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NITED EMPIRE)] || [[파일:external/www.wwe.com/099_RAW_06052017mm_0863--d57db18496b44a6be8ae0bc8a09fa41f.jpg|width=100%]] || ||<#FF0000><:> '''{{{+5 {{{#YELLOW TJP}}}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JP프로필.png|width=100%]]}}} || || '''링네임''' || 피노이 보이(ピノイボーイ;Pinoy boy) [br] Puma(プーマ)[* 인디 시절 타이거 마스크와 비슷한 퓨마 마스크의 루차도르 기믹으로 등장할 때의 링네임. 2005년 신일본 시절에도 이 기믹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br] Manik [br] T.J. Perkins[* 사실상 본명이자 가장 오래 써 온 링네임.] [br] '''TJP''' || || '''본명''' || Theodore James 'T.J' Perkins [br] (테오도어 제임스 'T.J' 퍼킨스) || || '''생년월일''' || 1984. 9. 3. ([age(1984-09-03)]세) || || '''신장''' || 178cm || || '''체중''' || 79kg || || '''출생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미주리|미주리 주]] [[캔자스시티#s-2.1]] || || '''성장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https://www.google.com/maps/place/%EB%AF%B8%EA%B5%AD+%EC%BA%98%EB%A6%AC%ED%8F%AC%EB%8B%88%EC%95%84+%EB%A6%AC%EB%B2%84%EC%82%AC%EC%9D%B4%EB%93%9C/@33.9616732,-117.5174984,11.21z/data=!4m6!3m5!1s0x80dca6df7ff47dbb:0xf7a1d705135e0ae8!8m2!3d33.9806005!4d-117.3754942!16zL20vMHIzd20?entry=ttu|리버사이드(Riverside)]][* [[로스앤젤레스]]와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도시로, 이 곳에서 고등학교 생활까지 해나가며 로스앤젤레스의 신일본 로스 도장 1기생으로 활동했다.] || || '''가족 관계''' || 배우자 [[아리아 블레이크]]^^(1994년생)^^ || || '''경기 스타일'''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하이 플라이어|하이 플라이어]][* 나이가 40대를 향해 가는 현재는 하이플라잉 기술의 비중을 줄여나가고 있다.] || || '''시그니쳐 무브''' || [[롤링 소배트]][* 그림으로 그려놓은 듯한 숙련도의 명품 롤링 소배트 사용자. 제자리에서 정확히 180도 회전하는 아름다운 폼에 상대 턱에 항상 정확히 꽂히는 안정적인 타점까지 겸비하였다.] [br] 헤드 시저스 휩[* 일반적인 헤드 시저스 휩과는 전혀 다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초대 [[타이거 마스크(프로레슬러)|타이거 마스크]]식 헤드 시저스 휩을 사용한다. 누워있을 때 양 다리로 서 있는 상대의 목을 잡고 자신의 머리를 축으로 빙글 돌아 상대를 넘어트린다. 초대 타이거 마스크만은 당연히 못하지만 따라하는 것 조차 어려운 기술임에도 완성도가 상당한 편.] [br] 안면 워시[* '불꽃의 전사' [[오오타니 신지로]]의 상징기로, 척추 손상으로 전신 마비 상태에 처한 오오타니를 존경하는 의미에서 사용하는 기술.] [br] 센톤 아토미코 [br] 토네이도 DDT, 탑로프 다이빙 DDT [br] 캡쳐 수플렉스 || || '''피니쉬 무브''' || 피겨 포 데스락[* 피겨 포 자세로 상대의 다리를 세팅해둔 후 다리를 잡은 상태로 [[보스턴 크랩]]으로 뒤집는다. 이름은 피겨 포 레그락과 유사하나 형태는 한쪽 다리가 상대 가랑이 사이가 아니고 밖으로 나와있는 변형 [[샤프슈터(프로레슬링)|샤프슈터]]의 형태로 들어간다.] [br] 450°스플래쉬 [br] TJP 클러치[* 인버티드 [[피겨 포 레그락|피겨 4 레그락]].] [br] 데토네이션 킥[* 파이어맨즈 캐리 인투 오버헤드 킥.] [br] '''맘바 스플래시'''[* 변형 프로그 스플래시. 2020년 1월 응원팀 [[LA 레이커스]]의 레전드, '블랙 맘바' [[코비 브라이언트]]가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하자 2020년 7월부터 코비를 존경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한 피니셔. 