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Strange Fruit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7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 ~ 3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21, 연도=202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325)]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5)]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 ||<-2><#000000> '''{{{+1 {{{#FFFFFF Strange Frui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trange fruit.jpg|width=100%]]}}} || || '''싱글 발매일''' ||[[1939년]] || || '''싱글 B면''' ||Fine and Mellow || || '''녹음 기간''' ||[[1939년]] [[4월 20일]] || || '''장르''' ||[[재즈|보컬 재즈]], [[블루스]] || || '''작사/작곡''' ||에이블 미러폴 || || '''프로듀서''' ||밀트 게이블러 || || '''러닝 타임''' ||3:02 || || '''레이블''' ||카머도어 레코즈 || [목차][clearfix] == 개요 == || [youtube(Lx_mOECjT_8)] || [youtube(-DGY9HvChXk)] || || 음원 || 라이브 버전 || [[1939년]] 발매된 [[빌리 할러데이]]의 노래. == 상세 == '''빌리 할러데이 최고의 명곡'''이자 '''보컬 재즈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꼽힌다. 흔히 빌리 할러데이의 곡 중에서 대중적으로 히트친 곡들을 언급할 때면 "I'm A Fool to Want You", "[[Gloomy Sunday]]" 등의 곡들이 꼽히나 평론적으로 가장 높은 평을 받는 노래는 바로 이 Strange Fruit라 봐도 무방하며, [[흑인]]들에 대한 [[인종차별]] 문제를 정면으로 찌른 곡으로 유명하다. 곡의 제목인 Strange Fruit(이상한 열매)는 섬뜩하게도 '''나무에 목이 매달린 흑인'''을 의미한다. 곡을 작사/작곡한 사람은 미국의 시인인 에이블 미러폴(Abel Meeropol)로[* 이 노래를 발표할 때는 필명인 루이스 앨런(Lewis Allan)의 명의로 크레딧에 실렸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65016|당시 흑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은 매우 극심하여 흑인들이 백인들에게 린치를 당하고 나무에 목이 매달리는 일이 빈번하였는데]] 이 곡은 그러한 일들에서 모티브를 얻어 만들어졌다. 원래는 [[시]]였으나 에이블 미러폴이 직접 곡을 붙히고 자신의 아내와 흑인 가수 로러 덩컨과 함께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선공개하였다. 곡이 유명해진 것은 빌리 할러데이가 보컬을 맡은 이후인데, 할러데이는 이 노래를 1939년 폐렴에 걸렸음에도 흑인이라는 이유로 병원 치료도 제대로 받지 못한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불렀다 한다. 이 노래는 발매되고 나서 어머어마한 논란에 휩싸이고 대부분의 라디오에서 금지곡으로 지정되는 등 수모를 당했으나 큰 인기를 끌어 싱글이 100만 장 이상 팔리는 등 히트를 쳤으며 [[니나 시몬]], 레네이 머리, [[제프 버클리]] 등 쟁쟁한 가수들이 이 노래를 커버하였다. 이후 작가 릴리언 스미스는 [[1944년]] 이 곡에서 모티브를 따 동명의 소설 "이상한 열매"를 발표하였고,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같은 해 할러데이는 이 곡으로 에스콰이어 재즈보컬상을 수상하였다. [[타임지]]는 1999년 12월 31일호에서 이 노래를 "세기의 최고의 노래"로 선정하였으며 [[미국 의회도서관]]은 [[2003년]] [[내셔널 레코딩 레지스트리|National Recording Registry]]에 이 노래를 실었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개정판에서 21위,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곡에서 35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보컬 재즈 곡 중에서는 최고로 높은 순위이다. == 가사 == ||<:> ---- {{{+2 '''{{{#000 Strange Fruit}}}'''}}} ---- Southern trees bear a strange fruit 남부의 나무엔 이상한 열매가 열리지요 Blood on the leaves and blood at the root 잎에도 뿌리에도 온통 피범벅 Black body swinging in the Southern breeze 검은 몸뚱이가 남부의 산들바람에 흔들리죠 Strange fruit hanging from the poplar trees 포플러 나무에 이상한 열매가 열렸답니다 Pastoral scene of the gallant South 용맹의 고장, 남부의 목가적인 풍경 아래 The bulging eyes and the twisted mouth 튀어나온 눈과 비틀어진 입술 Scent of magnolia sweet and fresh 달콤하고 신선한 목련꽃의 냄새와 And the sudden smell of burning flesh 불타버린 살점의 냄새까지 Here is a fruit for the crows to pluck 까마귀가 파먹는 열매가 열렸어요 For the rain to gather, for the wind to suck 비에 맞고 바람에 시달리며 For the sun to rot, for a tree to drop 햇볕에 썩어서 결국 나무에서 떨어져 버리는 Here is a strange and bitter crop 참으로 이상하고 씁쓸한 과실이랍니다 ---- [[파일:Signature_TM_Black-store-logo-600.png|width=250&bgcolor=#fff]] || == 여담 == * 이렇듯 인종차별 문제를 다룬 곡이지만 충격적이게도 모 백인 여성은 클럽에서 노래하는 빌리 할러데이에게 이 곡을 신청하면서 '''"그 왜 검둥이가 나무에 매달려 죽는 섹시한 노래."'''라고 평했다. 당시 흑인들의 대우가 어땠는지 잘 알려주는 대목. 꽤 충격이 컸는지 할러데이는 이후 자서전에 비판적인 논조로 그 일화를 수록하였다. * 당시 빌리 할러데이의 공연을 본 한 여자가 할러데이를 쫒아와 "다시는 이 노래를 부르지 마라"고 울부짖은 적이 있었다. 어릴 적에 흑인이 린치 당하는 광경을 목격했고, 나이가 들어 그 일을 거의 잊고 있었는데 할러데이가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보고 어릴 적의 기억이 되살아 난 것이다. * [[수지 앤 더 밴시스]]의 1987년 앨범 [[Through The Looking Glass(수지 앤 더 밴시스)|Through The Looking Glass]]에서 커버되었다. * [[카니예 웨스트]]의 곡 '[[https://www.youtube.com/watch?v=KEA0btSNkpw|Blood On the Leaves]]'에서는 "Blood on the leaves and blood at the root" 부분을 샘플링했다. 다만 빌리 할러데이가 아니라 [[니나 시몬]]의 커버를 이용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빌리 할러데이,version=103 )] [[분류:1939년 노래]][[분류:1939년 싱글]][[분류:재즈]][[분류:블루스]][[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분류:인종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