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호이의 항공기)] [include(틀:냉전/소련 항공병기)] [[파일:SU-7.2.jpg]] [[파일:SU-7.jpg]] [[NATO 코드명]] . ||<-5> 수호이 설계국 전투기 계보 || || [[Su-9(1946)]] || → || [[Su-7]] || → || [[Su-9]] || |||| 운용과 퇴역 || || 초도비행 ||[[1955년]] [[9월 7일]] || || 도입 ||[[1961년]] || || 퇴역 ||전량 퇴역 || || 생산 ||1,847기 || [목차] == 제원 == Су-7, Су-7Б ||'''Su-7BKL''' '''제원''' 분류 : 단발단좌 [[터보제트]] 전투기 전장 : 16.80m 전폭 : 9.31m 전고 : 4.99m 주익면적 : 34m² 공허중량 : 8937kg 최대이륙중량 : 13,570kg 엔진 : 률카 AL-7F-1 후연소기 장착 터보제트 1기, 후연소기 작동 시 추력 94.1kN '''성능''' 최대속도 : 2,150km/h (1,160 kn, 1,335 mph) 항속거리 : 1,650 km (890 nmi, 1,025 mi) 실용상승한도 : 17,600 m (57,740 ft) 상승률 : 160 m/s (31,500 ft/min) 익면하중 : 434.8 kg/m² (89.05 lb/ft²) 추력대 중량비 : 0.71 '''무장''' 기총 : 30mm [[NR-30]] [[기관포]] 2문 (주익 내측 2문(1문당 탄약 80발)) 하드포인트 : 주익 하면 4개소, 동체 하면 2개소 최대 2,000kg 폭장 가능(S-5 무유도 로켓, 8U69 5킬로톤 [[핵폭탄]], 600리터 혹은 950리터 보조연료탱크, 250kg 혹은 500kg 통상폭탄 등)|| == 소개 == Su-7은 [[수호이]] 설계국(Sukhoi OKB)이 재건된 이후 설계 및 실전 배치한 최초의 [[전투기]]이다. Su-7은 60도에 달하는 급격한 후퇴각을 자랑하는 후퇴익과 쇼크콘을 탑재한 [[초음속]] 전투기로 당초 최전선의 저공에서 도그파이팅을 위하여 설계되었으나 성능상의 문제가 발견되어 소폭 개량을 거쳐 [[전투폭격기]]로 전용되어 개발 및 실전 배치되었다. Su-7은 소련 공군이 [[Il-2]]의 후속기로 개발해서 사용하였던 Il-10을 대체하고 [[1960년대]] 초반 소련 공군의 주력 전투폭격기로 사용되었으나 적은 무장탑재량, 짧은 항속거리 등의 문제로 인하여 운용상의 문제가 있었다. == 개발 및 성능 == [[1953년]] [[스탈린]] 사후 그 해 여름 [[수호이]] 설계국이 재건되었다.[* [[수호이]] 설계국은 원래 2차대전 이전부터 있었던 [[설계국]]이었다. 그러나 Su-2 등 실패작들만을 내놓으면서 설계국이 폐쇄되고 설계국 직원들은 [[굴라그]]로 끌려갔던 [[흑역사]]가 있다.] 수호이 설계국은 최전선에서 사용할 후퇴익 [[전투기]]를 설계했고 사내 번호 S-1이라 명명되었다.[* [[수호이]] 설계국에서 설계한 [[프로토타입]]의 경우 후퇴익을 적용한 모델은 S, 델타익을 적용한 모델은 T로 시작하는 일련 번호를 붙이는 전통이 있다. 그 예로 [[Su-47]]의 사내 번호는 S-37이었으며 [[Su-27]]의 사내 번호는 T-10이었다.] S-1은 60도의 급격한 후퇴각이 적용된 후퇴익과 쇼크콘에 강력한 률카 AL-7을 탑재한 전투기로 소련 최초의 전체 가동식 수평미익, 가동식 쇼크콘을 탑재한 본격적인 [[초음속]] 전투기가 될 예정이었다. S-1은 [[1955년]] 9월 1일에 최초로 비행했으며 [[1956년]] 4월 소련의 항공기 속도 기록을 갱신하게 되었다. 당시 기록은 2,170 km/h (1,170 kn, 1,350 mph, Mach 2.04)였다. [[프로토타입]]은 N-37 37mm [[기관포]] 3문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동체 하면의 하드포인트에 S-5 무유도 로켓을 장착할 예정이었다. 뒤이어 공력적 측면을 개선한 두 번째 프로토타입 S-2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프로토타입인 S-1은 엔진 문제로 1956년 9월 1일 추락하였고 탑승하고 있던 시험 조종사마저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일련의 문제로 인하여 첫 번째 양산형인 Su-7은 [[1957년]]부터 [[1960년]]까지 132대만 생산되었고 [[1959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소련 공군은 Su-7이 [[전투기]]로서의 성능에 미달한다고 판단하고 [[1958년]] 7월 31일부로 Su-7에 지상공격 임무를 부여하기로 결정하였고, 그에 맞는 개량형을 준비하도록 명령하였다.[* 지상공격에 맞는 개량형은 개발 취소된 Il-40 공격기와 퇴역 중이던 Il-10을 대체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수호이 설계국이 재설계한 프로토타입인 S-22는 기존의 전투기형과 비교해 고속 비행을 위하여 동체를 강화하고, 저공 비행 능력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해당 프로토타입은 1959년 3월에 초도비행을 마쳤고 [[1961년]] Su-7B라는 이름으로 배치된 후 생산된 대부분의 기체가 [[공격기]]로 운용되었다. 