덩크 콘테스트에 출전한 코비의 덩크 포즈에서 영감을 얻어 공중에서 그 포즈를 취하면서 상대에게 떨어진다.] [br] '''피노이 스트레치'''[* 원 암 트랩 STF. TJP의 주력 피니셔로 상대의 오른팔을 자신의 왼쪽 겨드랑이 밑에 끼워놓고 시전하여 위력을 높인 변형 STF이다. 이름의 유래는 자신의 필리핀 혈통에서 따왔다.] || || '''별명''' || Pinoy boy[* 프로레슬링 입문 초기에 사용하던 별명. 때로는 링네임으로 쓰였고, 때로는 별명으로 쓰였다.] [br] Fil-Am Flash[* 신일본 미국 지부인 [[NJPW STRONG]]에서 사용하던 별명. Fil-Am은 Filipino American, 즉 필리핀계 미국인의 약자이다.] [br] '''[ruby(Public Enemy, ruby=パブリック・エネミー)]'''[* LA도장을 배신하고 [[UNITED EMPIRE]]에 들어가 턴힐한 이후부터 사용하는 별명. 사실상 UNITED EMPIRE가 선역화된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a41jQJlyUT8|Devastate]] - The Heroes Lie[*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때 사용하던 테마곡.] [br] [[https://www.youtube.com/watch?v=T9ToV4s4fuo&feature=youtu.be|Playing with Power]] (2016.9 - 2018.9)[* TJP가 WWE에 정식 입성한 후 사용하기 시작한 테마곡. Megaman2의 [[https://www.youtube.com/watch?v=as_ct9tgkZA&list=PL8B78DBAB74CE66CD&index=17|OST: Dr. Wily Stage 1]]의 리메이크라는 말이 있는데 공식적으로 발표된 것은 아니다. WWE에선 턴힐 후에 인트로가 짧아전 버전으로 등장했다.][br][[https://www.youtube.com/watch?v=6uMdQPafwzA|Playing With Power (Rock Remix)]][* 2018년 중반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버전으로 일렉트로 기타 음이 추가됐다.] [br] (2018.9 - 2019.3)[br][[https://www.youtube.com/watch?v=UxGeLVeKBOQ|Teddy Player One]][br]'''[[https://www.youtube.com/watch?v=cxF4yWrGuz4|Where's Your Hero Now?]]'''[* [[UNITED EMPIRE]] 가입 이후부터 사용한 테마곡. WWE 초창기 때 곡을 제공해 주었던 밴드 The Heroes Lie의 곡이다.] - The Heroes Lie [br] '''(2021.9 - )''' || || '''데뷔''' || 1999년 8월 '''(14세)''' || ||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egaTJP)] [[https://www.instagram.com/megatj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witch.tv/MegaTJP|[[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3]]]] || || '''주요 커리어''' || APW 월드 와이드 인터넷 챔피언 1회 [br] AWS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BTW 크루저웨이트 챔피언1회 [br] EWF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br] EWF 태그팀 챔피언 1회 [br] HOG 크라운 주얼 챔피언 1회 [br] NWA 헤리티지 챔피언 1회 [br] UIWA 라이트웨이트 챔피언 1회 [br] UWA 캐네디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TNA /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 2회 [br]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토너먼트 