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0200> {{{#fff '''Screamadelica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머큐리 프라이즈 수상(1992년~2010년))] ---- [include(틀:예디오스 아로노스 선정 99대 명반)] ---- [include(틀:레볼루션 매거진 선정 록을 죽이고 우리를 춤추게 만든 50개의 앨범)] ---- [include(틀:NME 선정 댄스 음악을 영원히 바꾼 40대 앨범)] ---- [include(틀:NME 선정 가장 위대한 인디 앨범)] ---- [include(틀:Ignaua 선정 1990년대 25대 명반)]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107)] ---- [include(틀:Sentire Ascoltare 선정 1990년대 35대 록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43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7)]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9)]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영국 100대 명반2, 순위=18)]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96)]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721)]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37, 연도=1998, 순위2=135, 연도2=2000)] ---- [include(틀:지니뮤직 선정 오늘의 명반, 순서=84, 음반명=Screamadelica, 아티스트=프라이멀 스크림, 코드=10047)] ---- }}} || ||<-2><#fe1214> '''{{{+1 {{{#ffffff Screamadelic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b67616d0000b27339180b45808493a1f687c91d.jpg|width=100%]]}}} || || '''발매일''' ||[[1991년]] [[9월 23일]] || || '''녹음 기간''' ||[[1990년]] - [[1991년]] || || '''장르''' ||[[얼터너티브 댄스]], [[네오 사이키델리아]] || || '''재생 시간''' ||62:31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앤드류 웨더롤, 휴고 니콜슨, [[오브#s-3.2|오브]], 힙노톤, 지미 밀러 || || '''레이블''' ||[[크리에이션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프라이멀 스크림]]의 3집. 그 동안의 무명시절을 싹 날려버리고 이들에게 성공을 안겨준 앨범이자 90년대 최고의 앨범들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 앨범. == 상세 == 80년대 후반부터 서브컬처 수준에서 인기를 얻던 애시드 하우스와 테크노를 이들 기존의 음악에 혼합하고, 샘플링 등의 일렉트로니카 작법을 도입하였다. 당시에도 끝발 날리던 앤드류 웨더롤이라던가 [[오브#s-3.2]]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의 레이브(Rave) 문화를 대표하는 앨범으로 볼 수도 있으며, 80년대의 소스들을 이용하여 90년대 이후의 미래를 제시하는 앨범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프라이멀 스크림이 후대에 미친 거대한 영향력과 명성은 대부분 이 앨범에서 출발한다. 그 와중에 'Movin' On Up'이나 'Damaged' 같은 곡은 [[롤링 스톤스]]와 [[트래픽]] 프로듀서로 유명한 지미 밀러가 참여해 로큰롤 밴드로써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고 'Slip Inside this House'는 60년대 [[사이키델릭 록]] 밴드인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의 곡을 일렉트로닉식으로 재해석하기도 했다. 소울이나 가스펠의 영감을 받은 트랙들도 보인다. 이 앨범은 1992년 [[머큐리 프라이즈]]를 수상[* 무려 제 1회 머큐리 프라이즈 수상작이다!]하는 등 평단에서 극찬을 받았으며, UK 앨범 차트에서 8위를 거두는 등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이 앨범이 밴드에게 미친 영향도 대단해서 이전에 인디에만 머무르던 이들은 이 앨범이 나온 직후 글레스톤베리 페스티벌에 헤드라이너로 서는 위엄을 달성했다... 특히 이 앨범에 수록된 8분짜리 대곡인 'Loaded'는 UK 싱글차트 20위권내에 진출하고 미국의 빌보드 모던록 차트에도 16위를 기록하는 등 밴드를 대표하는 히트 싱글이 되었다. [[앨범 아트]]도 매우 유명하다.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귀여운 햇님 마스코트(...)처럼 보이지만, 실은 폴 캐널이라는 크리에이션 레코드에서 일하던 그래픽 디자이너가 [[LSD]]를 복용하고 난 뒤 천장에서 물 새는걸 보고 그린 그림이다. 배경을 알고 나면 뭔가 섬뜩하면서도, 약 냄새가 진동하는 앨범에 이보다 잘 어울릴 수 없는 커버. 이 인상적인 커버는 훗날 다른 유명 앨범 커버와 함께 [[로열메일]]에서 우표로 출시되었다. [[http://news.bbc.co.uk/2/hi/8444156.stm|#]] NME가 선정한 The 50 Druggiest Albums Ever 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 말은 가장 약을 빤... 앨범으로 선정됐다는 말. 2011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Movin' on Up - 3:4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70)]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000)] [Youtube(UVm3mJPn5tE)] * [[롤링 스톤즈]] 느낌 물씬한 오프닝 트랙. 댄스 록으로서의 정수를 보여주는 곡이다. === Slip Inside This House - 5:14 === [Youtube(mDiO-Y58vZQ)]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의 동명곡을 커버한 곡. === Don't Fight It, Feel It - 6:51 === [Youtube(7-qWypXq374)] === Higher Than the Sun - 3:36 === [Youtube(JQL3nYLrjCY)] === Inner Flight - 5:00 === [Youtube(tC1V6RrfXpY)] === Come Together - 10:22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810)] [Youtube(QLcKmOwRk_c)] * 곡 초반부의 목소리는 흑인 인권운동가이자 정치인인 제시 잭슨의 1972년 연설을 샘플링한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NTVwT3j_zqY|#]] * 참고로 미국반에 실린 버전과 영국반에 실린 버전이 완전히 다르다. === Loaded - 7:01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59)]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87)] [Youtube(sNvUQka4wk0)] * 프라이멀 스크림 최고의 명곡으로 평가받는 곡. 도입부에 나오는 대사는 [[피터 폰다]]가 주연을 맡았던 The Wild Angels라는 영화에서 따왔다. === Damaged - 5:37 === [Youtube(38dxLSMHGW8)] === I'm Comin' Down - 5:59 === [Youtube(3hUiDfPIzg0)] === Higher Than the Sun (A Dub Symphony In Two Parts) - 7:3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1447)] [Youtube(jbqsxoOLHD8)] === Shine Like Stars - 3:45 === [Youtube(LK1AzXvePV8)] [[분류:1991년 앨범]][[분류:영국의 록 음반]][[분류:네오 사이키델리아]][[분류:얼터너티브 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