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메탈슬러그)] ||<-6>
<#ddd> '''슈퍼 드레드노트급 자주포 SDV-001 타니오[br]超弩級自走砲 SDV-001 谷王[br]REBEL ARMY SUPER DREADNOUGHT SPG TANI OH'''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Tani_Oh.gif|width=100%&height=16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wikia.com/033.jpg|width=100%&height=160]]}}} || ||<-3><#eee> 설정화 ||<-3><#eee> 공식 아트워크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니오 등장.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3.wikia.nocookie.net/Tanioh.gif|width=100%]]}}} || ||<-6><#eee> 게임 내에서의 모습 || ||<-3><#eee> 난도 ||<-3> ★★☆☆☆ || ||<-3><#eee> 제한시간 ||<-3> '''90''' || ||<-3><#eee> 컨티뉴 시 보급 ||<-3> [[로켓 런처(메탈슬러그 시리즈)|로켓 런처]] || ||<-2><#eee> 체력 ||<-2> 안드로 캐논 ||<-2> 부포 || ||<-2> 레벨 4 ||<-2> 200 ||<-2> 60 || ||<-2> 레벨 8 ||<-2> 300 ||<-2> ?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덴군|반란군]]의 캐터힐트 기지에서 개발, 실험하고 있었던 광역 소탕용 대형 [[자주포]]. [[정규군(메탈슬러그 시리즈)|정규군]]의 [[모덴 원수|원수]] 토벌 부대에 공격을 받았을 때, [[리슐리외급 전함#s-3|아직 미완성이면서도 마지못해 싸웠지만,]] 결과적으로 파괴되었다. 주포에는 켄이치 안도 박사가 주장했던 '안도의 착각 법칙'을 응용하며 HTB 입자를 방출하는 안드로 캐논, 전차 앞, 뒤에 지뢰 부설 장치, 대인용의 개틀링 건을 따로따로 장비한다. [[메탈슬러그 1]]의 미션 3의 [[스테이지 보스]]. == 외형 및 특징 == [[스타크래프트]] [[테란]] 유닛 [[공성 전차]]를 연상케 하는 모덴군의 미완성 실험차량으로 [[정규군(메탈슬러그 시리즈)|정규군]]을 막기 위해 긴급히 출격했다. 설원지대에서 [[알렌 오닐]]을 쓰러뜨리고 [[모덴군]]의 막사와 건물을 폭파한 후에 메탈슬러그에 탑승하고 진행하면 아래에서 등장한다. 이름인 谷王(곡왕)은 '계곡의 왕' 또는 '계곡의 지배자'라는 뜻이다. 보통 超弩級을 일본식 그대로 초노급이라 읽지만 슈퍼 [[드레드노트급]]이 올바른 표기이다. [[주포]]인 안드로 캐논은 설정상 HTB라는 가상의 입자를 방출하는 [[입자병기]]로 안도 켄이치 박사가 주장한 안도의 착각 법칙을 응용한 무기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원리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2종류의 개량형이 있다. * [[호즈미(메탈슬러그 시리즈)|호즈미]] [[메탈슬러그 2]]의 보스로 공략법이 너무 쉬웠던 타니-오에 대한 반성으로 폭탄에 내성이 생기고 맷집이 올라갔다. 타니오의 안드로 캐논도 함체 중앙부에 중력 자기장을 변경해서 두 가지 모드로 공격할 수 있도록 개량 후 호즈미에 탑재했는데 무슨 마개조를 거친 것인지 장전시간이 달라지고 잠깐 번쩍이는 입자 빔 대신에 전기탄이나 전기를 방출하는 등 전자포에 가까운 물건으로 나온다. * [[칼라드볼그(메탈슬러그 시리즈)|칼라드볼그]] [[메탈슬러그 어드밴스]]의 3번째 보스로 나오는 타니오의 개량형이자 유적 내부의 모덴군 기지에서 운용되는 3량의 열차포. 설정에 걸맞게 가운데에 주포만 붙어있고, 기관포와 지뢰살포기가 각자 나머지 열차에 붙어있다. 그리고 안드로 캐논이 호즈미처럼 일정 시간 지속형이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EarlyTanioh.gif]] 초기 설정화는 [[다주포 전차]]였던 것으로 보이며, [[처칠 전차]]가 모델로 보인다.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ani_Oh_Pilot.jpg|width=100%]]||[[파일:Rita_Kanikoja_Defeat.png |width=100%]]|| |||| 레타 카니코자 준위 || 메탈슬러그1 기반으로 만들어진 [[파칭코]]판 게임 [[https://slot.snk-corp.co.jp/official/mssv001/bonus/index.html|메탈슬러그 SV-001]]에서 준위인 "레타 카니코자"라는 여성 조종수가 타니오를 조종한다. 