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Sin(유희왕), top2=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images.wikia.com/MaleficCyberEndDragon-JP-Anime-MOV2.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ruby(Sin, ruby=신)] 사이버 엔드 드래곤'''|| || 일어판 명칭 ||<-4>'''[ruby(Sin, ruby=シン)] サイバー・エンド・ドラゴン'''|| || 영어판 명칭 ||<-4>'''Malefic Cyber End Dragon'''|| ||<-5> 특수 소환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0 || 어둠 || 기계족 || 4000 || 2800 || ||<-5>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사이버 엔드 드래곤]]" 1장을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 카드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필드 위에 "Sin(신) 월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파일:MaleficCyberEndDragon-JP-Anime-MOV2-NC.png]] >그럼 엑스트라 덱에 있는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묘지로 보내고... 등장하라!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 >---- >소환 시 대사 >규칙대로 한다면 사이버 엔드를 소환하기 위해선 융합 카드가 필요한 법인데...!! >---- >쥬다이의 반응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Sin(유희왕)|Sin]] 버전.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가 [[어둠의 유우기]]&[[유우키 쥬다이]]&[[후도 유세이]]와의 3 vs1 듀얼 중 사용. [[Sin 레인보우 드래곤]]과 함께 첫 턴부터 특수 소환되었으며, 시작부터 4000이라는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정크 가드너]]를 파괴하고 관통 데미지를 주었으나, 정크 가드너에 의해 수비 표시가 된 후에 Sin 레인보우 드래곤과 함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에게 박살난다. 세계에 1장뿐인 레인보우 드래곤과 다르게 이 카드는 사이버 유파의 상징일 뿐, 그렇게까지 레어 카드는 아니어서인지 소환이 손쉽다며 놀라워하는 것 외엔 쥬다이가 큰 반응을 보이진 않았다. 이후 [[Sin 셀렉터]]의 발동코스트로서 [[Sin 패러렐 기어]]와 같이 제외되었다. 원작에서는 강탈로 획득한 Sin은 모두 원본 효과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데, 작중에서 이게 제대로 묘사된 카드는 사이버 엔드가 유일하다. 그래서 패 1장 소모로 튀어나오는 주제에 공격력 4000에다 '''[[관통(유희왕)|관통]] 데미지'''까지 줄 수 있는 사기 카드의 위엄을 선보였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패러독스 관련 시나리오에선 료가 사이버 엔드를 소환하자 그것을 강탈하고 바로 자리를 떠난 것으로 묘사되었다. 공격명은 [[사이버 엔드 드래곤|원본]]과 동일한 '[[이터널 에볼루션 버스트]](エターナル・エヴォリューション・バースト / Eternal Evolution Burst)'. 다만 직선으로 레이저를 발사하는 원본과는 달리 화염구 3개를 발사한다. [[툰 사이버 드래곤]]과 같은 이유로 듀얼링크스의 [[헬카이저(유희왕 듀얼링크스)|마루후지 료]]에게 이 카드의 소환 대사 데이터가 존재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20TH-JPC7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 일어판 명칭=Sin(シン) サイバー・エンド・ドラゴン, 영어판 명칭=Malefic Cyber End Dragon, 레벨=10,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4000, 수비력=28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엑스트라 덱에서 "사이버 엔드 드래곤" 1장을 제외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Sin(신)" 몬스터는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다른 자신 몬스터는 공격 선언할 수 없다., 효과3=③: 필드 마법 카드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손쉽게 특수 소환이 가능한게 장점. 필드 마법도 있어야 하지만, 엑스트라 덱에서 제외하고 나온다는 점은 같으며, 필드 마법을 쓰는 덱이라면 웬만하면 아무 데나 집어넣어도 단점은 안 된다. 4000이라는 공격력은 절대 낮은게 아니다. 다만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관통(유희왕)|관통]] 효과는 사라졌다. 패 소모 없이 갑자기 툭 튀어나오는,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적용도 가능한 기계족 공격력 4000 몬스터가 관통 효과까지 있으면 곤란했으니 당시 환경 기준으로는 당연한 너프. 물론 요즘 환경에서는 수비 표시 몬스터의 비중이 매우 줄어든 만큼 관통 효과가 없어도 크게 아쉬울 것도 없어졌다. 당연히 [[스킬 드레인]]과의 궁합은 최고. 디메리트를 거의 다 씹어버린다. 다만 Sin 2장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은 씹히지 않는다. 패의 Sin 몬스터는 스킬 드레인의 효과를 받지 않기 때문. 멘탈 드레인을 발동해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멘탈 드레인은 발동만 들어막기 때문에 지속 효과는 막지 못한다. 그러나 달의 서 등으로 필드의 Sin을 뒤집어 놓았다면 패의 또다른 Sin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둘 이상 존재하지 못하는 것도 효과가 무효화되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둘 다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스킬 드레인이 날아가기라도 하면 디메리트 때문에 둘 중 하나는 반드시 날아간다. [[신을 묶는 묘]]+[[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 콤보는 리미터 해제를 발동하여 공격하면 공격력 8000짜리 몬스터가 효과 대상 지정과 파괴를 다 씹고 턴 종료 시에 공격력 4000의 상태로 다시 남아있게 된다. 이러나 저러나 해도 공격력 4000의 몬스터를 손쉽게 특수소환 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 게다가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외해야 할 덱의 몬스터가 패에 잡힐 걱정없이 소환 가능한 것도 좋다. 다만 필드 마법이 없으면 스킬 드레인 파괴 = 이 카드 파괴라고 생각해도 좋다. [[묘지기(유희왕)|묘지기]] 덱에서 종종 채용되기도 했다. 아무래도 상기하던 대로 필드 있고 해당 카드만 손에 잡히면 '''바로 튀어나올 수 있는 4000 어태커'''란 메리트가 매우 강력하기에 자체적인 공격력은 좀 떨어지는 묘지기 덱의 피니셔가 되어줄 수 있기 때문인 듯 하다.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네크로밸리 보호 용도로 써먹고 4000 어택을 날리는 용도. 기계족을 쓰는 덱에서는 [[기어 타운]]을 채용한다면 간단히 소환할 수 있다. 이 녀석 없앤다고 기어 타운을 파괴했다간 후속타로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이나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이 나온다. [[열차(유희왕)|열차]]에서도 채용 가능하다. 마침 종족과 레벨도 레벨 10/기계족이고 전용 필드 마법인 전회조차가 깔려있을 때 소환해서 다른 레벨 10 몬스터와 연계해서 랭크 10 엑시즈 소환이 용이해진다. 아니면 그냥 어태커로써도 무난하다. 공격력 4000짜리는 무시할 게 못되니...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MOVIE PACK|遊戯王 ~超融合!時空を越えた絆~ MOVIE PACK]] || YMP1-JP004 || [[시크릿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절판 || ||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MOVIE PACK|Yu-Gi-Oh! 3D BONDS BEYOND TIME MOVIE PACK]] || YMP1-EN004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MOVIE PACK]] || YMP1-KR004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사이버 엔드 드래곤]] === [[분류:유희왕/OCG/기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