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어 이외의 위키)] ||<-2><#DDD><:> {{{+1 '''티비트롭스'''}}} [br]TV Tropes || ||<-2> [[파일:external/s3-us-west-2.amazonaws.com/tv-logo.png|width=100%]] || || '''종류''' ||[[위키위키]] || || '''국가''' ||[[미국]] || || '''언어''' ||[[영어]]를 포함한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Administrivia/HomePagesByLanguage?from=Main.LanguageIndices|18개]]의 언어들. 기본 언어는 영어 || || '''회원가입''' ||선택[* 기여는 가입해야지만 할 수 있다.] || || '''소유''' ||[[https://tvtropes.org/pmwiki/about.php|Drew Schoentrup, 크리스 리치먼드]] || || '''개설''' ||[[2004년]] 4월 || || '''바로가기''' ||[[http://www.tvtropes.org|바로가기]] || || [[파일:attachment/lampshade_logo_blue.png|width=200]] || || 구 로고 || [목차] [clearfix] == 개요 == >{{{+1 '''Welcome to TV Tropes'''}}} >'''THE ALL-DEVOURING POP-CULTURE WIKI''' >{{{+1 '''TV Tropes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대중매체 위키''' > >Merriam-Webster defines trope as a "figure of speech." For creative writer types, tropes are more about conveying a concept to the audience without needing to spell out all the details. >메리엄-웹스터 영영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trope|"Trope"는 "표현의 방식"을 의미한다.]] 창작가의 경우, Trope는 독자에게 어떠한 개념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고 전달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The wiki is called "TV Tropes" because TV is where we started. Over the course of a few years, our scope has crept out to include other media. Tropes transcend television. They reflect life. Since a lot of art, especially the popular arts, does its best to reflect life, tropes are likely to show up everywhere. >본 위키의 이름이 "TV Tropes"인 것은 처음 시작이 TV였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사이 그 범위가 다른 매체를 포괄하게 되었다. Trope는 텔레비전을 초월한다. Trope는 삶을 반영한다. 수많은 예술 매체, 특히 대중 매체가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주려 하는 만큼, Trope는 여기저기서 나타나게 된다. > >- 메인 페이지 == 개요 == TV Tropes는 [[대중매체]] 관련 영문 [[위키]]이다. == 역사 == 원래는 [[2004년]] 미국의 드라마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의 팬사이트로 시작했지만, 이후 애니, 소설, 게임 등 온갖 매체들을 총망라하는 사이트로 변모하였다. [[서브컬처]] 사이트라기보다는 [[대중매체]] 전반을 다루는 사이트에 가깝다. == 특징 ==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클리셰]]와 [[캐릭터의 유형]], [[캐릭터/목록]]을 다루는 '''[[나무위키]]의 천조국 버전'''이라 할 수 있겠다. 2019년 이후 주관적 예시에 관한 토론이 발제될 시 삭제가 우선되는 여기 나무위키와는 달리 예시에 맞는 설명이 있다면[* 물론 예시에 맞는 설명을 추가하지 않고 예시만 추가하면 경고를 받을 수 있다. 