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lifvVkwChVs)] '''[[EZ2DJ 6th]]의 BGA''' [목차] == 개요 == [[EZ2DJ 6th]]의 수록곡. 작곡가 한태수가 작곡하였으며, 퀄리티 높은 K-POP 느낌의 곡이다. 깔끔한 분위기에 BGA의 비주얼도 뛰어나서 인기가 많은 곡이었다. EZ2DJ 6th 당시에는 장르 표기가 되지 않았으나, 후에 [[EZ2ON]]에서 그냥 'Dance'로 장르가 분류되었다. [[GST|게임판]]과 [[OST]]판이 약간 다르다. 후반 후렴구에서 같이 부르는 보컬이 여자이냐 남자이냐의 차이 정도. 정확히는 발매된 [[EZ2ON]] OST에 수록된 버전. 원래는 게임판과 달리 OST는 피쳐링이 없었다. 또한, 하단에 나온 가사의 [[괄호]] 쳐진 부분도 원래는 없었던 부분이다. == 가사 == >(Said I need you, girl) >(너를 원한다고 말했어) > >Baby baby stay with me Stay With Me >나와 함께 해줘요 그대여, 함께 해줘요. >Baby baby stay with me Stay With Me >나와 함께 해줘요 그대여, 함께 해줘요. > >When I told you that I love you, girl. >당신에게 사랑을 고백할 때, >I do You are the best thing in my life >나는 인생 최고의 여자는 당신이라고 말했었죠. >Said I need your love I can`t live without you >난 당신 없이 살수 없어서 당신의 사랑이 필요해요. >If you go I don't know what I do >당신이 떠나면 난 아무것도 할줄 모르게 될거에요. > >(So baby please) >(그대여 제발) > >I just wanna love you girl Come on let me love you girl >난 당신을 사랑하고 싶을 뿐이죠. 내 사랑을 허락해주세요, 그대여. >Said I really need you in my life (Said I really need you in my life) >당신없는 내 인생은 있을 수가 없어요 (내 삶에서 당신이 정말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I just wanna love you girl Come on let me love you girl >난 당신을 사랑하고 싶을 뿐이죠. 내 사랑을 허락해주세요, 그대여. >Girl, I really need you near >그대여 나와 함께 있어줘요. > >When I told you that I love you, girl. (Yes, I do) >당신에게 사랑을 고백할 때 (그랬죠) >I do You are the best thing in my life (Yeah) >나는 내인생 최고의 여자는 당신이라고 말했었죠. (예~) >Said I need your love I can`t live without you >난 당신 없이 살수 없어서 당신의 사랑이 필요해요. >If you go I don't know what I do >당신이 떠나면 난 아무것도 할줄 모르게 될거에요. > >I just wanna love you girl Come on let me love you girl >난 당신을 사랑하고 싶을 뿐이죠. 내 사랑을 허락해주세요, 그대여. >Said I really need you in my life (Said I really need you in my life) >당신없는 내 인생은 있을 수가 없어요. (내 삶에서 당신이 정말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I just wanna love you girl Come on let me love you girl >난 당신을 사랑하고 싶을 뿐이죠. 내사랑을 허락해주세요 그대여. >Girl, I really need you here >그대여 여기에 있어줘요. > >Baby baby stay stay with me (I want you with in my mind) >나와 함께 해줘요, 그대여. (나는 진심으로 그대를 원해요.) >Stay With Me (I'm just thinking of you in my mind) >나와 함께 해줘요. (난 진심으로 그대를 생각해요.) >Baby baby stay stay with me (I think you baby baby) >나와 함께 해줘요, 그대여. (그대를 사랑해요.) >Stay With Me >나와 함께 해줘요. == [[EZ2AC 시리즈]] == || 장르 ||<-4> (미표기) || || 곡명 ||<-4> Stay with me || || 작사/작곡 ||<-4> [[한태수]] || || 보컬 ||<-4> Baby Boy || || 배경 ||<-4> [[armcho|Arms]] || || 최초 수록버전 ||<-4> [[EZ2DJ 6th]] || || BPM ||<-4> 115 || ||<-5> '''[[EZ2AC : FNEX]]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NM''' || '''HD''' || '''SHD''' || '''EX''' || || '''5K RUBY''' || 3 || - || - || - || || '''5K ONLY''' || 6 || 8 || 10 || - || || '''5K STANDARD''' || 6 || 7 || 8 || 12 || || '''7K STANDARD''' || 5 || 6 || 10 || - || || '''10K MANIAC''' || 7 || 10 || - || - || || '''14K MANIAC''' || 7 || 11 || - || - || || '''EZ2CATCH''' || 5 || 10 || - || - || || '''TURNTABLE''' || 6 || - || - || - || * 코스 수록은 [[EZ2AC/라디오채널과 코스]]를 참고. * [[EZ2AC/수록곡 일람|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5K ONLY === [[https://youtu.be/rprOtGVaomE|NM (6) 노트 수: 413개]] 전반적으로 5K STANDARD NM과 유사하다. 