추가 설정으로 2028년 5월 10일, 16시 5분에 타니오와 조우했다고 한다. == 패턴 == === 지뢰 부설 장치 === [[파일:타니오 지뢰투사.png]] 아래에서 플레이어가 있는 위쪽으로 지뢰를 살포한다. 지뢰가 땅에 부착되기 전에 총알로 날려보낼 수 있고, 바닥에 착지해도 총으로 파괴할 수 있다. === 대인용 개틀링 건 === ||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5c92ee468707a7c3c69227c4b43896dc.gif|width=100%]] || [[파일:타니오 개틀링.png|width=100%]] || 양쪽에서 개틀링 건을 난사한다. 기관총 범위가 닿지 않는 보스 중앙이나 바깥쪽으로 대피하거나 슬러그 회피로 피해 주자. 플레이어 단신이면 점프도 무난하다. 타니오가 폭주하면 더 연사가 빨라지니 슬러그를 탔다면 주의하자. === 안드로 캐논 === || [[파일:타니오 사격준비.png|width=100%]] || [[파일:타니오 안드로.png|width=100%]] || 가장 어려운 패턴이다. 플레이어를 조준하고 나서 잠시 뒤 메인 포대인 안드로 캐논에서 번쩍하고 일순간에 거대한 광선을 방출하고 연기만 남는다. 폭주 시에는 기를 0.5초 정도의 짧은 시간 뒤에 발사하니 슬러그가 없으면 매우 어렵다. 발포 속도가 어마무시하게 빠를 뿐더러 소리 또한 매우 크기 때문에 게임을 처음 하는 사람은 당황할 수 있다. === 부포의 파괴 === [[파일:타니오 폭주.png]] 타니오 양쪽의 포대 두 개 중 하나를 파괴하면 나머지 하나의 공격속도가 늘어나며, 안드로 캐논만 남으면 1, 2번 패턴이 안되기 때문에 이동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3번 패턴만 난사한다.''' 이러면 슬러그 회피가 아니면 슬러그로는 피하기 힘들며, 플레이어 상태라도 잘못하다간 죽기 쉽다. 포로 구하는 노가다를 최대한 하려면 부포를 전부 파괴하기보다는 최소한 하나 정도는 남기자. == 공략 == [[파일:타니오 수류탄.png]] 피탄 범위는 메인 포대와 양옆에 있는 [[지뢰]] 살포기이다. 나름 보스답게 화려한 공격패턴을 자랑하지만, 미완성 병기라서 그런지 체력이 매우 낮다. 수류탄을 잔뜩 모아둔 뒤에 [[메탈슬러그(메탈슬러그 시리즈)|메탈슬러그]]에 탄 상태로 보스가 등장하면 타이밍을 맞춰 뒤로 물러나면서 수류탄을 연타하면 순삭. 이는 슬러그를 탑승한 상태에서 주포를 아래로 숙이고 수류탄을 던져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수류탄으로 속전속결로 처리하면 포로가 총 7명이 돼 10만 점 보너스를 받을 수 없다. 포로가 나올 때까지 시간을 끌겠다면 왼쪽 구석에서 대기 타는 게 좋다. 구석에 있으면 기관총이나 부유기뢰는 무시할 수 있고, 안드로 캐논은 슬러그 회피로 피하면 된다. == [[메탈슬러그 디펜스]] ==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도 CPU 전용으로 어나더 월드 3 3-4에 등장하여 참전하였다. 안드로 캐논이 [[헤어버스터 리버트]]를 '''단 2방에''' 박살 내는 위력을 보여준다. 밑에 있어서 공격할 수 없을 것 같지만 실제론 [[마즈피플|호퍼 메카]]의 특수기로 공격할 수 있다. == [[메탈슬러그 어택]]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Tani_Oh_MSA_idle.gif]] [[메탈슬러그 어택]]에서 플레이어블 유닛으로 나왔으며, 원작과는 다르게 주포가 일직선 방향으로 되어 있도록 도트를 새로 찍었다. 하지만 파워 인플레에 의해 잘 쓰이지 않는다. 공체강화로 흉악하게 변해버렸다. [[파일:설원에서 빨간거 쓰면 망할텐데.gif]] 이후 슨크답게 색놀이 버전으로 등장. 해당 엑스트라 옵스를 볼 때 이것 또한 설원지대에서 개발한 거 같은데, 설원지대에서 빨간색을 쓰는 개발진의 생각이 궁금해진다. 이전과 비하면 공격력이 오른 정도밖에 없어 이것도 잘 안 쓰이는 편. [[파일:iwaoh_effect_base_out.png]] 당분간 소식이 없다가 타니오를 베이스로 재설계한 '''이와오'''--암왕--가 출시되었다. 포가 단발로 되었다는 것이 특징. 조종사는 밀피로, 어지간해선 전차 안에서 생활했기에 존재감이 거의 없다고 한다. [[분류:메탈슬러그 시리즈/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