다행히 [[서브컬처]] 위주다 보니 [[위키백과]] 보다는 출처를 적는 것에 빡빡하지는 않은데 이런 점은 출처를 의무화하지 않는 이 [[나무위키]]와 비슷하다.] 예시를 추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면에서는 나무위키에 비해 큰 규모를 갖고 있다. 나무위키 문서 수가 [[https://meta.wikimedia.org/wiki/List_of_largest_wikis#List_of_largest_other_wikis|TV Tropes 문서 수보다 많긴 하지만]], 애초에 나무위키는 모든 분야에 대해 다루는데 비해 TV Tropes는 [[서브컬처]] 위주로 했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이 나무위키와 비교하자면, TV Tropes는 작품과 작품의 등장인물이 가진 '''속성'''들에 치중했다고 볼 수 있다. TV Tropes에서 그 캐릭터의 개요는 간략히 소개한 후 그 캐릭터가 [[캐릭터의 유형]]이나 [[캐릭터/목록]]에 속하는 어떠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일례로 한 캐릭터의 속성일 수 있는 "학생회장, 혼혈, 쿨계 누님" 등등의 [[클리셰|Tropes]]들이 목록 형식으로 링크되어 있고, 그 링크 옆에 해당 캐릭터가 왜 그 속성을 가졌는지 간단한 설명이 나와있다. [[클리셰|Tropes]]들에만 관심이 있기 때문에, [[마법사]], [[드래곤]], [[개]], [[원자]], [[자동차]] 같은 식의 일반 개념은 검색해도 나오지 않고, 대신 저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작품 제목이나 Tropes들이 검색될 뿐이다. 사이트의 기본적인 성격은 창작물에 등장하는 가지각색의 [[클리셰]]들을 'Trope'[* 엄밀하게 말해 [[클리셰]]와 트룹은 의미상 차이가 있다. 어떤 트룹이 지나치게 사용되어 예측 가능해지고 심지어 사람을 오글거리게 만드는 성질의 트룹이 되었을 때, 이 트룹을 클리셰라 부른다. 간단하게 클리셰=부정적인 트룹. 클리셰라는 것은 다분히 주관적인 관점에서 평가되고 형성되는 것이므로, 어떤 사건, 인물, 배경 등에 대한 공통적인 특징에 대하여 말을 할 때는 클리셰라는 단어 보다 트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하지만 이미 국내에서는 클리셰라는 단어가 트룹이라는 단어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바꾸기가 힘들다.]라 불러 분석, 분류해 놓았다. 단지 이것만으로도 수천 개는 우습게 채우는데, 거기에 웬만한 인지도가 있는 작품들은 아예 따로 문서를 만들어 등장한 Trope들을 다 분류해 놓는 [[근성]]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WMG라 불리는 [[독자연구]] 칸, Trope 응용예시 칸 등, 하나의 항목에 여러 개의 탭이 달려서 그 규모는 더더욱 커지게 된다.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서로 'Troper'라 부르며, 포럼도 따로 있다. 이 포럼에서도 독자연구 등의 활동이 활발하다. Trope 위주의 서술방식이다 보니 다른 항목과 공통점, 유사성 등을 찾는 데는 좋지만, 서술에 좀 제한이 간다는 단점이 있다. 또 trope도 유사한 것들이 좀 있어서 같은 특성도 어디에 들어가야 하는지 파악하기 힘들 때도 있다. 가입을 해야지만 수정을 할 수 있다. 워낙에 거대한 사이트인데다 '''[[양덕후]] 사이트'''인지라 해외 웹을 뒤지는 오덕들이라면 엄청난 정보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자기가 관심있는 부분이 어떤 문서에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온갖 유머러스하면서 중독성 있는 코멘트도) 보다 보면 어느새 몇 시간은 훌쩍 간다. 사이트 자체에서도 [[위키위키]] 특유의 중독성을 아는지,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TVTropesWillRuinYourLife|TV Tropes Will Ruin Your Life(TV Tropes가 당신 인생을 망쳐놓는다)]]"'''라는 문서를 만들어 놓았다. 