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ite StarLadder StarSeries}}}''' || ||||<#ffffff>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SL_logo.jpg|width=250]] || || {{{#White 개최시기}}} || {{{#White 매년 1, 4, 7, 10월}}} || ||<#dcdcdc> 개최사 ||<#dcdcdc> StarLadder || || {{{#White 본부}}} || {{{#White 우크라이나 키예프 사이버 스포츠 아레나}}} || ||<#dcdcdc> 상금규모 ||<#dcdcdc> 기본 USD 80,000 + 티켓 당 USD 2.5 || || {{{#White 방식}}} || {{{#White 지역 예선 + 더블 엘리미네이션 랜 토너먼트}}} || [목차] == 개요 == [[우크라이나]] [[키이우|키예프]]에 본사를 둔 [[e스포츠]]대회 연간 보통 4회정도 개최된다. StarLadder는 이 외에도 [[월드 오브 탱크]], [[리그 오브 레전드]], [[하스스톤]] 등의 토너먼트도 주최하지만 StarLadder라면 보통 가장 유명한 [[도타 2]]와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토너먼트를 지칭한다. 도타 2의 토너먼트 중에서는 [[The International]], ESL, Dreamhack 등과 함께 가장 규모가 큰 토너먼트이며 2011년 말 Dota 2 Star Championship 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열린 상당히 오래 된 토너먼트이다. 시즌8 까지는 유럽팀과 몇몇 북미팀만 출전했지만, 시즌9 부터 북미와 중국, 동남아시아에서도 4팀이 랜 파이널에 4팀이 출전한다. StarLadder는 보통 StarSeries라는 랜 파이널을 말하고, 그 외에도 AM, Semi, Pro 라는 3개의 토너먼트 디비전이 더 존재한다. 앞의 두개의 토너먼트는 유럽지역 아마추어 팀들의 리그고, Pro는 2~3티어 프로 팀이나 어느정도 수준 높은 아마추어 팀들이 출전하는편. 2018년부터 [[배틀그라운드]] 종목이 추가되었다. 2019년 [[스타크래프트 2]] WCS 써킷 이벤트를 두번이나 개최하게 된다. == [[도타 2]] == === Dota 2 Star Championship === '''대회 기간''': 2011년 12월 8일 ~ 12월 11일 '''총 상금''': USD 20,000 '''1위''': '''The Retry''' (PGG, blowyourbrain, Bl00dAnGeL, ALWAYSWANNAFLY, Goblack) '''2위''': [[Natus Vincere]] (XBOCT, Dendi, ARS-ART, LighTofHeaveN, Puppey) '''3위''': [[Moscow Five]] (NS, KyKy, Santa, GoD, Klif) '''4위''': [[mousesports]] (twiSta, SingSing, Rexi, Fire, Trixi) '''대회 진행 방식''' : bo1 그룹 스테이지, bo3 싱글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StarLadder StarSeries의 첫 대회. 16개 팀이 참여했고 mousesports와 Team Shakira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CIS 지역 팀이였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1 === '''대회 기간''': 2012년 3월 12일 ~ 4월 29일 '''총 상금''': USD 15,000 '''1위''': '''[[Natus Vincere]]''' (XBOCT, Dendi, ARS-ART, LighTofHeaveN, Puppey) '''2위''': [[Moscow Five]] (PGG, Vigoss, Silent, Inmate, Bl00dAnGeL) '''3위''': [[Counter Logic Gaming]] (Pajkatt, Loda, Akke, Mirakel, Smulgulig) '''4위''': Darer (Artstyle, God, NS, Santa, Dread)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처음으로 리그 방식으로 이루어진 시즌이다. 이 시즌부터 유럽의 1티어 팀들이 대부분 참여했고, 온라인 리그 상위 4팀이 랜 토너먼트에 참여했다. [[Natus Vincere]]는 결승전에서 Moscow Five에게 1패를 당한것 외에는 리그전부터 단 한세트도 패배하지 않고 우승했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2 === '''대회 기간''': 2012년 5월 14일 ~ 7월 31일 '''총 상금''': USD 15,000 '''1위''': '''[[Natus Vincere]]''' (XBOCT, Dendi, ARS-ART, LighTofHeaveN, Puppey) '''2위''': [[mousesports]] (Black, SingSing, 1437, ComeWithMe, Sexybamboe) '''3위''': [[Moscow Five]] (PGG, Vigoss, Silent, Admiration, Bl00dAnGeL) '''4위''': Darer (Artstyle, God, Funn1k, Mag, Goblack)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1 그룹 스테이지,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Natus Vincere]]는 저번 대회에 이어 리그, 그룹 스테이지, 토너먼트에서 또 1위를 차지했고, 온라인 리그에서 Keita Gaming과 북미팀으로 처음 출전한 [[Evil Geniuses#s-1.3|Evil Geniuses]]가 2, 3위를 차지했지만 랜 파이널에 참석하지 못해 [[Team Empire#s-3.2]]가 대신 참여했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3 === '''대회 기간''' : 2012년 9월 17일 ~ 10월 21일 '''총 상금''' : USD 15,000 + USD 15,000 [* 온라인 리그 1~8위에게 USD 15,000, 랜 파이널 1~7위에게 USD 15,000] '''1위''': '''[[Natus Vincere]]''' (XBOCT, Dendi, ARS-ART, LighTofHeaveN, Puppey) '''2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blowyourbrain, Goblack, Funn1k, Scandal, Silent) '''3위''' : [[Quantic Gaming]] (1437, Korok, Brax, UNiVeRsE, PAINTITGOLD) '''4위''' : [[mousesports]] (SingSing, Sexybamboe, Kuroky, Kebap, Alex)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2 그룹 스테이지,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Natus Vincere]]가 온라인 리그에선 부진했지만 랜 파이널에 와서는 무패로 우승했다. ~~또?~~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4 === '''대회 기간''' : 2012년 11월 13일 ~ 12월 23일 '''총 상금''' : USD 15,000 '''1위''' : '''[[Natus Vincere]]''' (XBOCT, Dendi, ARS-ART, LighTofHeaveN, Puppey) '''2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blowyourbrain, Goblack, Funn1k, Scandal, Silent) '''3위''' : [[Fnatic#s-1.3|Fnatic]] (H4nn1, Era, Fly, Trixi, BigDaddy) '''4위''' : [[Virtus Pro#s-2.1|Virtus.pro]] (KSi, NS, Santa, Crazy, illidan)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싱글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Natus Vincere]]의 5연승. 참여 팀은 Season 3의 10개 팀 / 하위 디비전인 Pro Series의 상위 4개팀 / 예선을 통과한 2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북미팀은 증발.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5 === '''대회 기간''' : 2013년 2월 11일 ~ 4월 7일 '''총 상금''' : USD 15,000 '''1위''' : '''[[Alliance(프로게임단)#s-2|No Tidehunter]]''' ([[재키 마오|EternaLEnVy]], AdmiralBulldog, Loda, s4, Akke) '''2위''' : [[Fnatic#s-1.3|Fnatic]] (H4nn1, Era, Fly, Trixi, BigDaddy) '''3위''' : [[Virtus Pro#s-2.1|Virtus.pro]] (KSi, NS, Santa, Crazy, illidan) '''4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blowyourbrain, Goblack, Funn1k, Scandal, Silent)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2013년의 첫 StarSeries. [[Natus Vincere]]가 온라인 예선에서 탈락하고 Dreamhack Winter 2012에서 우승한 [[Alliance(프로게임단)|No Tidehunter]]가 Na`Vi가 없는 랜 파이널에서 우승했다. 거기에 1~2위가 모두 CIS가 아닌 서유럽 팀이였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6 === '''대회 기간''' : 2013년 5월 19일 ~ 7월 7일 '''총 상금''' : USD 22,500 '''1위''' : '''[[Alliance(프로게임단)#s-2|Alliance]]''' (Loda, s4, AdmiralBulldog, Akke, EGM) '''2위''' : iCCup (Jackal, wejustzik, ALWAYSWANNAFLY, Mag, Resoult1on) '''3위''' : [[Virtus Pro|Virtus.pro]] (KSi, NS, Santa, Crazy, illidan) '''4위''' : [[Quantic Gaming]] (Silent, Funzii, 7ckingMad, Sockshka, Goblack)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Alliance(프로게임단)|Alliance]]]가 No Tidehunter에서 Alliance로 스폰을 받은 이후에 2연승을 거뒀다. 