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호이의 항공기)] [include(틀:제트전투기/러시아)] || [[파일:Су-27к Су-33.jpg|width=100%]] || ||<-2> {{{#white '''Су-33'''}}} || [목차] == 개요 == Su-33[* 나토 코드명: Flanker-D, [[J-15|중국산 복제품]]은 Flanker-X2]은 소련에서 개발된 [[함재기]]이다. == 제원 == == 도입 == === 러시아 해군 === || [youtube(cMK97vlfolk)] || || 2005년 훈련 중 촬영된 사고 영상 || 원래 72기를 인도받아야 했지만 실제로 인도받은 24기의 Su-33 중 전시용으로 돌려진 두 기와 사고로 손실한 세 기를 제외한 19기를 운용 중이다. 전에는 모두 쿠즈네초프 항공모함 소속이었으나, 현재는 육상기지에 있다. 항공전자장비가 엄청나게 구려서 그동안 운용에 난항을 겪다가 2016년에야 새로운 타게팅 시스템이 탑재되었지만, 업그레이드의 수혜를 본 것은 여섯 대뿐이다. 그마저도 [[MiG-29K]]에 가려져 슬슬 퇴역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업그레이드와 추가도입이 지지부진한 이유는 러시아가 운용 중인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은 항모 주제에 '중방공순양함'이라 불릴정도로 온갖 대함미사일과 대공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어 주 목적인 함재기 운용에 크게 불리한 편이라 F-22보다도 더 클 정도로 대형기인 Su-33은 운용에 큰 제약이 따른다. 이 때문에 비교적 중소형기인 [[MiG-29K]]가 러시아 해군 입장에선 큰 메리트로 여겨 업그레이드는 커녕 퇴역 얘기가 나오는 듯하다. === 우크라이나 ===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는 Su-33의 프로토타입인 '''T-10K-3'''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랴오닝(항공모함)|쿠즈네초프 2번함 바랴그]]와 함께 중국에 수출하였다. === 중국 해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15)] == 실전 == 2016년 쿠즈네초프 항모 전단과 함께 [[시리아 내전]]에서 데뷔전을 치렀지만, 태생이 공중우세기인데다 해당 실전 투입이 항모 재가동을 위한 워밍업의 성격이 커서 공중 초계 임무 위주로 투입되었고, 한 대를 손실하였다. 쿠즈네초프 항모가 기약 없이 현대화개수에 들어가며 현재 Su-33은 모두 지상 기지에 묶여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투입되지 않았다. == 모형화 == 동구권 함재기 중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데다 특유의 해상 위장무늬가 특징적인 기체라 여러 회사에서 모형화하였다. '''1:72''' * 하세가와: 충격적이게도 데뷔 금형은 [[아이마스 기체]] 버전이었다. 이후 러시아 해군 버전이 출시되었고, 한정판으로 중국 해군 버전과 에이스 컴뱃 버전, 무인기 버전, 현직 러시아 해군 사령관 티무르 아파키제가 현역 파일럿 시절 몰았던 네임드 기체도 출시되었다. * 트럼페터: 중국 해군 버전을 먼저 출시하였고 이후 러시아 해군 버전을 출시하였는데 기체만 들어 있는 버전과 쿠즈네초프 항모 갑판 베이스가 같이 들어 있는 버전, 극소수 배치된 복좌형이 있다. * 즈베즈다: 수호이 사 라이선스를 받은 정품이다. 적당한 조립성과 우수한 고증으로 현재 결정판으로 꼽힌다. 레벨과 아카데미과학에서도 재포장해서 출시하였다. '''1:48''' * 키네틱: 2015년 러시아 해군 버전을 출시한 후 2017년 중국 해군 버전을 출시했다. * 에비에이션 아츠 * 미니베이스: 엄청난 부품 수를 자랑하지만, 현재 결정판으로 꼽힌다. 러시아 해군 버전과 중국 해군 버전을 모두 출시하였다. * 하비보스: 출시 예정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소련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분류:Su-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