우승(2016)[br] [[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 1회[* 초대 챔피언] [br]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 2회 || [목차] == 개요 == [youtube(MdwFbIZs0Bc)] [[필리핀계 미국인]] [[프로레슬러]]. == 커리어 == === 초창기 === 1984년에 [[캔자스시티]]에서 태어는 TJP는 곧 [[마닐라]] 출신의 [[필리핀인]]이었던 어머니를 따라 LA 근교의 리버사이드에서 필리핀 혈통의 친척들과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 13세에 불과했던 1998년부터 프로레슬링 훈련을 받기 시작했고 1999년에 14세의 나이에 첫 데뷔를 하였는데, 실제로도 매우 어렸고 얼굴 또한 너무 동안이었기 때문에 마스크를 쓰고 데뷔하였다. 2001년에는 당시 [[신일본 프로레슬링]]이 LA에 세웠었던 로스 도장[* 2010년대 후반 신일본이 LA에 다시 세운 LA도장과 구분하기 위해 '로스 도장' 혹은 '구 로스 도장'이라고 불리운다.] 소속으로 리키 레예스, [[록키 로메로]], [[브라이언 대니얼슨]]과 함께 훈련을 받으며 일본 본토에서 스팟 참전을 하기도 하였으며, 2003년에 잠깐 루차 리브레에서 활동하다가 [[PWG]]로 간 한편 [[ROH]] 등의 인디 단체를 떠돌며 커리어를 쌓았다. TNA에서 '매닉이라는 링네임으로 TNA X 디비전 챔피언에 등극했다. === [[WWE]] === [[파일:external/pbs.twimg.com/CsbxAZxXgAA5IZv.jpg|width=600]] 2016년에는 [[WWE 더 크루저웨이트 클래식]]에 참가해 [[쟈니 가르가노]], [[리치 스완]], [[이부시 코타]]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한 데 이어 [[마스카라 도라다|그란 메탈릭]]을 꺾고 우승해 초대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의 멤버로서 RAW에 데뷔해 [[WWE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2016)]]에서 [[브라이언 켄드릭]]을 상대로 방어전에 성공했다. 하지만 [[WWE 헬 인 어 셀(2016)]]에서 부상당한 척 연기하던 브라이언 켄드릭에게 패배하여 WWE 크루저웨이트 타이틀을 잃었다. [[WWE 205 라이브]] 첫 회에서 브라이언 켄드릭을 꺾고 새 챔피언이 된 [[리치 스완]]에게 재경기 조항을 쓰는데, 브라이언 켄드릭 역시 재경기 조항을 사용하여 트리플 쓰렛 매치가 되었다. [[WWE 로드블록(2016)]]에서 경기를 가지나 리치 스완이 타이틀을 방어했다. 경기 후 턴힐한 [[PAC|네빌]]에게 리치 스완과 함께 구타당했다. 2017년 3월 8일 [[NXT]]에서는 (각본상)부상으로 공백을 가졌던 [[나카무라 신스케]]를 상대로 선전하나 패했다. 4월 10일 RAW에서 네빌의 이간질과 방해 덕에 [[오스틴 에리즈]]를 이긴 후 에리즈를 공격하며 턴힐했다. 네빌을 돕는 한편 그 대가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도전권을 요구했다. 6월 5일 RAW에서 [[무스타파 알리]]를 이긴 후 RAW GM [[커트 앵글]]에게 가서 자신의 도전권을 확정짓자고 네빌에게 요구했다가 공격당하며 버림받았다. 이에 6월 6일 WWE 205 라이브에서 네빌의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하나 링스 오브 새턴에 탭아웃한다. 리치 스완과 선의의 대립을 하던 중 [[린세 도라도]]와 리치 스완을 습격하며 턴힐한다. 그리고 2017년 10월 10일 WWE 205 라이브에서 리치 스완과 3판 2선승제 매치를 가졌는데, 2:0으로 패했다. [[REAL1|엔조]]의 방출로 공석이 된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의 주인을 가리는 토너먼트에 참가해 2018년 1월 30일 WWE 205 라이브에서의 1회전에서 [[타일러 베이트]]를 롤업으로 이기지만, 2월 27일 205 라이브에서의 2회전에선 [[세드릭 알렉산더]]에게 패해 탈락한다. 한동안 휴식기를 가지고 다시 복귀하면서 [[사무라이 델 솔|칼리스토]]의 스테이블인 [[루차 하우스 파티]]와 대립 구도가 잡혔다. 