온라인 리그에서는 상위 4위 안에 들었던 [[Natus Vincere]]와 mousesports, Kaipi가 스케줄 문제로 랜 파이널에 참여하지 못했고, iCCup이 대신 올라오게 됐고 준우승을 차지했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7 === '''대회 기간''' : 2013년 8월 31일 ~ 10월 13일 '''총 상금''' : USD 22,500 '''1위''' : '''[[Natus Vincere]]''' (XBOCT, Dendi, Funn1k, Kuroky, Puppey) '''2위''' : [[Alliance(프로게임단)#s-2|Alliance]] (Loda, s4, AdmiralBulldog, Akke, EGM) '''3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Scandal, Mag, VANSKOR, Silent, ALWAYSWANNAFLY) '''4위''' : Rox.KIS (Bzz, yol, Sedoy, Nexus)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Natus Vincere]]가 3 시즌만에 다시 우승했다. 특히 [[Alliance(프로게임단)|Alliance]]와의 랜 파이널 결승전은 Season 11과 함께 최고의 결승으로 손꼽힌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8 === '''대회 기간''' : 2013년 11월 25일 ~ 2014년 1월 19일 '''총 상금''' : USD 134,357 '''1위''' : '''[[Natus Vincere]]''' (XBOCT, Dendi, Funn1k, Kuroky, Puppey) '''2위''' : [[Alliance(프로게임단)#s-2|Alliance]] (Loda, s4, AdmiralBulldog, Akke, EGM) '''3위''' : Sigma.int (FATA-, paS, miGGel, Sockshka, 7ckingMad) '''4위''' : [[Fnatic#s-1.3|Fnatic]] (H4nn1, Era, Fly, Trixi, BigDaddy)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Natus Vincere]]의 2연승. 결승전은 또 [[Alliance(프로게임단)|Alliance]]와의 경기였다. 이번 시즌은 Alliance가 0대 3으로 떡실신. 상금도 모금이 추가되어 USD 134,357로 전 시즌의 몇배가까이 증가했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9 === '''대회 기간''' : 2014년 3월 5일 ~ 4월 20일 '''총 상금''' : USD 230,162 '''1위''' : '''[[Team DK]]''' (BurNIng, Mushi, iceiceice, LaNm, MMY!) '''2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Silent, Resoult1on, Mag, VANSKOR, ALWAYSWANNAFLY) '''3위''' : [[Evil Geniuses#s-1.3|Evil Geniuses]] ([[재키 마오|EternaLEnVy]] (Standin), Arteezy, UNiVeRsE, ppd, zai) '''4위''' : [[Invictus Gaming#s-3.3|Invictus Gaming]] (Luo, Ferrari_430, YYF, ChuaN, Faith)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1 그룹 스테이지,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처음으로 중국, 한국, 북미에서 4개 팀이 참여했고, [[Team DK]]가 서부 팀들 상대로 우승했다. 한국에선 [[MVP(프로게임단)#s-5|MVP Phoenix]]가 대표로 참여했지만 전패 광탈했고 Season 10 부터는 한국 시드가 사라졌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10 === '''대회 기간''' : 2014년 8월 15일 ~ 10월 26일 '''총 상금''' : USD 273,980 '''1위''' : '''[[Evil Geniuses#s-1.3|Evil Geniuses]]''' (Fear, Arteezy, UNiVeRsE, ppd, zai) '''2위''' : [[Team Secret]] (Kuroky, s4, Fly, Puppey, BigDaddy) '''3위''' : [[Cloud9#s-1.2|Cloud 9 Hyper-X]] ([[재키 마오|EternaLEnVy]], FATA-, b0ne7, Aui_2000, pieliedie) '''4위''' : [[Alliance(프로게임단)#s-2|Alliance]] (Loda, Chessie (Standin), AdmiralBulldog, Akke, MiSeRy (Standin)) '''대회 진행 방식''' : 온라인 리그, bo1 그룹 스테이지,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중국팀은 [[Vici Gaming]]과 [[Newbee]]가 예선을 통과했지만 비자 문제로 랜 파이널에 참가를 못하고 [[Cloud9#s-1.2|C9]]와 [[Virtus Pro#s-2.1|VP]]가 대신 참가했다. [[Evil Geniuses#s-1.3|EG]]가 유럽 올스타팀 [[Team Secret]]을 이기고 북미팀 최초로 우승했다.