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Beatles)] ||<#fff> '''Savoy Truffl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화이트 앨범 명곡 순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9995)] ---- }}} || ||<-2><#fff> {{{+1 '''Savoy Truff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HlyjSm0eR4, height=250, width=100%)]}}} || || '''앨범 발매일''' ||[[1968년]] [[11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9D9B9C;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The Beatles|{{{#9D9B9C '''The Beatles'''}}}]]}}} || || '''장르''' ||[[블루스 록]] || || '''재생 시간''' ||2:54 || || '''작사/작곡''' ||[[조지 해리슨]]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 || '''레이블''' ||[[애플 레코드|애플]]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지 해리슨]]이 작사, 작곡한 노래로 [[The Beatles]] 앨범의 Side D에 수록되었다. 조지 해리슨의 친구 [[에릭 클랩튼]]이 치통을 앓고 있었음에도 [[초콜릿]] 같은 단것들을 너무 많이 먹어 초콜릿을 더 먹을시 수술을 해야할 경지에 이르렀다. 조지 해리슨은 이때를 회상하며 '에릭 클랩튼은 초콜릿 상자만 보면 달려들어 그 자리에서 해치울 정도로(...) 단 것에 집착했다'라고 했다.[* 다만 에릭 클랩튼 본인은 이때 마약중독과 함께 초콜릿도 중독 수준으로 먹던지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자 조지 해리슨은 에릭 클랩튼에게 초콜릿을 계속 먹는다면 이가 썩을 것이라는 곡을 썼고, 그것이 이 노래이다. 중간에 등장하는 Montelimar, Good News 등은 초콜릿 상표 이름이다. 중간에 [[Ob-La-Di, Ob-La-Da]]도 나오는데, "We all know Ob-La-Di-Bla-Da, But can you show me, where you are?"라면서 [[폴 매카트니]]를 비판하고 있다. [[Glass Onion]]과 마찬가지로 이 곡도 [[폴 매카트니]]를 까는 곡으로 해석하면 얼추 맞아 떨어지기는 한다. [[조지 해리슨]]이 [[힌두교]]로 개종한 이후 과묵하고 진지한 이미지가 생겼는데, 이를 타파하기 위해 나름 밝은 곡으로 썼다고 한다. 발매 당시에는 화이트 앨범의 다른 명곡들에 밀려 인기나 좋은 평을 받지는 못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조지 해리슨의 이미지 전환과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던 악기 사용 등이 재평가받으면서 [[조지 해리슨]]의 숨겨진 명곡 취급을 받고 있다. [[인디펜던트]]지는 2013년 화이트 앨범 최고의 곡 리스트에서 이 곡을 7위로 올려놓았다. 이 곡의 날카로운 기타 사운드는 [[픽시즈]]의 기타리스트인 조이 산티아고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 가사 == ||<-2><#fff> ---- {{{+2 '''Savoy Truffle'''}}} ---- Creme tangerine and Montelimar 크림 귤과 몽텔리마르 A ginger sling with a pineapple heart 파인애플 하트를 곁들인 생강 슬링 Coffee dessert, yes, you know it's good news 그리고 커피 디저트, 그래, 너는 그게 굿 뉴스인걸 알지 But you'll have to have them all pulled out 하지만 너는 그것들을 모두 멀리해야할거야 After the Savoy truffle 사부아 트러플을 먹은 후에는 Cool cherry cream and a nice apple tart 멋진 체리 크림과 훌륭한 사과 타르트 I feel your taste all the time we're apart 우리가 떨어져있을때마다 너의 맛이 느껴져 Coconut fudge really blows down those blues 코코넛 퍼지는 정말 우울감을 쫓아내버린다고 But you'll have to have them all pulled out 하지만 넌 그것들을 모두 멀리해야해할거야 After the Savoy truffle 사부아 트러플을 먹은 후에는 You might not feel it now 너는 지금은 느끼지 못할지 모르지 But when the pain cuts through 하지만 고통이 지나갈때는 You're going to know and how 너는 어떻게 해야할지 알게 될거야 The sweat is going to fill your head 식은 땀이 네 머리를 가득 채울거라고 When it becomes too much 달콤한 것을 너무 많이 먹으면 말이야[* 영어에서 땀을 뜻하는 Sweat과 달콤함을 뜻하는 Sweet이 발음이 비슷한 것을 노린 언어유희다.] You're going to shout aloud 너는 비명을 지르게 될 거야 But you'll have to have them all pulled out 하지만 너는 그것들을 모두 멀리해야할거야 After the Savoy truffle 사부아 트러플을 먹은 후에는 You know that what you eat you are 넌 네가 먹는게 무엇인지 알고 있을거야 But what is sweet now, turns so sour 하지만 지금은 달게 느껴지는게 나중에는 시게 느껴질거야 We all know [[Ob-La-Di, Ob-La-Da|Ob-La-Di-Bla-Da]] 우리는 모두 [[Ob-La-Di, Ob-La-Da|오블라디 오블라다]]를 알고 있어 But can you show me, where you are? 하지만 나에게 네가 무엇인지 보여줄 수 있니? Creme tangerine and Montelimar 귤 크림과 몽텔리마르 A ginger sling with a pineapple heart 파인애플 하트를 곁들인 생강 슬링 Coffee dessert, yes, you know it's good news 그리고 커피 디저트, 그래, 너는 그게 좋은 소식인걸 알지 But you'll have to have them all pulled out 하지만 너는 그것들을 모두 멀리해야할거야 After the Savoy truffle 사부아 트러플을 먹은 후에는 Yes, you'll have to have them all pulled out 그래, 너는 그것들을 모두 멀리해야할거야 After the Savoy truffle 사부아 트러플을 먹은 후에는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분류:The Beatles]][[분류:비틀즈 노래]][[분류:블루스 록]][[분류:1968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