웹코믹 [[xkcd]]에서도 [[http://www.xkcd.com/609/|지적한 바 있다.]] [[마왕을 위한 지침서]] 또한 기록되어 있으며([[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Main/EvilOverlordList|여기]] 특히 클리셰 분석이 잘 되어 있다), 한술 더 떠서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JustForFun/TheUniversalGenreSavvyGuide|The Universal Genre Savvy Guide]]도 있다. 악당(컬트 신도들, 쫄따구, 여왕 등등), 영웅, 방관자 등 온갖 인물 군상을 위한 지침서 목록 등도 있다. [[스포일러]]를 경계하기 때문에, 스포일러가 될 만한 부분에는 하얀 글씨로 써 있어서 드래그를 해야지만 볼 수 있다. 물론 사이트 옆의 표시 옵션을 조작해 스포일러를 볼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우선 사이트 자체가 '''[[영어]]'''라는 점에서 뒤지는 데만도 영어 실력이 되어야 하는 데다가, 사이트 내에서만 통용되는 [[은어(언어학)|은어]]들이 한둘이 아닌지라 헷갈릴 수 있다. 또한 오덕계 정보, 특히 성우 계열을 보면 정보가 부족해서인지 성우들에 대한 인식이 북미에 알려진 작품 위주로만 작성되어 있다. 예로 [[세키 토모카즈]]에 대해선 [[도몬 캇슈]]의 성우라는 것 이상의 인식은 없다. 위에 걸린 링크처럼 해외 웹상의 유명 인물들(웹코믹 작가, 동영상 제작가 등) 중 이 사이트를 인용하는 경우도 있는 듯. 외국의 브라우저 기반 웹게임 Kingdom of Loathing에서는 [[http://kol.coldfront.net/thekolwiki/index.php/Tome_of_Tropes|'''몹'''으로도 출연한 전적이 있다.]] 사이트 마스코트로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JustForFun/TropeTan|Trope-Tan(트로프땅)]]이 있다. Fawriel이라는 Troper가 만들었다. 당연하지만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UsefulNotes/SouthKorea|대한민국 관련 정보]]들도 적혀 있다. 그래도 [[웹툰]], [[온라인 게임]], [[강남스타일]], [[변신 자동차 또봇|또봇(좀 애매하지만)]], [[리그베다 위키]]([[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Wiki/RigVedaWiki|링크]])[* [[리그베다 위키|해당 위키]]가 한국판 TV Tropes로 묘사된다지만, TV Tropes에 비해 비판적인 게 많다고 나왔다. 아쉽게도 [[리그베다 위키]]가 몰락한 후 [[나무위키]]로 사용자들이 옮겨갔음에도 불구하고 TV Tropes에 나무위키 문서가 따로 없다.] 등 유명한 것들은 꽤 자세한 편. 심지어 몇몇 문서는 [[나무위키]]보다 정보량이 많다. 관심있는 사람들은 한번 추가해 볼 만 하다.[* 대한민국 하면 '''[[스타크래프트]]와 엮이는''' 문서가 많다. 이를테면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UsefulNotes/SouthKoreansWithMarines|이런 거.]](Other Marines가 스타크래프트로 링크가 걸려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호의적인 것만 서술된 건 아니다. 한국 관련 글 역시 그다지 좋지 않다. 그나마 [[비무장지대|DMZ]] 하나는 [[결과는 좋았다|결과가 좋았기 때문에]] 잘했다고들 하는 모양이다. 한국의 경우 "[[화장실 개그|똥오줌, 방귀, 트름 등을 소재로 한 개그]]에 대해 매우 친화적"이라고 전형적인 아시아의 표본이라 하며 싫어하는 것도 있으며, 비이성적, [[반지성주의]]적인 전개가 주가 된다고 싫어하는 것도 있다. '한국 애니메이션은 일본 애니메이션에 비해 [[화장실 개그]]를 열띄게 사용한다' 혹은 '한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에게는 천박하다고 여겨지지만, [[한국인|네이티브]] 시청자들에게는 재미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라는 서술도 있을 지경. 당장 여기 나무위키 [[오줌/미디어]] 문서 보면 일본 작품이 대다수를 차지함에도 말이다. 한국 애니메이션 대부분이 더러운 것을 소재로 한 것이 많은 건 팩트이긴 한데 문제는 한국 애니메이션 문서들에 화장실 개그가 있으면 아무런 설명 없이 "아시아 TV 쇼이니까 당연히 나온다." 라고 하는 게 문제다. 수정이 필요하지만 [[영어]]라는 장벽이 있어서 문제가 된다. [[북한]] 관련 글은 현실판 [[1984(소설)|1984]]라며 까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여담으로 이 사이트도 [[SOPA]]에 대해서는 가만 있지 않았다. 