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ffffff '''{{{+1 슬로우 앤 스테디}}}'''[br]Slow and Stead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low and Steady.png|width=100%]]}}} || || '''개발''' ||cream || || '''유통''' ||cream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장르''' ||[[플랫폼 게임|플랫폼]] || || '''출시''' ||[[2021년]] [[4월 27일]]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유니티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관련 사이트''' ||[[https://yjj985280.wixsite.com/my-site/slow-and-stead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twitter.com/creamgame_|[[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4h4079Yxhtx4YuJfAgTT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599080/Slow_and_Steady/|[[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oCKmMliacb0)]}}} || || '''{{{#ffffff,#ffffff 공식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LRfnZPR30cU)]}}} || || '''{{{#ffffff,#ffffff 2회차 업데이트 트레일러}}}''' || 한국의 게임 제작자 cream[* 제작자가 개발한 다른 게임으로는 Leaf Me Alone과 [[Into the Sinkhole]]이 있다.]이 개발한 [[토끼와 거북이]]를 소재로 한 플랫폼 게임.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fff,#ffffff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3> '''{{{#ffffff,#ffffff Windows}}}''' || || '''운영체제''' ||Windows 7/8/10 ||Windows 10 || || '''프로세서''' ||Intel Core i3 ||Intel Core i5 || || '''메모리''' ||200 MB RAM ||500 MB RAM ||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670 ||NVIDIA GeForce GTX 970 || || '''저장 공간''' ||600 MB 사용 가능 공간 ||1 GB 사용 가능 공간 || == 특징 == * 일단은 [[토끼와 거북이]]의 100m 경주라는 설정이지만 어차피 시작하자마자 [[토끼]]가 빠르게 달려나가고 [[거북|거북이]]는 아무리 빠르게 가려고 해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결과적으로 이건 사실상 오리지널의 결말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 방향키, 스페이스바, D키를 한 번 누를 때마다[* 세 가지 조작키를 모두 동시에 누르면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물론 그래도 매우 느리다.] 매우 미세하게 거북이가 움직인다.[* 한 번에 0.01m.] 결승점까지 가기 위해 수없이 키보드를 연타해야 한다. * 플레이 도중에 거북이를 뒤로 밀어내는 장애물들이 등장한다. 따로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당할 수밖에 없다. 한순간에 오랫동안 노력한 결과가 물거품이 된다. 그래도 일단 한 번 나온 장애물에 두 번 당할 일은 없다. 단 펭귄 슬랩스틱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로봇과 탱크만큼은 예외. == 맵 == [include(틀:스포일러)] * 오리지널 숲, 초원, 사막 배경이다. 장애물로 코끼리, 악어, 미사일(핵?), 달팽이 등이 등장한다. 또한 장애물은 아니지만 지나가던 개가 거북이한테 오줌을 싸는 등 굴욕적인 장면도 나온다. 결승점에 도착하면 거북이가 토끼를 제치고 우승해 [[XX 되는 상상함|모두의 축하를 받는... 상상을 하지만]], 너무 늦게 도착한 나머지 토끼를 포함한 모두가 죽은 뒤였고 혼자 남은 거북이가 눈물을 흘리다가 눈이 붉게 변하며 끝난다. [* 사실상 혼자만 남게 되었으니 거북이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절망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이 결말은 [[배드 엔딩]]에 가깝다. 비록 '''[[피로스의 승리|완주에는 성공했으나 이젠 자신과 관련된 모두가 없어진 처참한 현실과 평생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 펭귄 슬랩스틱 남극 배경이다. [[펭귄]]들이 거북이를 괴롭힌다. 주요 장애물로는 컨베이어 벨트, 비행기, 일각고래, 고래, 탱크[* Do Not Rest라고 쓰여있는 구간부터 몇 초 이상 움직이지 않으면 탱크가 다가와서 눈덩이를 발사한다.] 등이 있다. 또한 중간에 [[오징어 게임]]의 [[영희(오징어 게임)|영희]]마냥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는 로봇도 등장하는데[* 게임상에서는 영미권 방식인 "Red Light, Green Light"와 혼합되어 나오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효과음이 나오는 빨간불일 때는 가만히 있다가 파란불일 때 움직여야 한다. 빨간불일 때 움직이면 로봇이 눈덩이를 쏴서 거북이를 밀어낸다.] 장애물 중 탱크와 함께 플레이어가 당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애물들 중 하나이다. 플레이 중간에 나오는 펭귄들의 [[몸개그]]가 매우 웃기다.[* 화면까지 와서 [[제4의 벽|화면을 마구 쪼아대거나, 화면을 닦거나,]] 가위바위보를 하거나, 고속도로마냥 뻥튀기를 팔거나, 날아다니거나 한다. 결승점에 거의 다 도착하였을 시점에 또 펭귄이 나와 마술을 보여 주는데 시야 방해만 할 뿐 직접적인 피해는 없던 다른 펭귄들과 달리 이 경우엔 마술 지팡이로 후려쳐 뒤로 보내버리는 피해를 준다.] 경주가 시작되기 전, 토끼[* 후속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아마 경기 중 거북이를 기다리다 죽은 토끼의 아들이나 후손으로 추정된다.]가 [[마피아]] 보스로 보이는 펭귄에게 뇌물을 주고 거북이를 제거해달라고 부탁하고, 그 펭귄은 [[이탈리아어]]로 그 거북이 녀석은 다시는 못 보게 될 거라고 한다. 펭귄들이 거북이를 고의적으로 방해한 이유가 이것. 하지만 결승점에 도착하면 분노한 거북이가 펭귄들을 모조리 때려눕히고 끝난다. [[이스터 에그]]로 제작자가 만든 다른 게임 [[Into the Sinkhole]]의 주인공 로봇 라이카가 땅에 묻혀있는 걸 볼 수 있고, 엔딩에 나오는 펭귄들의 이글루에는 [[Into the Sinkhole]]의 포스터가 붙어있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slow-and-steady,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slow-and-steady/user-reviews, score=리뷰 부족)] || [include(틀:평가/Steam, code=159908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89, count=594,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83, count2=12, date=2023-04-01)] == 기타 == * 유튜브와 스팀 평가를 중심으로 4회차 히든 엔딩이 있다는 낚시성 루머가 돌았다. 물론 히든 엔딩 같은 건 없으니 괜한 고생하지 말자. 참고로 범인은 [[선바]]. [[https://youtu.be/D2suoNUxcxg&t=772|#]] * 플레이 타임은 맵 하나당 약 30분에서 40분 정도이다. * 공식 사이트에 가보면 자세한 세계관과 스토리가 서술되어있다. [[분류:2021년 게임]][[분류:인디 게임]][[분류:플랫폼 게임]][[분류:한국 게임]][[분류:Windows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