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20)]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4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연도=2010, 순위=365, 연도2=2021, 순위2=353)]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 || ||<-2> '''{{{+1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 ||<-2> [[파일:eurythmics-sweet_dreams_(are_made_of_this)_s.jpg|width=100%]] || || '''수록 앨범''' ||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 || '''앨범 발매일''' || [[1983년]] [[1월 4일]] || || '''싱글 발매일''' || [[1983년]] [[1월 21일]](UK), [[5월 2일]](US) || || '''싱글 B면''' || Baby's Gone Blue || || '''작사/작곡''' || [[애니 레녹스]], 데이비드 스튜어트 || || '''프로듀서''' || 데이비드 스튜어트 || || '''러닝 타임''' || 3:35(7인치 싱글), 4:48(12인치 싱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eMFqkcPYcg)]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Every Breath You Take]] ||<#FFE400><:> {{{+1 → }}} ||<#FFE400><:>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FFE400><:> {{{+1 → }}} ||<#FFE400><:> [[Maniac(Michael Sembello)|Maniac]] || [[1983년]]에 발매된 [[유리드믹스]]의 동명의 앨범에 수록된 곡으로, 데이빗 스튜어드의 [[신디사이저]]와 보컬 [[애니 레녹스]]의 중성적이면서도 파워풀하고 묵직한 [[보컬]]이 어우러져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당시 [[미국]]에서 1위[* [[빌보드 핫 100]]], [[영국]]에서 2위[* [[Official Charts]]]를 차지했다. [[198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0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554위에 올랐다. 전작에서 그다지 인기가 없었던 이 듀오는 이 싱글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지금도 유리드믹스나 애니 레녹스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곡이며, 둘은 몰라도 이 곡은 알고, 이 곡을 몰라도 '쿵짝 쿵짝 쿵짝 쿵짝'하는 이 멜로디와 리듬은 한 번씩은 들어봤을 정도로 유명한 곡이 되었다. 가사는 투어리스츠 해체 당시 힘겨웠던 심정을 담았다고 한다. 녹음은 유리드믹스의 스튜디오와 더 처지라는 스튜디오에서 이뤄졌는데, 녹음 기기를 빌리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린데다 녹음 당시 분위기도 전작의 밋밋한 반응 때문에 제법 절망적이었다고 한다. 같은 파트가 8번씩이나 반복되고, 그렇게 반복되면서 노래가 끝난다. 또한 중간의 "Hold your head up / Keep your head up, Moving on" 부분은 [[몬더그린]]으로 마치 "헌혈해라! 기부해라! 무반응~"로 들린다. == 가사 ==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Some of them want to use you Some of them want to get used by you Some of them want to abuse you Some of them want to be abused 어떤 이는 누군가를 부리길 바라고 어떤 이는 누군가가 부려 주길 바라지 어떤 이는 누군가를 이용하길 바라고 어떤 이는 누군가에게 이용당하길 바라지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 바라는 법이야 Hold your head up Keep your head up, Moving on Hold your head up, Moving on Keep your head up, Moving on Hold your head up, Moving on Keep your head up, Moving on Hold your head up, Moving on Keep your head up 고개를 들어 당당히 들어, 계속해 고개를 들어, 계속해 당당히 들어, 계속해 고개를 들어, 계속해 당당히 들어, 계속해 고개를 들어, 계속해 당당히 들어 Some of them want to use you Some of them want to get used by you Some of them want to abuse you Some of them want to be abused 어떤 이는 누군가를 부리길 바라고 어떤 이는 누군가가 부려 주길 바라지 어떤 이는 누군가를 이용하길 바라고 어떤 이는 누군가에게 이용당하길 바라지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Who am I to disagree? I've traveled the world and the seven seas Everybody's lookin' for something 달콤한 꿈은 이렇게 이루어지지 그건 나도 부정 못 해 전 세계 7대양을 여행해 봤지만 누구든 무언가를 하나씩을 바라는 법이야 || == 리메이크 및 OST == [youtube(QUvVdTlA23w)]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노래라 여러 번의 [[리메이크]]와 일일이 셀 수조차 없는 [[리믹스]]가 이루어졌는데, 가장 유명한 리메이크는 [[마릴린 맨슨]]이 [[1995년]] 발매한 버전이다. 안 그래도 좀 으스스한 곡을 인더스트리얼 메탈 풍으로 바꿔서 한층 더 [[그로테스크]]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House on haunted hill(국내명 헌티드 힐)이라는 공포영화에 삽입되기도 하였다. 특히 [[2010년대]] 와서 더욱 쓰이는 빈도가 많아졌는데, 특히 영화에서 1980년대 분위기를 [[브금]]으로써 많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후술할 [[엑스맨: 아포칼립스]]의 [[퀵실버(엑스맨 유니버스)|퀵실버]] 장면이 유명해진 뒤로는 [[초고속능력]] 및 [[시간 가속]] 능력자 캐릭터들이 활약할 때 이 브금을 넣어서 밈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youtube(ZFwSgEKUnFs)] 2003년 8월 9일, 가수 혜상이 한국 가수 최초로 해당 곡을 정식 리메이크 했다. 작사는 혜상 본인이 직접 하였다고 한다. [youtube(DlkIb4xPUfo)] [[써커 펀치]]에서 [[에밀리 브라우닝]]의 리메이크 [youtube(xAQt1DUooMk)] [[아토믹 블론드]]에서의 리믹스 [youtube(yQsaPVfze4s)] [[트론: 새로운 시작]]에서 Separate Ways가 나온 후 희미하게 배경음으로 나온다. [youtube(NefSYpuIRoY)] [[엑스맨: 아포칼립스]]에서 [[퀵실버(엑스맨 유니버스)|퀵실버]]의 활약 씬에서 [youtube(2sNiwWqZqkE)] [[2018년]] 개봉한 영화 [[시간의 주름(영화)|시간의 주름]]에서는 Mark Hadley 와 Dresage 버전이 쓰였다. [youtube(EDGIE-XW_1c)] [[위저]]의 2019년 정규앨범 Teal Album에 수록되었다. [youtube(77lWH32cMas)] 국내에서는 JTBC [[팬텀싱어 2]]에서 하드락 버전으로 편곡하였다. ([[안현준(아나운서)]], [[강형호]], [[조민규]], [[한태인]]) [youtube(P1ce1r3FCjY)] 하드락 버전은 [[포레스텔라]] 결성 이후 종종 선보이고 있다. ([[고우림]], [[강형호]], [[조민규]], [[배두훈]]) [youtube(O0JG6V-12ac)] [[리처드 매든]]과 [[프리양카 초프라]] 주연의, 아마존 프라임 신작 '시타델'의 예고편에도 변곡 버전이 삽입되었다. [[분류:1983년 노래]][[분류:1983년 싱글]][[분류:신스팝]][[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분류:Spotify 10억 스트리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