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글쇠]] [include(틀:QWERTY 키보드)] [목차] == 개요 == 탭(Tabulator) 키는 보통 [[키보드]] 아래에서부터 네 번째 줄의 왼쪽 끝에 있다. 포커스나 [[커서]](캐리지)를 옮기거나 들여쓰기를 하는 데 쓰인다. Tap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 역사 == [[타자기]]에는 tabulator(간 매기쇠)가 있었으며, 미리 설정한 간매기로 가늠쇠를 옮겨준다. 이를 통해 도표(Table)를 작성할 때 멀리 떨어진 행간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넘어갈 수 있었으며, 이는 컴퓨터에서 Tab키로 이어진다. == 기능 == === 워드프로세서 === [[워드프로세서]]에서 탭 키를 누르면 커서를 다음 탭 위치로 옮긴다. 탭 키를 누르면 수평 탭 문자(U+0009)가 입력되는데, 그것을 워드프로세서가 탭 설정대로 알아서 처리하는 식이다. 보통은 문단 설정에서 탭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으며, 탭 위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기본 탭 길이를 따른다. 탭 위치의 종류로는 왼쪽 탭, 가운데 탭, 오른쪽 탭, 소수점 탭 등이 있다. 말 그대로 탭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가운데, 오른쪽, 소수점 정렬이 된다. 커서가 [[표]] 안에 있는 경우에는 다음 셀로 커서를 옮긴다. 현재 커서 위치가 마지막 셀인 경우 아래에 한 행을 추가하여 그 행의 맨 앞 열로 커서를 옮긴다. 표 안에서 [[Ctrl]]+Tab을 누르면 커서를 다음 셀이 아니라 표 밖에서 탭 키를 누른 것처럼 다음 탭 위치로 옮긴다. === 텍스트 에디터 === 텍스트 에디터에서는 설정에 따라 탭 문자(U+0009)를 넣거나, 다음 탭 위치까지 [[화이트스페이스|space 문자]](U+0020)를 넣는다. 전자의 경우 텍스트 에디터의 탭 표시 설정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다른 텍스트 에디터에서도 동일하게 표시되며, 탭 길이 설정이나 커서 위치에 따라서 입력되는 공백 문자의 수가 다르다. 여러 줄 블록을 씌우고 탭 키를 누르면, 블록이 씌워진 줄 모두의 앞에 탭 문자나 탭 길이만큼의 space 문자를 추가해 들여쓰기를 하는[* Shift+Tab을 누르면 반대로 동작해서 제거, 내어쓰기] 텍스트 에디터도 있다. 탭 길이는 8칸이었지만 계속 줄어들어 요즘은 2칸이냐 4칸이냐로 논쟁중이다. === 일반적인 GUI에서의 동작 : 커서(포커스) 이동 === 탭 키를 누르면 보통 다음 폼으로 포커스가 넘어간다. [[Shift]]+Tab을 누르면 이전 폼으로 포커스가 넘어간다. 흔한 용례로는, 로그인할 때 계정을 입력하고 나서 바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탭 키를 누르는 것이 있다. [[GUI]] 환경이더라도 대부분[* 일부 웹 페이지나 프로그램에서는 안 될 수도 있다.] 탭 키와 더불어 여러 가지 키를 이용하여 커서를 옮길 수 있으면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 없이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굉장히 극단적인 경우지만, 1,000개 이상의 폼이 있는 경우에도 마우스 없이 사용하는 것이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가능하다.]] === 요약 및 단축키(Hot key) 활용 === * Tab: 탭 문자 삽입, 들여쓰기(텍스트 에디터), 다음 셀로 커서 이동(표), 다음 폼으로 포커스 이동(GUI). * Ctrl+Tab: 탭 전환[* 여기서의 탭은 Tabbed Interface의 Tab을 말한다. 이 화면에서 이 단축키를 눌러 보면 웹브라우저의 다음 탭으로 넘어갈 것이다.] * [[알트탭|Alt+Tab]]: 창 전환 * [[윈도우 키|Win]]+Tab * [[Windows XP]]: 작업표시줄에서 창 선택 * [[Windows Vista]], [[Windows 7]]: [[에어로]] 탭 * [[Windows 8]], [[Windows 8.1]]: 앱 전환 * [[Windows 10]]: 작업 보기(멀티 데스크톱) 위 [[단축키]]에서 Shift 키를 함께 누르면 일반적으로 같은 기능이 반대방향으로 작동한다. == 여담 == 탭 문자로는 수평 탭 문자(U+0009)와 수직 탭 문자(U+000B)가 있는데, 이 문자는 보통 Tab 키로 입력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탭, version=47, paragraph=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