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약자 == === 추후 결정 === "'''T'''o '''B'''e '''D'''etermined" or "'''T'''o '''B'''e '''D'''ecided" '곧 결정될 것'이라는 의미. 사무적 표현으로는 '발표 예정'임을 의미한다. 근시일에 결정되기는 할 건데, 아예 해당 대상에 어떤 후보군이 올라올지조차 불확실하다는 의미의 약자이다. * 개발, 운영에 투입될 인원수 결정이 안 되었을 경우 * 장소나 시간 등 일정에 관련된 세부 사항 결정이 안 되었을 경우 *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어떤 업체와 계약을 맺을 지 확약이 안 된 경우 * 제작물에서 어떤 제조사의 부품을 사용할 지 확정되지 않은 경우 * 하위 라운드의 경기가 끝나지 않아 승자를 대진표에 표기할 수 없는 토너먼트 등 경기의 경우 비슷한 표현으로 [[TBA]]가 있다. [[나무위키]]에서는 정해지지 않은 결과에 대해 TBD, TBA로 서술하는 것을 '추가 바람'처럼 기여를 상대에게 떠넘기려는 행위로 보고 규정 위반으로 해석한다.[[https://board.namu.wiki/b/qna/2824727|#1]][[https://board.namu.wiki/b/qna/2829070|#2]] [[미정]]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을 권장한다. === [[탬파베이 레이스|탬파베이 데블 레이스]]의 약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탬파베이 레이스)] 탬파베이에는 뉴욕이나 로스앤젤레스처럼 팀이 2개가 있는 게 아니기에 그냥 TB로 더 많이 쓴다.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의 [[시간관리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간관리국)] "'''T'''ime '''B'''alance '''D'''eparment"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4주년 기념 이벤트인 '[[시간구출 대작전]]'에 출시된 [[시간관리국]]의 영문명. 세상의 시간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함부로 시간을 바꾸지 않는지 관리하는 곳이다. == 무기 == === [[미국]]의 [[뇌격기]] === [[TBD 데버스테이터]] 참고. === [[어뢰정]] [[구축함]] === 어뢰정 구축함(torpedo-boat destroyer)의 약어가 TBD이다.[* 신의 방패 이지스 대양해군의 시대를 열다 - [[양욱]], [[유용원]], 김민석 저 - 21페이지.] [[파일:8EmqstR.jpg]] || HMS DARING (1893) || ==== 설명 ==== ||[youtube(G4itO0t8S60)]|| || Torpedo Boats, 1910's -- Film 35932 || [[1890년대]]에 처음으로 생산되어 [[제1차 세계 대전]]이나 그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다. 여기서 구축(驅逐)이라는 것은 "상대를 내쫓는다"는 의미이다. 현대의 [[대함 미사일]] 처럼 [[19세기]] 말에 등장한 [[어뢰]]는 당시 갑자기 등장한 첨단의 신무기였다. 이후 이 신무기를 탑재한 [[가성비]] 높은 소형의 선박이 탄생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구형 개념의 어뢰정(torpedo-boat)이다. [[프랑스]]의 [[청년학파]] 등이 열광하던 무기로 한때 프랑스가 가장 많이 사용했다. 프랑스는 당시 어뢰정을 200여척이나 보유했다고 알려진다. 이후 각국은 이 어뢰정(torpedo-boat)을 구축(驅逐; 몰아서 내쫓음) 또는 파괴(destroyer; 파괴자, 섬멸자, 파괴하는 것)[*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ekw000045690&q=destroyer]]]하기 위해 어뢰정 구축함(Torpedo Boat Destroyer)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무기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어뢰정 구축함은 배수량이 점점 늘어나고 임무도 증가하면서 [[현대]]의 [[구축함]]의 시초가 되었다. [[1910년대]]에 접어들면서 이후 생산되는 구축함에는 더 이상 어뢰정 구축함(torpedo-boat destroyer)이라는 이름을 달지 않기 시작했다. 그냥 [[구축함]](destroyer)이라는 단어로 정착된 것인데 재미있는 것은 기능상 별 차이는 없다는 것이다. 물론 [[어뢰]]의 기능은 살아남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비중은 점점 줄어들었다. TBD 시기 중요시되는 속도나 소형의 형태 보다는 체급과 [[함포]]의 크기를 늘리는데 주력하였다. 한편 어뢰정 구축함(TBD)에서 [[어뢰]]를 중시하는 개념은 계속 살아남아 이전의 어뢰정의 개념에 종속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어뢰정]]이 되었다. 이후 현대화된 어뢰정은 [[고속정]](건보트), [[미사일 고속정]], [[초계정]], [[초계함]] 등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하였다. 참고로 어뢰정은 [[2014년]] 기준으로도 북한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상 병기]]이다. ==== 목록 ==== || 제조/운용국 || 함급 || 만재(전투)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 [[일본]] || 코타카급[* [[http://en.wikipedia.org/wiki/Japanese_warship_Kotaka]]] |||| 206톤 ||[[1890년]] [[8월 19일]] || || [[영국]] || 아덴트 구축함[* [[http://en.wikipedia.org/wiki/Ardent_class_destroyer]]] |||| 269톤 ||[[1894년]] || || [[영국]] || 하복급 구축함[* [[http://en.wikipedia.org/wiki/Havock-class_destroyer]]] || 279톤 || 244톤 ||[[1894년]] [[2월]] || || [[영국]] || [[데어링급 구축함]](1893년)[* [[http://en.wikipedia.org/wiki/Daring-class_destroyer_(1893)|데어링급 구축함 1893년형]]] || 292톤 || 264톤 ||[[1895년]] [[2월]] || || [[프랑스]] || 듀란달급 구축함[* [[http://en.wikipedia.org/wiki/Durandal-class_destroyer]]] |||| 301톤 ||[[1899년]] || || [[미국]] || 베인브리지급[* [[http://en.wikipedia.org/wiki/USS_Bainbridge_(DD-1)|미국의 베인브리지급]]] || 537톤 || 380톤 ||[[1903년]] [[2월 12일]] || || [[영국]] || HMS 레틀스네이크[* [[http://en.wikipedia.org/wiki/HMS_Rattlesnake_(1886)|HMS 레틀스네이크]]] |||| 559톤 ||[[1887년]] [[5월]] ||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세계 대전]] == TV 애니메이션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스파이 패밀리]] MISSION:5 삽입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음악, 문단=3.1)] [[분류:동음이의어]][[분류:두문자어]][[분류:미정]][[분류: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