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bbey Road)] ||<#4B5957><-2> '''{{{+1 Sun K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jBRavK6YWo,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69년]] [[9월 26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B5957; font-size: .9em" [[Abbey Road|{{{#fff '''Abbey Road'''}}}]]}}} || || '''녹음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스튜디오]] || || '''장르''' ||[[아트 팝]], 사이키델리아 || || '''재생 시간''' ||2:26 || || '''작사/작곡''' ||[[존 레논]] {{{-1 ([[레논-매카트니]] 명의)}}}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레이블''' ||[[파일:Apple_Corps_logo.png|width=20]] [[애플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밴드 [[비틀즈]]의 열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Abbey Road]]의 10번 트랙이다. 화음이 강조된 몽환적인 곡으로, [[플리트우드 맥]]의 Albatross에서 영향을 받았다. 후반부 가사에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가 사용되었다. 큰 의미를 가지고 만든 것은 아니고, [[존 레논]]이 고등학교 다닐 때에 배운 말들을 적당히 섞어 만든 것이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XT2rMf6ny0, height=250)]}}} || || '''Gnik Nus''' || 후에 이 곡을 보컬만 따 와 역재생한 'Gnik Nus'라는 곡이 음반 [[Love(비틀즈 음반)|Love]]에 수록되기도 했다. == 가사 == ||<-2><#4B5957> ---- {{{+2 '''Sun King'''}}} ---- Here come the sun king 여기 태양왕이 오네 Here come the sun king 여기 태양왕이 오네 Everybody's laughing 모두가 웃고 있어 Everybody's happy 모두가 행복해 Here come the sun king 여기 태양왕이 오네 Quando para mucho mi amore de felice corazón[* 여기서 부터는 가사가 [[스페인어]]다. 아무 단어나 넣은 가사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다.] 내 사랑이 정말 많은 행복한 마음이라면 Mundo paparazzi mi amore chicka ferdy parasol 세상의 파파라치, 내 사랑, 칙카, 페르디와 태양을 위하여 Cuesto obrigado tanta mucho que canite carousel 정말 감사합니다, 카루젤 초콜릿을 만들어 먹어봐요 ---- [[파일:비틀즈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분류:Abbey Road]][[분류:1969년 노래]][[분류:비틀즈 노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Abbey Road, version=437, paragraph=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