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Dawn FM)] |||| [[파일:takemybreath.jpg|width=2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akeMyBreathbyTheWeekndSingleAlbumCov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확장판 앨범 아트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텤마붸확짱판.jpg|width=96%]]}}}}}}}}} || || '''수록 음반''' ||[[Dawn FM|[[파일:DawnFMlogo.webp|width=30%]]]]|| || '''발매일''' ||'''2021년 8월 6일'''|| || '''작사·작곡''' ||'''[[The Weeknd|에이블 테스페이]], [[맥스 마틴]]''', [[Belly|아마드 발쉬]], 오스카 홀터|| || '''프로듀서''' ||'''에이블 테스페이, 맥스 마틴''', 오스카 홀터 || || '''장르''' ||'''[[신스웨이브]], [[댄스 팝]], [[포스트 디스코]]'''|| || '''길이''' ||'''3:40'''[* 확장판(Extended Version)의 경우 5:51, 앨범 수록 버전은 5:39]|| || '''레이블''' ||[[XO|[[파일:xologoreverse.png|width=22&bgcolor=#fff]]]] [[유니버설 뮤직 그룹#s-2.1.4|[[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5&bgcolor=#fff]]]]|| ||<#C9DCE3> '''[[빌보드 핫 100|[[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100]]]]''' ||'''6위''' || ||<#C9DCE3> '''[[Official Charts|[[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width=100]]]]''' ||'''13위'''|| ||<#C9DCE3> '''[[스포티파이|[[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width=100]]]]''' ||'''262,462,612회''' ^^2022년 1월 3일 기준^^|| ||<#C9DCE3> '''[[YouTube|[[파일:유튜브 로고.svg|width=100]]]]''' ||'''141,701,663회''' ^^2023년 4월 1일 기준^^|| [목차][clearfix] == 개요 == ||<-5><#332E18> '''{{{#White [[The Weeknd|{{{#White The Weeknd}}}]]의 싱글}}}''' || || Better Believe[br](2021) || → || '''Take My Breath'''[br](2021) || → || [[Hurricane(카니예 웨스트)|Hurricane]][br](2021) || 2021년 8월 6일 발매된 싱글이자 [[더 위켄드]]의 정규 5집 ''[[Dawn FM]]''의 수록곡. 히트곡 "[[Can't Feel My Face]]"를 기점으로 꾸준히 더 위켄드와 매 정규 앨범에서 함께하고 있는 전설적인 팝 프로듀서 '''[[맥스 마틴]]'''이 오스카 홀터와 함께 공동 프로듀싱에 참여했다. 작사에는 XO 레이블 소속 동료 아티스트 [[Belly|아마드 발쉬(Belly)]]가 참여했다. 또한 5집 앨범에서는 확장판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평가 및 수상 == [[더 가디언|The Guardian]] 지에서 별점 5점 만점을 수여하며, "즉흥적인 디스코 팝 걸작(an instant disco-pop masterpiece)"이라고 호평했다. NME에서는 별점 5점 만점 중 4점을 수여하며 호평했다. [[빌보드]]에서는 이 곡의 보컬 프로덕션이 1970, 80년대 디스코 시대의 선구자 [[Donna Summer]]의 곡 '[[I Feel Love]]'와 비견될만 하다며 상당한 호평을 남겼다. [[피치포크 미디어]]는 이번에도 역시 Max Martin의 프로듀싱을 호평했으며, Martin이 인트로부터 과감하게 [[Giorgio Moroder]]의 영향이 강한 신스음을 사용한 것에 주목했다. 또한 극도로 전염성있는 멜로디에 큰 호평을 남겼다. Consequence of Sound에서는 Song of the Week에 "Take My Breath"를 꼽으며 호평했다. [[뉴욕 타임즈]]는 이 곡의 레트로한 매력을 조명하며 "디스코와 전자 피아노, 팔세토 보컬은 마치 옛 [[비 지스]]의 곡이 들리는 것 같다"고 호평했다. 