다른 부분은 무난하지만 후렴구의 3묶음 폭타가 난점. 같은 버튼을 처리하다가도 주기적으로 노트의 위치가 바뀌니 잘 보고 처리해야 된다. [[https://youtu.be/KWczWqG8uk8|HD (8) 노트 수: 546개]] EZ2AC EV 1.50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NM 패턴처럼 후렴구의 3묶음 폭타가 메인인데 전반적으로 폭타의 노트배치가 바뀌어 있고 드럼비트가 추가되어 있다. 그 외에는 무난한 구성으로 폭타 구간을 잘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youtube(g-8QVV9Je38)] SHD (10) 노트 수: 732개 EZ2AC EV 1.50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곡 시작부터 짤막하게 라이라이식 겹계단이 나와서 당황할 수 있다. 그래도 이 부분 말고는 기습적인 패턴이 없다. 이외에는 역시 후렴구에 난이도가 집중된 형태인데, 중반부에는 하위 난이도에서도 나왔던 3묶음 폭타에 겹노트가 더 추가되어 있고, 후반부에는 폭타 배치에 따닥이가 빠짐없이 들어가 있다. 이 따닥이를 잘 처리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 부분을 넘기고 뒤에 나오는 동시치기도 은근히 밀도가 높다. === 5K RUBY === [[https://youtu.be/L89ERbP9VZw|NM (3) 노트 수: 220개]] 추가 당시에는 5레벨이었으나 EZ2AC EC에서 3레벨로 하향 조정되었다. 주요 멜로디만 남기고 살을 확 뺀 패턴으로 멜로디가 정박이 아니지만 곡 내내 비슷한 박자에 조금씩만 바뀌어서 나오기 때문에 치다보면 익숙해지기 어렵지 않다. 간간히 나오는 스크래치와 페달을 잘 처리해주면 어렵지 않게 클리어할 수 있다. HD (6) 노트 수: 423개 EZ2DJ BERA에서 추가되었다. 패턴은 5K STANDARD NM과 같다. 후렴구 부분에서 배치는 반복적이나 3묶음 폭타가 계속 나오는데 레벨은 스탠다드와 똑같이 6이라서 불렙이다. 이후 EZ2AC EC에서 삭제되었다. === 5K STANDARD === 루비 NM과 동일한 패턴의 Lv.5의 EZ가 존재했으나 EZ2AC EC에서 삭제되었다. [[https://youtu.be/DBxQD8rL17I|HD (7)]] [youtube(fBOOaQA-cnI)] SHD (8) EZ2AC EV에서 추가되었다. 노트 수가 같은 것으로 보아 znpfg 전용 패턴을 이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youtube(rxSkFLolzF4)] EX (12) EZ2AC TT에서 추가되었다. 롱잡이 주를 이루는 패턴이며, 마지막에 [[빅장|S+12345+P]]가 나온다. === 7K STANDARD === === 5K COURSE === [youtube(NDJ5k7kOxM0)] znpfg 채널에 전용 패턴이 수록되었다. === 7K COURSE === EZ2DJ BERA에서 [ahri] 채널에 1 스테이지 전용 패턴으로 수록되었다. 상당히 치는 맛이 좋은 패턴으로 평가가 상당히 좋다. 단 게이지 설정이 상당히 짠 채널이라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EZ2AC EV에서 escape from love 코스에 수록되었다. 앞서 서술한 [ahri] 채널 전용 패턴보다는 약간 더 어렵다. === 10K MANIAC === NM (7) HD (!0) EZ2DJ BERA에서 추가되었다. 하이라이트 부분 2번에 걸쳐 강한 폭타가 나온다. 중간에는 엇박페달 부분도 있긴 하지만 사실상 가장 어려운 구간은 흰 건반 폭타와 124-245 폭타 부분이다. 배치 자체는 까다롭지만, 손가락 특성상 10레벨이 무리할만한 배치까지는 아니다. === 14K MANIAC === [[https://youtu.be/NdvTuTMVpYE|NM (7)]] 평이한 패턴이지만 중반부의 트릴이 시야가 트이지 않은 7레벨 유저에겐 헷갈릴 수 있다. [youtube(m813ccA7EB8)] HD (11) EZ2AC NT 1.01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NM 패턴의 강화판이지만 후살이 상당히 약화되어서 철저히 기본기 위주로 밀어붙인다. === EZ2CATCH === [[https://youtu.be/v2bvONOmTT4|NM (5)]] 전형적인 계단 패턴이라서 입문자들이 플레이하기에 적당하다. [youtube(apyTZ8KXs6Q)] HD (10) EZ2AC EC에서 추가되었다. 