상술하였다시피 Su-7은 급격한 후퇴각을 갖춘 얇은 주익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하여 착륙 속도가 매우 빨랐으며, 착륙시 받음각이 큰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조종사의 시야를 제한해 이착륙 시 지면에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의미했다. 게다가 불량한 전면시야와 ILS의 부재는 이착륙 난이도를 더욱 키우기에 충분하였다. 이로 인하여 날씨가 불량하거나 비행장의 노면 상태가 좋지 못할 경우 임무에 나서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이에 수호이 설계국은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S-25 실험기에 분츨 플랩을 주익에 추가하여 이륙거리를 줄이는 등의 실험을 하였으나, 개량에 비해 얻는 이익이 미미하여 개량을 포기하였다. 이후 Su-7B를 개조한 S-22-4 시험기에서 드래그 슈트와 JATO를 추가시켜 비포장 비행장 이착륙 기능을 보완했고, Su-7BKL 버전부터 이 개선점이 적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7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고, 후계기라 할 수 있는 [[Su-17]]에서야 해결되었다. == 후계기들 == 상술한 것처럼 Su-7은 사실상 실패작에 가까운 항공기라고 할 수 있었으나, 수호이 설계국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Su-7의 기본 설계를 이용하여 두 종류의 전술기를 만들었다. 1959년에는 Su-7의 구조에 [[MiG-21]]의 [[델타익]]+꼬리날개 조합의 개량을 가하여 [[Su-9]] [[요격기]]를 만들어내어 소련 방공군에 1,100기를 배치하는데 성공했고, [[1966년]]에는 Su-7에 [[가변익]]을 장착하고 지상공격능력을 강화한 [[Su-17]] 지상[[공격기]]를 만들어 2,800기 가량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 파생형 == * 양산형 * Su-7 ([[수호이]] 사내 코드명: S-2)[br] 제공전투기로서 생산된 유일한 버전이며, 첫 양산 모델이다. 1957~1960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1965년까지 일선에서 운용되었다. 총 132대가 제작되었다. * Su-7B (S-22) [br] 첫 지상[[공격기]] 버전. 1960~1962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총 431대가 제작되었다. * Su-7BM (S-22M) [br] 업그레이드된 AL-7F-1 엔진이 적용된 버전으로, 연료탱크와 동체 등면 양쪽에 외부 연료배선이 적용되어 연료 공급 체계가 개선되었다. 추가로 외부 연료탱크를 달 수 있도록 주익 하단에 하드포인트가 신설되었고, 전술 핵폭탄을 투하할 수 있었다.[br] 1963~1965년 사이에 양산되었으며, 총 290대가 제작되었다. * Su-7BKL (S-22KL) [br] 주 [[랜딩 기어]] 측면에 스키드를 달고 드래그 슈트를 장착해 비포장 활주로 이착륙 능력을 보강한 버전으로, 총 29.4 kN(13,300 lbf) 출력의 SPRD-110 JATO 로켓 2개를 달 수 있다. 1965~1972년 사이에 양산되었고, 총 267대가 제작되었다. * Su-7BMK [br] Su-7BM의 수출용 간략화 버전. 1967~1971년 사이에 생산되었으며, 총 441대가 수출되었다. * Su-7U ([[NATO 코드명|나토 코드명]]: 무직 [Moujik]/사내 코드명 U-22) [br] Su-7B의 복좌형 훈련기. 기체 내부 연료 용량이 조금 줄었다. [[1965년]] [[10월 25일]] 첫 비행을 하였으며, 1966~1972년 사이에 양산되었다. * Su-7UM (U-22M) [br] Su-7BM의 복좌 훈련기 버전. * Su-7UMK (U-22MK) [br] Su-7BMK의 복좌 훈련기 버전. 모든 Su-7 훈련기 파생형은 총 411대가 제작되었다. ------ * 실험형/프로토타입/페이퍼 플랜 * S-3 [br] "이줌루드" 레이더/항전장비를 개조된 기수 부분에 장착한 S-2(Su-7B) 기반 요격기 계획. * T-1 [br] S-2 기반 델타익 전투기 프로젝트. 프로토타입이 거의 완성되었었음에도 취소되었다. * T-3 [br] S-2의 델타익 요격기 버전, S-3과 T-1과 동시기에 추진되었었다. 이 프로토타입은 후에 [[Su-9]] 요격기의 프로토타입인 T-43으로 이어진다. * S-22-2 [br] Su-7BM의 프로토타입. * S-23 [br] 주 지지대에 스키형 착륙장치를 단 S-22-4의 선행 실험기. * S-22-4 [br] 노면 불량/비포장 활주로에서의 이착륙을 위해 Su-7B에 드래그 슈트와 휠-스키 착륙장치, SPRD-110 JATO 부스터를 단 실험기. 