루차 선수들과 경기를 할 때 마다 그들의 '''가면'''을 노리고 경기마다 가면을 벗기고 승리를 챙겼다. 2019년 2월 19일 WWE 205 라이브에 출연해 [[움베르토 카리요]]를 상대했지만 패배하고 3일 뒤인 22일에 WWE로부터 방출당한다. === [[신일본 프로레슬링]] === 이후 NJPW STRONG에서 경기를 소화하는데 그러다가 2021년 9월 26일에 파트너인 [[클락 코너스]]를 공격하고 신일본의 [[UNITED EMPIRE]]에 첫 주니어 헤비급 멤버로 가입하였다. 그 이후엔 일원으로 단체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다가 오랜만에 신일본 본토에 방문하여 새 동료인 [[프란시스코 아키라]]와 함께 주니어 태그 벨트를 획득했다. 2023년 4월에 [[KUSHIDA]], 케빈 나이트 라는 강적을 만나 패배하여 벨트를 내주는데 그 이후 5월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30에 파트너인 아키라와 함께 출전하였다. DOMINION 2023에서 다시 한번 태그팀 타이틀에 도전하여 마침내 승리하고 벨트를 거머쥐는데 갑자기 나온 [[클락 코너스]]가 도전을 표명하고 그 파트너를 자신의 동료인 [[드릴라 몰로니|댄 몰로니]]로 지목, 곧 이어 몰로니가 자신과 아키라를 공격 및 배신하고 불릿클럽에 가입하게 되면서 클락 코너스와 대립이 형성되었다. [[포비든 도어 2023]]에서 [[제프 콥]] & [[카일 플레처]]와 팀을 이뤄 [[로스 인고베르나블레스 데 하폰]]([[BUSHI]] & [[타카하시 히로무]] & [[타카기 신고]])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멀티버스 유나이티드 2]]에서 [[프란시스코 아키라]]와 팀을 이뤄 [[로비 이글스]] & [[후지타 코세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 여담 == * WWE 시절의 기믹과 [[록맨 시리즈]]에서 따온 테마곡을 보면 짐작할 수 있듯이 고전게임 및 온라인 게임 매니아다. 주로 하는 게임은 [[포트나이트]]와 [[오버워치 2]]이며 주캐는 [[D.Va]]. * [[투팍 샤커]], [[엘비스 프레슬리]], [[블링크#s-4]], [[척 베리]], [[너바나]], [[N.W.A]], [[빌리 홀리데이]], [[엘라 피츠제럴드]], [[랜시드]], [[라몬즈]] 등 장르와 시대를 불문하고 음악을 즐긴다. * WWE 활동 당시 T.J. 퍼킨스에서 TJP로 링네임을 바꾼 것에 대해 WWE 회장인 [[빈스 맥마흔]]이 퍼킨스라는 이름의 레스토랑을 싫어했기 때문이라는 루머가 있었으나, 본인이 트위터를 통해 자기가 직접 변경한 것이라고 밝혔다. * 출생은 캔자스시티였으나 어렸을 적 로스앤젤레스 근교 도시인 리버사이드로 이사 후 그 곳에서 자랐고, 이곳이 사실상 LA 생활권이기 때문에 [[로스앤젤레스 램스]]([[미식축구]]),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야구]]), [[로스앤젤레스 갤럭시]]([[축구]]),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농구]]), [[로스앤젤레스 킹스]]([[아이스하키]]) 등 모든 로스앤젤레스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모든 프로팀의 매우 열렬한 팬이다. 그래도 태생은 [[캔자스시티]]인 만큼 야구 세컨 응원팀은 [[캔자스시티 로열스]]이며, 일본 내에서는 [[주니치 드래곤즈]]의 팬. 그와 별개로 [[치바 롯데 마린스]]의 [[사사키 로키]]는 매우 좋아한다. * 특히 [[NXT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벨트가 LA 레이커스의 상징색인 보라색이라 좋다고 말할 정도로 LA 레이커스의 광팬 중 광팬으로, [[르브론 제임스]]와 [[코비 브라이언트]]의 팬이다. 특히 [[코비 브라이언트]]의 자기관리법 및 멘탈리티인 '맘바 멘탈리티'에 매우 큰 영향을 받아 군대보다 빡셌던 신일본 1기[* 당시 신일본 주니어계의 백스테이지 실세는 [[수신 선더 라이거(프로레슬러)|수신 선더 라이거]]와 [[카네모토 코지]] 등으로, 카네모토도 그렇거니와 수신은 당시 군기 빡세게 잡기론 둘째가라면 서러운 선수였다.] 생활 및 어린 나이에 입문한 쉽지 않은 프로레슬링 업계를 견뎌냈다고 한다. * 또한 아이스하키팀 로스앤젤레스 킹스의 광팬이기도 해서 남은 일생 동안 캐나다 팀이 [[스탠리 컵]]을 우승하는 걸 보지 않는 게 꿈이라고 한다. 