전체적으로 ''[[After Hours]]''의 Era를 끝내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싱글로 상당히 적합하며, 프로듀싱과 곡의 완성도에 상당한 호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In Your Eyes", "[[Blinding Lights]]", "[[Save Your Tears]]" 같은 전작 ''[[After Hours]]''의 신스웨이브 곡들과 장르적 결은 같으나, [[Michael Jackson]], Donna Summer 등을 위시로 한 70, 80년대 디스코풍의 영향력이 크게 가미되었으면서도 동시에 상당히 현대적으로 재해석 된 것 역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곡의 프로듀싱에 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곡의 분위기가 [[Daft Punk]]의 ''[[Random Access Memories]]''와 [[Michael Jackson]]의 ''[[Off the Wall]]''을 위시로한 포스트 디스코 음반을 떠오르게 하는데, 다프트 펑크의 해당 음반 자체가 일렉트로니카의 전설 [[조르조 모로더]]와 마이클 잭슨의 ''Off the Wall''과 ''[[Thriller]]''에게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프로듀서 맥스 마틴은 조르조 모로더의 신디사이저 영향을 강하게 받은 신스음과 디스코 사운드를 곡 전반에 걸쳐 배치했다. 또한 자칫 분위기가 단순하게 7-80년대 디스코풍으로 밝아질 수 있었으나, 곡의 흐름이나 템포를 변칙적으로 넣거나 중단시켜 디스코 특유의 클리셰를 깼으며, 이전 히트곡 "[[Blinding Lights]]"를 떠오르게 만드는 상당히 묵직한 베이스음과 [[BDSM|무거운 주제]]의 가사를 더해 현대적이면서도 '''The Weeknd스러운''' 음악으로 탈바꿈하게 만들었다. 특히 The Weeknd의 보컬은 "[[Can't Feel My Face]]"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역시 아예 대놓고 마이클 잭슨의 보컬을 떠오르게 한다. == 성적 == 전 세계 음원차트 20여 개국에서 Top 10을 달성했다.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는 첫 주 6위로 데뷔했다. 그러나 바로 직전 솔로 명의 싱글이 차트 1위를 달성한 "[[Save Your Tears]]"였던 것에 비해 상당히 저조한 성적을 거뒀으며, 다음 주 곧바로 Hot 100 차트 Top 10 밖으로 밀려났다. 이후 수 주 간 Top 10에 재진입을 하지 못했다. 오히려 Save Your Tears가 롱런을 하며 꾸준히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평단의 평가가 상당히 긍정적임에도 대중적으로는 굉장히 저조한 성적으로 사실상 5집 앨범의 리드 싱글임에도 별다른 프로모션을 진행하지 않았다. 이후에는 [[Kanye West]], [[Lil Baby]]와 함께한 "Hurricane", [[Post Malone]]과 함께한 "[[One Right Now]]", [[rosalia]]와 함께한 "La Fama" 등의 새 싱글을 내놓았으며, 이후 5집 앨범 출시 이후 첫 싱글로 "Sacrifice"를 선택했다. == 가사 == || {{{#fff '''원문'''}}} || {{{#fff '''해석[* [[https://hiphople.com/lyrics/20973798|출처]], 해석 일부 수정]'''}}} || ||<^|1> [br][Verse 1] I saw the fire [[After Hours#s-6.1.3|in your eyes]] I saw the fire when I look into your eyes You tell me things you wanna try (Uh) I know temptation is the devil in disguise You risk it all to feel alive, oh yeah You're offering yourself to me like sacrifice You said you do this all the time Tell me you love me if I bring you to [[Blinding Lights|the light]] [Pre-Chorus] It's like a dream what she feels with me She loves to be on the edge [[마조히즘|Her fantasy]] is okay with me Then suddenly, baby says [Chorus] [[브레스 컨트롤|Take my breath away]] And make it last forever, babe Do it now or never, babe (Ah) Take my breath away Nobody does