화면 상단에 검은색 배경의 'STOP SOPA'를 도배해 놨다. 2012년 1월 19일 지난 뒤에는 다시 원상복귀. [[위키백과|위키피디아]]가 출처를 중점으로 두다보니 다른 위키는 신뢰하지 않아 직링을 금지하는데, 정작 이건 위키인데도 직접 링크가 가능하다. ~~[[SCP 재단]]이 [[http://scpko.wikidot.com/scp-4445-j|신입 인원을 충당하는 곳]]이다.~~ === 사이트 내부의 하위 목록 === * Trope 페이지: 사전상의 의미는 '수사법'이지만, 사이트 내에서 [[클리셰]]를 아우르는 호칭. 사실상 이 사이트의 존재의의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 사이트만큼 클리셰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정리한 사이트가 거의 없기 때문. 페이지 이름은 사이트 특성상 [[언어유희]]나 인상 깊은 작품의 구절로 따오는 것이 원칙이라면 원칙. Trope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클리셰에 대한 설명, 관련된 다른 Trope 소개, 그리고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간략--하고 방대--한 소개. Trope 페이지는 YKTTW 페이지를 거쳐 만들어진다. 아래 문단 참조. * 작품 페이지: 작품마다 하나씩 주어진다. 작품 개요, 간단 요약 설명, 그리고 작품에서 등장한 Trope의 리스트가 보여진다. * YMMV: Your Mileage May Vary의 줄임말. 작품 페이지에 존재하는 하위 항목으로, 사람마다 정도를 다르게 받아들일 법한 항목을 따로 기재해 놓는다. 대체로 작품 외적인 Trope들은 여기로 온다 (주로 주제곡/BGM의 퀄리티 혹은 캐릭터성에 관련된 Trope). 때때로 애매한 항목이 메인에 분류되어 있으면 따로 주석을 달아놓기도 한다. * YKTTW: 'You Know, That Things Where...'의 앞글자를 딴 말. 의역하면 '왜 그, 그런 거 있잖아...' 정도. Trope를 만드는 판. 유저들이 클리셰를 정리하고 그럴싸한 --[[언어유희|말장난]]--이름을 지어 놓으면, 다른 유저들이 살을 붙여서 Trope로 만들어진다. * Headscratcher: 작품 페이지의 하위 페이지. 작품에 대한 사소한 의문점을 적으면, 누군가 답해주는 FAQ 페이지라고 보면 된다. 원래는 'It Just Bugs Me!'였는데, 어느 사이 바뀌었다. * Playing With: 한 장의 짤방으로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파일:attachment/playingwithtropes.png]] Trope 페이지의 하위 페이지로, Trope를 지지고 볶고 하여 다양하게 '가지고 노는' 페이지. 가지고 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Played Straight: 클리셰를 그대로 활용. * Justified: 클리셰를 활용하되, 작중 설정 등으로 정당화시킨다. * Inverted: 클리셰를 역으로 활용. * Subverted: 클리셰를 활용하는 척하면서 안한다. 문자 그대로 클리셰를 뒤집는 셈. * Double Subverted / Untwisted: Subvert를 다시 뒤집는다. 즉, 클리셰를 활용하지 않는 듯 해 놓고 나중에 쓴다. Untwisted는 아래의 Averted를 뒤집는 성격이 더 세다. * Parodied: 문자 그대로 [[클리셰]]를 [[패러디]]. * Deconstructed: 클리셰를 적용했을 때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보통 암울한) 전개를 벌여, 클리셰를 해체한다. * Reconstructed: 클리셰를 적용했을 때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전개를 벌이되, 이 과정에서 클리셰를 해체하지 않고 그대로 쓴다. * Zig-Zagged: 클리셰를 쓰다 안 쓰다 왔다갔다한다. * Averted: 아예 클리셰를 안 쓴다. [[참 쉽죠?]] * Enforced: [[어른의 사정]]에 의해 클리셰를 쓰는 경우. * Played for Laugh / Played for Drama: 클리셰를 사용하는 분위기에 변화를 준다. 코믹하게 가면 Laugh, 진지하게 가면 Drama. * Exaggerated / Downplayed: 클리셰를 과장하여 활용 / 클리셰를 약화시켜 활용. 