어릴 적에 [[LA 킹스]]가 [[웨인 그레츠키]]를 영입했음에도 93년 스탠리 컵에서 [[레 카나디앵 드 몽레알]]에게 패배한 걸 보면서 상당히 우울해했다고 한다. * WWE 백스테이지에서 유독 여성 프로레슬러들과 친한 편이다. [[사라야|페이지]], [[미키 제임스]], [[알렉사 블리스]], [[카이리 세인]], [[샬럿 플레어]], [[사샤 뱅크스]]등 주로 트위터에 여성 프로레슬러들과 찍은 사진이 올라온다. * 항공 업계에서 일하는 어머니와 캘리포니아에서 의사로 재직 중인 여동생이 있으며, 여성 인디 레슬러인 [[아리아 블레이크]]와의 슬하에 아들 제임스(2021년생)를 두었다. 아리아와는 사실혼 관계에 있다가 2023년 7월에 정식으로 결혼했다. *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wwe&no=1610088&exception_mode=recommend&page=1|WWE에선 백스테이지에서의 평판이 매우 안 좋다는 루머가 있었으며]] 방출 사유도 WWE에 허락받지 않은 상태에서 비디오 게임과 액션 피규어에 관련된 저작권 문제가 걸릴 수도 있는 문신을 독단적으로 새겼기 때문이라고 알려졌으나 [[https://m.dcinside.com/board/wwe/1793973?recommend=1&page=2|본인이 레딧에서 진행한 ama]]에 따르면 문신은 새기기 전 계속 도안을 상층부에 공유해왔으며 WWE 205 라이브 로스터에 대한 시원찮은 대접과 사사건건 간섭하는 마이크로 매니징 각본이 WWE에서 나오게 된 가장 큰 이유로 추정된다.[* WWE의 크루저웨이트 디비전에 대한 홀대는 이미 알려질 대로 알려졌을 뿐만 아니라 [[PAC]]이나 [[오스틴 에리즈]]도 이에 대한 불만을 크게 표현한 적이 있다.] * 경량급 레슬러의 포 호스맨으로 [[레이 미스테리오]], [[타이거 마스크(프로레슬러)|타이거 마스크]], [[다이너마이트 키드]], [[크리스 제리코]]를 뽑았다. * 오른쪽 가슴의 레터링 문신은 [[안토니오 이노키]]가 은퇴사로 남긴 '길(道)'을 영문으로 번역하여 문신으로 새긴 것이다. == 둘러보기 == ||<-5>
[[파일:TNA-impact.jpg|width=200]] || ||<-6> '''TNA X 디비전 챔피언십 토너먼트 우승자''' || || [[호아킨 와일드|지마 아이온]][br](2013) || → || '''매닉[br](2013)''' || → || [[사모아 조]][br](2014) || ||||||||||
<:>[[파일:l_1adf255796a0483bbcfcf8e106a9669b.jpg|width=200]] || ||||||||||||<:> '''AWS 베스트 오브 더 웨스트 4 토너먼트 우승자''' || || B-보이[br]릴 촐로[br](2005) || → || '''T.J. 퍼킨스[br](2006)''' || → || 올 카트라즈[br](2007) || ||<-5>
[[파일:LuchaLogo-300x460.gif|width=100]] || ||<-6> '''WPW 웨스트 오브 더 웨스트 토너먼트 우승자''' || || [[데이비 리차즈]][br](2005) || → || '''T.J. 퍼킨스[br](2006)''' || → || || ||<-6>
{{{#ffffff '''SoCal Uncensored 어워드 선정 올해의 신인'''}}} || || [[사모아 조]][br](2000) || {{{+1 → }}} || '''{{{#000000 피노이 보이[br](2001)}}}''' || {{{+1 → }}} || 숀 리딕[br](2002) || ||<-6>
{{{#ffffff '''SoCal Uncensored 어워드 선정 올해 기량이 가장 발전한 선수'''}}} || || [[엘 제네리코]][br](2007) || {{{+1 → }}} || '''{{{#000000 T.J. 퍼킨스[br](2008)}}}''' || {{{+1 → }}} || 스캇 로스트[br](2008) || || [[타일러 베이트먼]][br](2014) || {{{+1 → }}} || '''{{{#000000 맨 인 블랙[br](2015)}}}''' || {{{+1 → }}} || 엘리 에버플라이[br](2016) || ||<-5>
[[파일:f586b-15442118222425-800.jpg|width=70]] {{{#ffffff '''임팩트 베스트 팬스 초이스 어워드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2021년'''[br]6월 3일 || BTI & 임팩트 || [[임팩트 X 디비전 챔피언십]][br]___[[조쉬 알렉산더]]___(C) vs '''TJP''' ||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4년 출생]][[분류:캔자스시티 출신 인물]][[분류:필리핀계 미국인]][[분류:1998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