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include(틀:TU9)] ||<-2> [[파일:IMG_0518.jpg|width=250]] || ||<-2> '''{{{#FFF Der Verband TU9 German Universities of Technology e. V.[br]}}}''' || || '''설립년도''' || 2006년 1월 26일 ^^([age(2006-01-26)]주년)^^ || || '''본부''' || [[독일]] [[베를린]] || || '''회장''' || Wolfram Ressel[* 슈투트가르트 종합대학교 총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TU9은 [[독일]]을 대표하는 상위 9개 국립 [[공과대학]]의 공식 연합이다. 전통적으로 상위 9개 국립 공과대학의 비공식 연합단체로 존재해왔던 TU9은 창립 회장 Horst Hipler[* 칼스루에 공과대학교 총장]의 제안에 따라 2006년 1월 26일 협회의 본부와 사무실을 [[베를린]][* 주소 : Anna-Louisa-Karsch-Straße 2, 10178 Berlin]에 둔 공식 단체로 설립되었다. === 상세 === TU9은 1900년 이전에 설립된 국립 [[공과대학]] 중 규모가 크고 학문적 성과가 우수한 9개의 대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들은 2006년 공식 출범 이전부터 비공식 단체로 존재하였으나, [[2000년대]] 초 도입되기 시작한 볼로냐 프로세스(유럽학제개혁)[* 독일은 학사와 석사 과정을 통합해 배우는 마기스터/디플롬(5년제과정, 공학과정의 경우 Dipl.-Ing.으로 표기) 과정을 운영해왔다. 하지만 볼로냐 프로세스로 인해 미국식 학사, 석사, 박사 제도로 학제가 개편되었다.]에 대해 대학간에 합의된 의견을 내고자 공식 단체로의 격상이 논의되었다. [[2006년]] 1월 창립 회장 Horst Hipler은 회원 대학들의 [[총장]](또는 그 대리인)을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에 초대하여 상원회관에서 회의를 열었으며, 대학 간의 의견일치를 통하여 TU9의 공식 출범을 결정하였다. 당일 다음 회장이나 총장(또는 그 대리인)이 출범식에 참석하여 출범 헌장에 서명하였다. * Wolfgang A. Herrmann, [[뮌헨 공과대학교]] 총장 * Konstantin Meskouris, [[아헨 공과대학교]] 총장 * Horst Hipler,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총장, 창립회장 * Hermann Kokenge,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총장 * Jörg Steinbach, [[베를린 공과대학교]] 총장 * Erich Barke, [[라이프니츠 대학교|라이프니츠 종합대학교]] 부총장 * Dieter Fritsch, [[슈투트가르트 대학교|슈투트가르트 종합대학교]] 공과대학장 * Johann-Dietrich Wörner,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총장 * Jürgen Hesselbach,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부총장 TU9은 2006년 공식 출범 이후 작게는 회원대학 간의 학문적 교류, 크게는 사회 및 정치에 대한 참여를 통하여 독일 공과대학의 선진적인 성과와 사회기여를 이뤄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소속 대학들에게 정부 예산으로부터 더 큰 독립성을 부여하여 독자적인 결정권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선정 대학 === || '''이름''' || '''재단''' || '''설립년도''' || '''학생 수''' || '''연간 예산 (2020년 기준)''' || '''[[노벨상]] 수상자 수 (2020년 기준)''' || || [[뮌헨 공과대학교]][br](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 [[국립]] || 1868 || 45,356 || 17억 7200만 유로[br] (한화 2조 4천억 원)|| 18명 || || [[아헨 공과대학교]][br](RWTH Aachen) || [[국립]] || 1870 || 47,173 || 10억 3570만 유로 [br] (한화 1조 4천억 원)|| 5명 ||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br](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 [[국립]] || 1825 || 23,321 || 9억 6770만 유로 [br] (한화 1조 3천억 원)|| 6명 || || [[드레스덴 공과대학교]][br](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 [[국립]] || 1828 || 31,517 || 5억 7700만 유로 [br] (한화 7천 9백억 원)|| 4명 || || [[베를린 공과대학교]][br](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 [[국립]] || 1879 || 33,631 || 5억 6780만 유로 [br] (한화 7천 7백억 원)|| 8명 || || [[라이프니츠 대학교|라이프니츠 종합대학교]] [br]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 [[국립]] || 1831 || 30,454 || 5억 4540만 유로 [br] (한화 7천 4백억 원)|| 3명 ||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슈투트가르트 종합대학교]] [br] (Universität Stuttgart) || [[국립]] || 1829 || 23,855 || 5억 3510만 유로 [br] (한화 7천 3백억 원)|| 5명 ||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br]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 [[국립]] || 1877 || 25,170 || 4억 5320만 유로 [br] (한화 6천 2백억 원)|| 4명 ||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br]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 [[국립]] || 1745 || 19,694 || 3억 3500만 유로 [br] (한화 4천 5백억 원)|| 2명 || === 기타 === 2010년 8월 초, TU9 소속 대학들은 볼로냐 프로세스 이전처럼 공학 5년제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원 엔지니어 학위를 재도입하자는 목소리를 냈다. [[분류:독일의 교육]][[분류:대학 협회/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