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TdzMpnNbGU)]}}}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X-v0Ea8jxk)]}}}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2]]}}} {{{-3 (2007)}}} || || {{{-1 '''장르'''}}} ||{{{-1 Native Mambo}}} || || {{{-1 '''BPM'''}}} ||{{{-1 138}}} || || {{{-1 '''작곡'''}}} ||{{{-1 [[Ruby Tuesday(작곡가)|Ruby Tuesday]]}}} || || {{{-1 '''작사/보컬'''}}} ||{{{-1 Jimmy A Well}}} || || {{{-1 '''BGA'''}}} ||{{{-1 [[나승훈|Ssyangtoki]]}}} || ||<-2> {{{#!folding [ 가사 보기 ] You're getting tired of the same old scene 당신은 늘 똑같고 지루한 일들에 지쳤죠 You dream of places you have never been (yeah! yeah!) 당신은 지금껏 가본 적 없는 곳을 꿈꿔요 And you can't hold it in no more 이제 마냥 참기만 할 수는 없어요 It's the moment that you have been waiting for 지금이 바로 당신이 기다려왔던 순간이에요 You never ever thought that you would be 이렇게 될 거라고 전혀 상상도 못했겠죠 Somebody people want to pay to see (yeah! yeah!) 다른 이들은 돈을 주고서라도 보려고 하는데, It comes so naturally to you, but you never knew 당신에겐 자연스레 찾아왔죠, 전혀 몰랐을 거예요 That you'd be going to Hollywood with the "chosen few" 당신이 "선택받은 소수"가 되어 헐리우드에 갈 것이라고는요 Drive, jive, feeling alive 운전해요, 춤을 춰요, 살아있음을 느껴요 Tell'em that you'd never surrender 그들에게 절대 포기하지 않을 거라고 말해요 Go, go, and put on a show 가요, 쇼를 시작해요 No-one can ever take it away 그 누구도 뺏어갈 수 없어요 When you know just what to do, and the time is right (yeah! yeah!) 당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게 된다면 Take your attitude and step out into the night (yeah! yeah!) 태도를 갖추고 이 밤 속으로 발을 내딛어요 You'll be dealing with the feeling of butterflies (yeah! yeah!) 당신은 두근거리게 될 거에요. The people are ready for showtime (yeah! yeah!) 사람들이 쇼타임을 기다리고 있어요! When you hear the people everywhere call your name (yeah! yeah!) 모든 이들이 당신의 이름만을 연호하는 소릴 들을 때 Then your life is never gonna be quite the same (yeah! yeah!) 이제 당신의 삶은 예전과는 달라질 거에요 Guard your money on your journey to fortune and fame (yeah! yeah!) 운과 명예로 가득찬 이 여행에서, 당신의 돈을 지켜요 The cameras are ready 카메라는 준비 됐어요 It's showtime (yeah! yeah!) 이제 쇼타임이에요}}} || == 개요 == [[Ruby Tuesday(작곡가)|Ruby Tuesday]]가 DJMAX Portable 2에 [[Your Own Miracle]], [[Good Bye]]와 함께 제공한 곡. Here in the Moment등 Ruby Tuesday의 월드뮤직 풍의 곡 중 하나. BGA는 현재 웹툰 [[놓지마 정신줄!!]]의 그림작가인 나승훈(썅또끼)가 제작했다. 곡 분위기에 걸맞는 신나는 분위기가 일품. BGA에 등장하는 사자의 이름은 사돌이, 고양이는 야옹[* 눈이 부담스럽다는 반응이 많다. 한때 비인기곡이 되는 데 역할을 한 고양이.], 코끼리는 코순이, 원숭이는 토스[* BGA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DMP2에서 캐릭터 아이템으로 등장하기도 하는데, 해금 조건이 '''[[JUST 1%]] 클리어(...)'''. 일단 플레이카운트로도 해금할 순 있긴 하다. [[DJMAX RESPECT]]에서 다른 곡들과 함께 BGA 리마스터되어 수록되었다. 상술 및 후술된대로 비인기곡에 가까운 곡이었으나, [[DJMAX RESPECT]] 발매 당시 DJMAX 시리즈를 주력으로 방송했던 '죽은참새'라는 스트리머의 고유 방송 밈으로 뒤늦게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이후 [[DJMAX RESPECT V]]가 발매되면서, 리듬 게임 스트리머 [[REMILIA]]에게 해당 밈이 이어졌고, 쇼타임 밈이 DJMAX 유저 사이에서 인기를 얻기 된 것을 [[로키 스튜디오|제작진]]도 인지했는지 2021년 1월 28일 업데이트된 시즌1 클리어 패스에 이모티콘 2개가 추가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심지어 5월에 진행한 겜생은 로그라이트 리듬 왕국 합동 방송에서 패턴 퀴즈로 해당 패턴을 출제하면서 사실상 밈이 공식화되었다. == [[TAP SONIC]] == TAP SONIC에도 수록되었지만 비인기곡 탈출은 어려워보인다. == [[DJMAX RAY]] == |||||||||| [[DJMAX RAY]]의 Fusion 팩 수록곡 || || [[Super Lovely]] || [[Memoirs]] || [[Emblem]] || '''Showtime''' || [[Sold on Your Love]] || |||||||||||| [[DJMAX RAY]] 난이도 체계 || || 패턴 || 난이도 || 비고 || ||<#FFFF00> NM || 3 || || ||<#0000FF> {{{#white HD}}} || 5 || || ||<#FF0000> MX || 8 || || ...거의 5년만에 드디어 DJMAX본가 시리즈로 귀환.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owtime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Showtim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7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1.13 패치에서 8 → 10으로 상향.] [br] {{{-5 818}}}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6'''}}} [br] {{{-5 93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3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26}}}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72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63}}} || -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56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83}}}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7'''}}} [br] {{{-5 1019}}}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포터블 2때 패턴이 부족했던 설움을 해소라도 하려는 듯, 기존에 쓰지 않았던 키음들을 바탕으로 패턴에 살이 많이 붙어나온 편. 곡 전반적으로 박자가 난해한 데다 기습 트릴과 간접미스를 유발하는 패턴이 등장해 패턴 전체적으로 풀 콤보 및 퍼펙트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이후 V에서는 4버튼과 8버튼에 SC 난이도가 추가되었고, 레벨을 올려 해금할 경우에는 64레벨에서 해금된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thOHrUjBM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L7Cxa_RdNs)]}}}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zYhnvsUzlA)]}}}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dzleITfavU)]}}}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Vquc2sIxc)]}}}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whuXxCok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cvxzB9aRz0)]}}}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RxWGSccSF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It3OO0OaqQ)]}}}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T4g_r56qRY)]}}} || ||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인터넷 밈/음악/대한민국]][[분류:인터넷 밈/한국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