이하의 항목은 작중 인물이 클리셰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활용된다. * Lampshaded: 작중 인물들이 클리셰를 눈치채는 듯한 대사나 암시를 준다.[* 램프 덮개(Lampshade)가 램프 아래로 빛을 모으듯, Trope의 존재와 의미에 대해 작품 내부에서 암시를 주는 것. 누군가 의문을 제기할 만한 사항에 대해 눈치채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Lampshade Hanging" 이란 항목이 따로 있다.] * Invoked: 작중 인물이 클리셰를 '''일부러 일으킨다.''' * Defied: 작중 인물이 클리셰를 '''일부러 막는다.''' * Discussed / Conversed: 작중에서 대놓고 클리셰에 대한 언급을 한다. Discussed는 작중 상황에서, Conversed는 작중작을 보고. * Exploited: 작중 인물이 클리셰가 일어날 것을 예감하고 써먹는다. * WMG: 'Wild Mass Guessing', 즉 '''[[독자연구]]'''를 위한 칸. 작품 페이지의 하위 페이지로, 작품의 전개에 대한 시청자들의 예상을 적는 것부터 시작해, 완전히 엉뚱한 작품과 크로스오버하기도 하면서 노는 판. * [[하이쿠|Haiku]]: 심심하면 영어로 하이쿠도 짓는다. * Laconic: [[바쁜 사람들을 위한 시리즈|바쁜 Troper들을 위한 Trope.]] 한줄로 요약된 Trope/작품 개요가 끝이다. [[참 쉽죠?]] === [[TV Tropes/Trope 목록|Trope 목록]] === == 사건사고 == === The Great Pedocide of late April 2012 === 2012년 4월 말에 [[몬무스 퀘스트]]나 [[번개의 전사 라이디]] 같은 성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페이지들이 대량삭제되었다.~~안돼!~~ 다행히 삭제된 페이지들이 인터넷에서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누군가가 저장해서 [[웹하드]]에 올려놓았다. [[Encyclopedia Dramatica]]에서 웹하드 링크와, 그 페이지를 기반삼아 ED스타일로 만든 페이지들을 정리해놓은 곳은 [[http://encyclopediadramatica.se/TV_Tropes_Response_To_Pedocide|여기]]인데 도메인이 아무도 사가지 않아 초기화되고 말았다. 혹시 모르니 웹하드로 직접 가는 링크를 걸어둔다. 저 ED페이지마저 지워지면 지워진 TV Tropes의 페이지를 찾기 골때리므로. [[http://www.mediafire.com/?zseukt2krxb38c8|링크]], [[http://www.sendspace.com/file/ctproo|링크 2]] == 기타 == 여담이지만, [[Fate/stay night]]도 [[야겜]]이란 이유로 지워진 적 있다. 이후 [[달빠]]들의 지속적인 항의로 인하여 복원된 상태. 표면적으로는 정치적 중립을 표방하지만 [[미국]]을 포함한 영어권 선진국들의 유저들이 많아서 그런지, 실제로는 [[SJW]], 페미니즘 등 [[정치적 올바름|PC]] 성향 이용자들에 의한 좌편향이 강하다. 또한 검열로 일부 트로프나 작품은 페이지를 생성할 수 없게 해놓았다. 이에 대항하여 TV Tropes의 내용을 [[포크(동음이의어)#s-1.3|포크]]하여 옮긴 사이트가 [[https://allthetropes.org/wiki/Main_Page|All The Tropes]]이다. 또한 [[FANDOM]] 위키 버전([[https://tropedia.fandom.com/wiki/Tropedia|Tropedia(구 All The Tropes Wiki)]])도 있다. [[FANDOM]] 위키 중에서 TV Tropes의 영향을 많이 받은 위키인 히어로즈 위키랑 빌런즈 위키가 존재하며 그 TV Tropes와 히어로즈 위키, 빌런즈 위키의 영향을 많이 받은 또다른 사이트로는 [[https://www.personality-database.com|Personality Database]]도 있다. 각종 미디어의 캐릭터들과 실존 인물을 MBTI별로 분류해서 볼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양덕후]] * [[위키/목록]] * [[클리셰]] * [[캐릭터의 유형]] * [[캐릭터/목록]] * [[성향(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분류:위키]][[분류:미국의 웹사이트]][[분류:200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