이 시험기의 개선점은 Su-7BKL에 적용된다. * S-25 [br] 경계층 제어 테스트를 위한 실험기. * S-25T [br] 풍동시험 전용으로 경계층 제어 사스템을 적용한 Su-7. * S-26 [br] S-22-4의 계속형 실험기. 모니노 러시아 공군 박물관에 실 기체가 보존되어 있다. * S-41 [br] S-1/S-2의 기수부분을 늘리고 후방 동체에 면적법칙을 적용한 실험기 버전. * Su-7IG (S-22I) [br] Su-7의 [[가변익]] 실험기. [[Su-17]]으로 개발이 이어진다. * 수호이-100LDU [br] [[카나드]]와 수평 안정 보강 시스템이 장착된 개조된 Su-7U. [[수호이 T-4]]를 위한 [[플라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테스트베드로서 설계되었다. 이후 1973~1974년 사이엔 [[Su-27]]의 FBW 시스템 개발에서도 사용되었다. == 운용국 == 동구권 국가들 및 중동 국가 등에서 1,800기 가량을 운용했으나 [[1980년대]]부터 퇴역이 시작되어 현재는 북한을 제외하고는 전량 퇴역 상태이다. * 현역 *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br] 1969년에 Su-7BMK와 Su-7UMK를 주문하여 1971년에 최소 28대를 수령함. 현재 상태는 비축으로 추정. * 퇴역 * [[파일:소련 국기.svg|height=16]] [[소련]] * 소련 공군 * [[파일:체코 국기.svg|height=16]]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 공군|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공군]] [br] 체코슬로바키아는 1963년에 Su-7을 주문하며 이 기종의 첫 해외 고객이 되었다. 냉전 기간동안 총 64대의 Su-7BM, 31대의 Su-7BKL 및 Su7U를 운용하였고, 사고로 30대를 손실하였다. 1990년에 전량 퇴역. * [[파일:폴란드 국기.svg|height=16]] [[폴란드 인민 공화국]] * [[폴란드 공군|폴란드 인민군 공군]] [br] 1964년부터 Su-7BM 6대, Su-7BKŁ 33대, Su-7U 8대를 운용하였고, 1990년에 전량 퇴역. * [[파일:인도 국기.svg|height=16]] [[인도]] * 인도 공군 [br] 1968년에 Su-7BMK 140대를 인도 받은 후, 비전투손실분 14대를 추가로 주문하여 수령하였다. 1986년 전량 퇴역. *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height=16]]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 공군 [br] 1972년부터 Su-7BMK 24대, Su-7U 16대를 인도 받았으나, 고고도에서의 높은 사고율과 유지보수 불량으로 안해 손실률이 높았다. 이후 사회주의 정권은 1980년대에 소련으로부터 79대의 중고기들을 받았으나 현재는 모두 파괴되거나 스크랩 되었다. *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png|height=16]] [[이라크]] * 이라크 공군 [br] 1965년에 34대의 Su-7BMK를 주문하여 1967년 봄에 수령하였고, 1967년에 20대의 Su-7BMK를 추가로 주문하였다. 현재는 전량 파괴 또는 스크랩 되었다. * [[파일:이집트 국기.svg|height=16]] [[이집트]] * 이집트 공군 [br] [[제3차 중동전쟁]] 당시 14대의 Su-7BMK가 파괴되었으나, 1967~1972년 사이에 도합 185대의 Su-7BMK/Su-7UMK를 받아 운용하였다. 이후 [[제4차 중동전쟁]]에서 살아남은 기체들은 1980년대 중반에 퇴역함. * [[파일:시리아 국기.svg|height=16]] [[시리아]] * 시리아 아랍 공군 [br]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 직후 Su-7 25대를 소련으로부터 받았으나, [[제4차 중동전쟁]] 중에 수령한 거의 모든 기체를 잃었다. 전후에 소련으로부터 35대를 추가로 인도받았고, 1980년대 중반에 치장물자로 전환하였다 1990년에 퇴역함. * [[파일: 알제리 국기.svg|height=15]] [[알제리]] * 알제리 공군 [br] Su-7BMK 40대 운용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트전투기/러시아)] [include(틀:냉전/폴란드 항공병기)] [include(틀:냉전/소련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북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인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이집트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항공병기)] [[분류:공격기]][[분류:2세대 전투기]][[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소련군/장비]][[분류:폴란드군/항공기]][[분류:인도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