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French_M1916_37mm_infantry_gun.jpg]]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가 운용했던 [[보병포]]. Canon d'Infanterie de 37 modele 1916 TRP는 1916형 37mm 보병포 TRP 정도의 뜻이다. TRP는 '''t'''ir '''r'''apide, '''P'''uteaux(속사, 퓌토[* 프랑스의 퓌토 병기창.])의 약자라고 하니 "퓌토제 1916형 37mm 속사보병포" 정도로 볼 수 있겠다. == 상세 == [[보병포]]인 만큼 [[포병]]이 아닌 [[보병]]에서 중화기로 운용하였으며 주 목표는 독일군의 콘크리트 벙커, 기관총 포대, 기타 거점들이었다. 조준기로는 직사용 광학 조준경과 곡사용 사분의가 달려 있었다. 프랑스에서는 [[25mm 호치키스 대전차포]]로 대체되고 있었으나, [[프랑스 침공]] 당시에는 25mm 포의 물량이 부족해서 이를 메꾸기 위해 사용되었다. 독일에 점령당한 이후에는 독일군이 '3.7cm IG 152(f)'라는 제식명을 붙이고 운용하기도 했다. [[미국]]은 1917년 620정의 37mm 보병포를 구매하며 이 포를 채용하였다. 미군이 붙인 제식명칭은 37-mm Gun, M1916(M1916 37mm 평사포)다. 제1차 세계 대전 때는 각 보병연대 본부중대 휘하 소대에 박격포와 함께 배정되었으며,[* John K. Mahon & Romana Danysh, INFANTRY, PART I: REGULAR ARMY (1972), 46.] [[르노 FT]]의 미국제 면허생산형인 [[M1917 경전차]]의 주포로도 사용되었다. 1차대전 후 대부분 퇴역되었으나 [[남방작전]] 당시 필리핀 전역에서 [[M3 37mm 대전차포]] 부족으로 인해 일부가 사용되었다. 1922년에 [[일본 제국]]이 도입한 11년식 평사보병포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 참고 자료 == * [[https://archive.org/details/cu31924030744068|Crowell, Benedict. 《America's munitions 1917-1918 : report of Benedict Crowell, the Assistant Secretary of War, Director of Munitions》. Washington, D.C. :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19]] == 둘러보기 == [include(틀:1차 세계대전/연합군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프랑스 화포)]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화포)] [include(틀:2차 세계대전/독일 화포)]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화포 둘러보기)] [[분류:37mm]][[분류:야포]][[분류:전차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