it better, babe Bring me close to— [Verse 2] Want me to hold onto you tight You pull me closer, [[I Feel It Coming|feel the heat between your thighs]] (Uh, say) You're way too young to end your life (Huh) Girl, I don't wanna be the one who pays the price [Pre-Chorus] Ooh, it's like a dream what she feels with me She loves to be on the edge Her fantasy is okay with me Then suddenly, baby says [Chorus] Take my breath away And make it last forever, babe Do it now or never, babe (Ah) Take my breath away Nobody does it better, babe Bring me close to heaven, babe (Uh) Take my breath [Bridge] Oh, oh-ooh And they'll see me Oh-ooh, ooh (Yeah, say) Oh-oh, oh-oh Oh-oh, oh-oh Oh-oh, oh-oh Oh-oh [Chorus] Take my breath away (Take my breath a—, breath away) And make it last forever, babe Do it now or never, babe (Ah) Take my breath away (Take my breath a—, breath away) Nobody does it better, babe Bring me close to heaven, babe Take my breath (Take my breath a—, breath away) (Nobody) Take my breath (Take my breath a—, breath away) Nobody does it better, babe Bring me close to heaven, babe (Uh) Take my breath [br] ||<^|1> [br][Verse 1] 네 눈에서 타오르는 불꽃이 보여 네 눈을 들여다보면 타오르는 불꽃이 보여 네가 내게 하고 싶은 것들을 말해주면 이 유혹이 악마의 속삭임이란 걸 알 수 있어 살아있단 기분을 느끼기 위해 모든 걸 내던지는 네가 스스로를 희생하듯 내게 너를 맡기고 있잖아 넌 항상 이래왔다고는 하지만 내가 널 [[Blinding Lights|빛]]으로 꺼내줄테니 날 사랑한다고 말해줘 [Pre-Chorus] 나와 느끼는 게 꿈만 같다는 너 아슬아슬한 걸 좋아해서 [[마조히즘|그녀의 환상]]은 내게 문제 없지 그러다 갑자기, 그녀가 말하길 [Chorus] [[브레스 컨트롤|내 숨을 멎게 해줘]] 그리고 이 순간이 영원토록 만들어줘 지금이 아니면 안돼 내 숨을 멎게 해줘 아무도 당신보다 나을 수 없어 날 더 가까이 - [Verse 2] 너는 더 끌어안아주길 원해 날 끌어당기며 [[I Feel It Coming|네 다리 사이의 온기]]를 느끼게 해 이렇게 죽기엔 넌 너무 어린데 나는 그런 대가를 짊어지고 싶지는 않아 [Pre-Chorus] 나와 느끼는 게 꿈만 같다는 너 아슬아슬한 걸 좋아해서 그녀의 환상은 내게 문제 없지 그러다 갑자기, 그녀가 말하길 [Chorus] 내 숨을 멎게 해줘 그리고 이 순간이 영원토록 만들어줘 지금이 아니면 안돼 내 숨을 멎게 해줘 아무도 당신보다 나을 수 없어 날 더 천국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줘 숨도 못 쉬게 [Bridge] Oh, oh-ooh 그리고선 그들이 날 볼거야 Oh-ooh, ooh (Yeah, say) Oh-oh, oh-oh Oh-oh, oh-oh Oh-oh, oh-oh Oh-oh [Chorus] 내 숨을 멎게 해줘 (숨도 못 쉴만큼) 그리고 이 순간이 영원토록 만들어줘 지금이 아니면 안돼 내 숨을 멎게 해줘 (숨도 못 쉴만큼) 아무도 당신보다 나을 수 없어 날 더 천국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줘 (숨도 못 쉴만큼) 내 숨을 멎게 해줘 (숨도 못 쉴만큼) (그 누구도) 내 숨을 멎게 해줘 (숨도 못 쉴만큼) 아무도 당신보다 나을 수 없어 날 더 천국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줘 내 숨을 멎게 해줘 [br] || === 설명 === 가사가 상당 부분 [[마조히즘|SM]]을 암시하는 내용이다. 뮤직비디오 역시 등장하는 여성이 The Weeknd의 [[브레스 컨트롤|목을 조르는 장면]]이 등장하며, SM하면 떠오르는 [[라텍스 페티시]] 등을 암시하는 장면이 다분하다. 직접적으로 밝히는 단어가 없다시피 할 뿐, 단순한 문맥만으로도 상당히 적나라하다. 