|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 그래미 올해의 앨범상을 수상한 3개의 사운드트랙 앨범 중 하나다. 다른 수상작은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O Brother, Where Art Thou?]]'가 있다.] * [[1993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 4개 부문 동시 수상[* Top [[빌보드 200]] 앨범, Top R&B 앨범, Top Soundtrack 앨범, Album Most Weeks at #1(가장 오랜 기간 1위를 차지한 앨범)] * [[1994년]]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3개 부문 동시 수상[* Favorite Pop/Rock 앨범, Favorite Soul/R&B 앨범, Favorite Adult Contemporary 앨범] ---- * '''[[빌보드 200]] 올타임 차트 25위 앨범''' * '''[[빌보드 200]] 통산 20주 1위''' * '''[[빌보드 200]] 최장 기간 1위 앨범 순위 9위''' * '''[[1993년]] [[빌보드 200]] 연말차트 1위''' * '''[[1990년대]] [[빌보드 200]] 총결산 차트 2위'''[* '[[1990년대]] [[빌보드 200]]에 차트인했던 앨범들 중 '''두 번째'''로 차트에서 성공한 앨범'이라는 의미이다.] ---- * '''[[빌보드 핫 100]] Top 5 히트곡 3개 배출''' ---- * [[한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외국 앨범 (약 120만 장)[* 사실 정확한 기록은 아니다. 1990년대 까지만 해도, 기획사나 음반사가 알아서 집계하고 신고하던 시절이라,'''정확한 음반판매량은 누구도 모른다.''' 다만 음반산업협회의 추정치와 당시 인기를 고려하면 이 음반이 최고 판매량을 기록한건 누구나 인정하고 하고 있다.] * [[한국]]에서 100만장 이상 판매된 첫번째이자, 유이한 외국 앨범[* 또다른 앨범은 머라이어 캐리의 [[Music Box]].] == 수록곡 == ||<-6> '''The Bodyguard: OST의 수록곡 목록''' || || '''트랙''' || '''곡명''' || '''아티스트''' || '''재생시간''' || '''듣기''' || '''비교''' || || '''1''' || '''[[I Will Always Love You]]''' ||<|6> [[휘트니 휴스턴]] || 4:31 || [[https://youtu.be/tP0zj220Cb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2''' || '''[[I Have Nothing]]''' || 4:48 || [[https://youtu.be/lR3gLKzxIL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3''' || '''[[I'm Every Woman]]''' || 4:45 || [[https://youtu.be/gwKu7A7Fxs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4''' || '''Run to You''' || 4:22 || [[https://youtu.be/MMyNH7mlm0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5''' || '''Queen of the Night''' || 3:08 || [[https://youtu.be/5Qr2wq6Sxr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6''' || '''Jesus Loves Me''' || 5:11 || [[https://youtu.be/BIh97WKnYW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7''' || '''Even If My Heart Would Break''' || [[케니 지]], 에런 내빌 || 4:58 || [[https://youtu.be/Nj93wGGv9Ik|[[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8''' || '''Someday (I'm Coming Back)''' || 리사 스탠스필드 || 4:57 || [[https://youtu.be/nKI_LK4hyT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9''' || '''It's Gonna Be a Lovely Day''' || The S.O.U.L.S.Y.S.T.E.M. || 4:47 || [[https://youtu.be/wtQ6ca4mL7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0''' || '''(What's So Funny 'Bout)[br]Peace, Love and Understanding''' || 커티스 스타이거스 || 4:04 || [[https://youtu.be/Ssd3U_zicA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1''' || '''Waiting for You''' || 케니 지 || 4:58 || [[https://youtu.be/tcnKuS8NZB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2''' || '''Trust in Me''' || 조 카커, 새스 조던 || 4:12 || [[https://youtu.be/DXx9teI5v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13''' || '''Theme from The Bodyguard''' || [[앨런 실베스트리]] || 2:40 || [[https://youtu.be/Ai6cH1xmZH4|[[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 === [[I Will Always Love You]]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노래, rd1=I Will Always Love You)] === [[I Have Nothing]]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노래, rd1=I Have Nothing)] === [[I'm Every Woman]]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노래, rd1=I'm Every Woman)] === [[Run to You]]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노래, rd1=Run to You)] [[분류:휘트니 휴스턴]][[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분류:1992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팝]][[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사운드트랙 음반]][[분류: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