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11]] === '''대회 기간''' : 2014년 11월 14일 ~ 2015년 1월 18일 '''총 상금''' : USD 121,999 '''1위''' : '''[[Team Empire#s-3.2|Team Empire]]''' (Silent, Resolut1on, yoky-, ALOHADANCE, ALWAYSWANNAFLY) '''2위''' : [[Virtus Pro#s-2.2|ASUS.Polar]] (illidan, DkPhobos, Mag, LilHardy, fng) '''3위''' : [[Ninjas in Pyjamas]] (Era, Apemother, jonassomfan, Handsken, Sealkid) '''4위''' : [[MVP Phoenix]] (March, QO, FoREV, [[이승곤|Heen]], [[이준영(프로게이머)|Reisen]]) '''대회 진행 방식'''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중국 예선을 통과한 CDEC Gaming과 [[Invictus Gaming]]은 또 비자 문제로 오지 못했고 [[Natus Vincere]]와 Power Rangers가 대신 참가했다. 명경기가 많았던 시즌이고 특히 [[Team Empire#s-3.2|Team Empire]]와 ASUS.Polar의 결승전 4세트는 StarLadder 역사상 최고의 게임이라 평가받는 수준이다. [[MVP(프로게임단)#s-5|MVP Phoenix]]는 Loser's Round 2에서 Na`Vi를 잡아내고 4위를 차지했다. 사실상 한국 도타의 메이저 토너먼트 최고 성적.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11|항목 참조]] === StarLadder StarSeries Season 12 === '''대회 기간''' : 2015년 3월 9일 ~ 2015년 4월 26일 '''총 상금''' : USD 134,424 '''1위''' : '''[[Vici Gaming]]''' (Hao, Super, iceiceice, Fenrir, fy) '''2위''' : [[Invictus Gaming]] (BurNIng, Ferrari_430, Luo, ChuaN ,Faith) '''3위''' : [[Cloud9]] (EternaLEnVy, FATA, bOne7, BigDaddy, MiSeRy) '''4위''' : Team Tinker (Black^, qojqva, BuLba, Waytosexy, pieliedie) '''대회 진행 방식''' 온라인 리그, bo3 더블 앨리미네이션 토너먼트, 최종 결승전은 bo5 (승자조 어드밴티지 1점) 이변으로는 DAC 3위를 거두었던 유럽의 강팀 [[Team Secret]]이 Team Malaysia와 Alliance에게 연달아 패하여 탈락한 것이다. 대회는 어느 정도 예상 대로 당시 전력이 가장 강하다고 평가 받은 VG가 가볍게 우승한다. 참고로 VG 소속의 iceiceice가 " 다른 팀들이 이렇게 못할 줄은 몰랐다."다고 디스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tarLadder/카운터 스트라이크)] == [[배틀그라운드]] == === StarSeries i-League 2018 === || 대회기간 || 2018-3-1 ~ 2018-3-5 || || 참가팀 || 16팀 || || 상금규모 || $ 100,000 USD || || 우승팀 || FAZE CLAN || || 준우승팀 || TEAM LIQUID || [[파일:starseriesPUBG.png]] == [[스타크래프트2]] == [[https://liquipedia.net/starcraft2/2019_WCS_Spring|2019 WCS Spring]]과 [[https://liquipedia.net/starcraft2/2019_WCS_Summer|2019 WCS Summer]]를 개최한다. 첫 스타크래프트2 대회라서 대회 진행에 많은 팬들이 우려했으나 더 높아진 WCS 시청률과 오프라인 관중동원력으로 스타크래프트2 팬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 [[2019 WCS Spring]] === || 대회기간 || 2019-5-17 ~ 2019-5-19 || || 상금규모 || $ 100,000 USD || || 우승자 || [[요나 소탈라|Serral]] || || 준우승자 || [[후안 로페즈|SpeCial]] || === [[2019 WCS Summer]] === || 대회기간 || 2019-7-12 ~ 2019-7-14 || || 상금규모 || $ 100,000 USD || || 우승자 || [[Reynor]] || || 준우승자 || [[Serral]] || [[분류:e스포츠 대회]][[분류:PUBG: BATTLEGROUNDS/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