화자는 자신에게 가학적으로 대해달라는 상대에게 '너를 [[Blinding Lights|빛]]으로 꺼내줄테니 나를 사랑한다 말해달라', '이렇게 죽기엔 넌 너무 어린데', '나는 그런 [[살해|대가]]를 짊어지고 싶지는 않아' 등의 말을 꺼내며 상황을 회피한다. 사실상 ''[[Beauty Behind The Madness]]'' 제목을 떠오르게 만든다. 뮤직비디오의 시나리오 플롯은 "[[I Feel It Coming]]"과 "M A N I A"와 상당히 비슷하며, 전체적인 비주얼은 영화 ''[[매트릭스 시리즈]]''를 연상케 한다. == 뮤직비디오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rhTl_OyehF8)]}}}|| ||<#332E18> {{{#White {{{+1 '''Take My Breath 공식 뮤직 비디오'''}}}[* 중간중간 빛이 번쩍거리는 효과들이 적지 않게 나오므로 [[광과민성 발작|빛에 민감하거나]] [[뇌전증]] 환자인 경우 시청에 유의하여야 한다.][br] 2021년 8월 6일 공개.}}}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eT1E3gmST9U)]}}}|| ||<#332E18> {{{#White {{{+1 '''Take My Breath 공식 오디오'''}}}[br] 2021년 8월 6일 공개.}}}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qYbm8HJlwMs)]}}}|| ||<#332E18> {{{#White {{{+1 '''Take My Breath 확장판 공식 오디오'''}}}[* The Weeknd가 진행하는 Apple Music의 쇼 'MEMENTO MORI'의 '에피소드 14: Forgive Me Father For I Have Synthed'에서 공개된 버전이다. 프로듀서 Max Martin은 보통 곡을 완성하기 전에 여러 가지 버전을 만든다. 그 중 넣을 수 있는 최대한의 것들을 가감없이 다 넣고 거기서 곡 길이를 줄이거나 편집 및 프로듀싱 해나가는 방식으로 완성하는데, 이 확장판 역시 완성본의 편집 직전의 곡으로 추정된다.][br] 2021년 8월 10일 공개.}}}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BOtuzmEei7w)]}}}|| ||<#332E18> {{{#White {{{+1 '''Take My Breath 공식 Instrumental'''}}}[br] 2021년 8월 10일 공개.}}} || == 여담 == * 이 곡의 뮤직비디오는 영화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The Suicide Squad]]>의 IMAX 상영장에서 공개될 예정이었으나 뮤직비디오의 빠른 플리커링 효과 때문에 관객들의 광과민성 발작(뇌전증)이 우려되어 공개가 취소되었다. 대신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의 새 앨범 ''[[Donda]]''의 수록곡 "Hurricane"[* ''[[Yandhi#s-5]]''시절 유출되었던 곡이다.]에 참여하면서 같은 리스닝 파티에서 자신의 곡을 공개했다. 물론 리스닝 파티를 2번 연 칸예는 --역시--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다. * [[2020 도쿄 올림픽]]의 프로모션 영상에서 OST로 사용되었다. * 보수적인 장르 분류 기준으로 "Take My Breath"는 R&B로 분류하지 않는다. "[[Blinding Lights]]"는 전체적으로 신스 팝의 줄기에서 R&B 바이브를 넣은 얼터너티브 R&B 장르의 곡으로 분류될 수 있었지만, 이 곡은 위켄드의 바이브가 상당히 절제되어 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계획적으로 짜여진 21세기형 팝의 모습을 띄고 있다. 그러나 기준으로 인해 분류되지 않을 뿐 음악 속 R&B의 영향력은 상당하다. *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6위로 데뷔했고 이는 더 위켄드의 13번째 Top 10 진입 곡이 되었다. 2주차에는 13위로 떨어지며 하락폭이 꽤 크다. * The Weeknd가 [[Dolby Atmos]]와 [[애플 뮤직]]과 협업하여 애플 뮤직에서 Dolby Atmos를 적용한 'Take My Breath' 음원을 공개 영상과 함께 발표했다. [youtube(Qd1ZFLsVtgo)] [[분류:The Weeknd]][[분류:빌보드 핫 100 6위 노래]][[분류:2021년 노래]][[분류:2021년 싱글]][[분류:신스웨이브]][[분류:댄스 팝]][[분류:포스트 디스코]][[분류:Dolby Atmos 지원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