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Final Cut)] ||<-2><#000000> '''{{{#fff {{{+1 Southampton Do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WcZQdKi_80w, width=100%, height=200)]}}} || || '''발매일''' ||[[1983년]] [[3월 21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The Final Cut|{{{#fff '''The Final Cut'''}}}]]}}} || || '''장르''' ||[[아트 락]], [[소프트 록]], [[포크 음악]] || || '''작사/작곡''' ||[[로저 워터스]] || || '''프로듀서''' ||[[로저 워터스]], 마이클 케이멘, 제임스 거스리 || || '''러닝 타임''' ||2:10 || || '''레이블''' ||하베스트, 콜럼비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3년]] 발매된 [[핑크 플로이드]]의 노래. [[The Final Cut]]의 9번째 트랙이다. == 가사 == ||<#000> ---- '''{{{+2 Southampton Dock}}}''' ---- They disembarked in 45 그들은 45년에 돌아왔네 And no-one spoke and no-one smiled 누구도 말하지 않았고 누구도 웃지 않았어 There were too many spaces in the line 추모비에 모인 행렬에는 gathered at the cenotaph 너무도 빈 공간이 많았으니까 All agreed with the hand on heart 모두가 가슴에 손을 얹고 To sheath the sacrificial knifes. 희생의 칼날을 칼집에 넣기로 했지 But now 하지만 지금 She stands upon Southampton dock 그녀는 손수건을 들고 With her handkerchief [[사우스햄튼]]의 부두에 서 있어 And her summer frock clings 그녀의 여름 옷은 To her wet body in the rain 비에 젖은 몸에 달라붙었지 In quiet desperation knuckles 그 고요한 절망 속에서 White upon the slippery reins 하얗게 질린 손을 미끈거리는 고삐에 얹고 She bravely waves the boys Goodbye again 그녀는 용감하게 소년들에게 손을 흔들어 다시금 작별을 고하네 And still the dark stain spreads between 여전히 검은 얼룩은 남아서 His shoulder blades 그의 어깨뼈에 퍼져가 A mute reminder of the poppy fields and graves 양귀비 밭[* 양귀비는 전사자들을 기리는 상징이다]과 무덤을 연상시키는 고요한 암시처럼 And when the fight was over 전쟁이 끝나고 We spent what they had made 우리는 그들이 일궈낸 것들을 써 버렸지 But in the bottom of our hearts 하지만 가슴 깊은 곳에서 We felt [[The Final Cut(노래)|the final cut]] 우리는 마지막 결단이 남았음을 알고 있었어 ---- [[파일:pink-floyd-logo-white.png|width=150]] || [각주] [[분류:1983년 노래]][[분류:핑크 플로이드 노래]][[분류:로저 워터스 노래]][[분류:The Final C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