좌우 비비기 형태의 배치가 많다. === TURNTABLE === == [[Sabin Sound Star]] == 2010년 9월 1일 5차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EZ2ON 시리즈]] == === [[RETRO EZ2ON]]/[[EZ2ON REBOOT]] === || 해금 레벨 |||||||| 기본해금 || ||<-5> '''[[EZ2ON/REBOOT|EZ2ON REBOOT]]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EZ''' || '''NM''' || '''HD''' || '''SHD/8K''' || || '''Ruby Mix''' || 2 || 6 || 8 || 11 || || '''Street Mix''' || ? || ? || ? || ? || || '''Club Mix''' || 7 || 10 || 14 || 14 || * [[EZ2ON/수록곡 목록|구 EZ2ON 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EZ2ON REBOOT : R]] === [include(틀:EZ2ON REBOOT : R/6th)] ||<-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2 '''[[EZ2DJ 6th TRAX ~Self Evolution~|{{{#!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789 6th}}}}}}]]'''}}}}}} ||<-4> {{{+2 '''Stay with me'''}}} || || 장르 ||<-4> [[댄스|Dance]] || || BPM ||<-4> 115 || || 작곡/작사 ||<-4> [[한태수]] || || 보컬 ||<-4> Baby Boy || || 배경 ||<-4> [[armcho|Arms]] || || 업데이트 날짜 ||<-4> 기본 수록곡 || ||<-5> '''[[EZ2ON REBOOT : R]] 기준 난이도 정보''' || || '''모드 / 난이도''' || '''EZ''' || '''NM''' || '''HD''' || '''SHD''' || || '''4 KEY''' || 5 || 7 || 10 || 13 || || '''5 KEY''' || 5 || 7 || 11 || 13 || || '''6 KEY''' || 5 || 7 || 10 || 13 || || '''8 KEY''' || 4 || 7 || 11 || 14 || ||<-5> {{{-2 레벨 표기는 STANDARD 모드 기준.[BR] BASIC 모드의 레벨은 위첨자로 별도 표기.}}} || * 코스 수록은 [[EZ2ON REBOOT : R/코스]]를 참고. * [[EZ2ON REBOOT : R/수록곡|EZ2ON REBOOT : R 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FfIay2BgmJs)] 발매 전 플레이 영상이 사전 공개되었다. ==== 4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F8o-Gxhqy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cDGTvIFD50)]}}} || ==== 5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pjGphOrBV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p-ZZ80tAm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ZrAOwPxE_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EtYo-TbkZc)]}}} || ==== 6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5)'''}}}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mmM9arD8Yg)]}}}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rlXTU7Ubtc)]}}} || ==== 8 KEY ==== ||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EZ (4)'''}}}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NM (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HD (11)'''}}}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0000, #000000 60%); color: white;" '''SHD (14)'''}}}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유튜브)]}}}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0RT9Qk6GlY)]}}} || == 여담 == * BGA를 담당한 Arms는 [[트릭스터]] 일러스트를 담당한 Armcho(암초)이다. 이 곡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DJMAX 시리즈]]에도 참여하게 되는데, DJMAX Online에 수록된 Catch Me와 Portable 2에 수록된 [[Good Bye]]의 비주얼을 담당하였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tay with me, version=71, paragraph=1)] [[분류:EZ2AC의 수록곡]] [[분류:EZ2ON의 수록곡]] [[분류:Sabin Sound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