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 II]][[분류:소프트 록]][[분류:1969년 노래]][[분류:레드 제플린 노래]] [include(틀:Led Zeppelin II)] ||<#6a4638> '''Thank You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996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60년대 명곡, 순위=1578)] ---- }}} || ||<#6A4638><-2> '''{{{+1 Thank Yo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2KbOAc8vmk,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10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Led Zeppelin II|'''{{{#f5a276 Led }}} {{{#ea81c3 Zeppelin }}} {{{#000 II}}}''']]}}} || || '''장르''' ||[[소프트 록]] || || '''러닝 타임''' ||4:50 ||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 || '''연주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로버트 플랜트|{{{#D5CDA6 '''로버트 플랜트'''}}}]]}}} 리드 보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지미 페이지|{{{#D5CDA6 '''지미 페이지'''}}}]]}}} 리드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존 폴 존스|{{{#D5CDA6 '''존 폴 존스'''}}}]]}}} 베이스 기타, 하몬드 오르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존 본햄|{{{#D5CDA6 '''존 본햄'''}}}]]}}} 드럼 }}}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 == 개요 == [[레드 제플린]]의 2집인 [[Led Zeppelin II]]의 수록곡. == 상세 == 레드 제플린 커리어에서 [[The Rain Song]]과 더불어서 가장 소프트한 곡이며, 사랑을 주제로 한 발라드 넘버이다. 가사 내용을 요약하자면 ‘그 어떤 일이 있다고 해도 당신만을 사랑하겠습니다’인데, 사실 이 곡은 [[로버트 플랜트]]가 그의 아내인 ‘모린 윌슨’에게 바치는 곡이다. 그렇기에 보통 가사가 야해서 PC주의자들에게 여성 혐오 가사라고까지 비난받는 레드 제플린의 여타 곡들과는 달리 굉장히 아름다운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대비되는 일화로 [[AC/DC(밴드)|AC/DC]]의 보컬리스트 [[본 스콧]]은 그의 아내가 “나를 위한 가사를 써 주지 않을래?”라고 부탁하자, 그는 ‘She’s Got [[고환|Balls]]’라는 곡을 작사했고(…), 아내는 그를 떠나갔다고.] [[기타]] 연주도 아름답지만 초반과 마지막의 [[존 폴 존스]]의 애절한 [[하몬드 오르간]] 연주가 특히 인상적인 곡이다. 로버트 플랜트의 보컬 또한 인상적이다. 라이브는 2집 투어 때부터 1970년까지는 했으나 1971년부터 3, 4집 수록곡들이 셋리스트에 증가하면서 빠졌다. 코드 진행이 [[트래픽(밴드)|트래픽]]의 "Dear Mr.Fantasy"와 유사하다고 지적받기도 했는데, 전반적인 곡 분위기는 상당히 다르다. 오히려 곡 구조를 보면 "Dear Mr.Fantasy"는 [[The Lemon Song]]과 더 유사한, [[보컬]]과 [[기타]] 하모니의 조화에 신경쓴 대곡이다. 그리고 "Dear Mr.Fantasy"도 록 역사상 명곡 중의 하나로 [[레드 제플린]]을 좋아하는 애청자라면 이 곡도 쉽게 좋아할수 있을 것이니 필청을 권한다. == 가사 == ||<:> ---- '''{{{+2 Thank You}}}''' ---- If the sun refused to shine 태양이 빛나기를 거부한다 할지라도 I would still be loving you. 저는 여전히 당신을 사랑하고 있을 것입니다. When mountains crumble to the sea 산이 바다로 무너질 때에도 there will still be you and me 당신과 저는 여전히 있을 것입니다. Kind woman, I give you my all 그대여, 저는 당신께 모든 것을 바칩니다. Kind woman, nothing more 당신 이상의 것은 없습니다. Little drops of rain whisper of the pain 작은 빗방울이 고통을 속삭입니다. tears of loves lost in the days gone by 지나간 날들에 잃어버린 사랑의 눈물 My love is strong with you there is no wrong 제 사랑은 당신과 함께 강렬하고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together we shall go until we die. My, my, my. 우리는 죽을 때까지 함께일 것입니다. An inspiration is what you are to me 이 감흥은 당신이 제게 있는 그대로입니다. Inspiration, look see 이 감흥을 보세요. And so today, my world it smiles 그리고 오늘, 저의 세계는 미소를 짓고 your hand in mine, we walk the miles 제 손을 잡고, 우리는 걷습니다. Thanks to you it will be done 당신 덕분에 잘 될 것입니다. for you to me are the only one 제게는 오직 당신 뿐입니다. Happiness, no more be sad 행복뿐, 더이상 슬퍼하지 마세요. Happiness, I'm glad. 행복뿐, 저는 기쁩니다. If the sun refused to shine 태양이 빛나기를 거부한다 할지라도 I would still be loving you 저는 여전히 당신을 사랑하고 있을 것입니다. When mountains crumble to the sea 산이 바다로 무너질 때에도 there will still be you and me 당신과 저는 여전히 있을 것입니다.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 로고 (2집 전용).png|width=130]]]] ---- || == 관련 문서 == * [[고음/노래 목록/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