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atisfactory)] [Include(틀:Satisfactory)] [목차] == 개요 == Satisfactory의 하드 드라이브와 그 주요 보상인 대체 제작법을 설명하는 문서. == 설명 == 세계 곳곳에는 수송선의 잔해가 존재하며 이 잔해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열 수 있는 구조물이 함께 있다. 일정량의 아이템을 소비하거나 전력을 공급하면 구조물을 열어 '하드 드라이브'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구조물은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아 즉시 열 수도 있고 전력과 아이템 두 가지를 모두 요구할 수도 있다. 하드 드라이브는 생산에 직접적으로 쓰이는 아이템은 아니고, M.A.M.에 넣어 10분 동안 분석을 거쳐야 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무작위로 등장하는 세 가지의 '대체 제작법' 중 하나를 선택해 획득할 수 있다. 대체 제작법은 이름 그대로 기존 제작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아이템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생산량을 늘리거나 생산 과정을 간소화하는 등 공정 설계에 도움을 주며, 때로는 전혀 다른 재료로 아이템을 만들 수 있게 하기도 한다. 단, 일반 제작대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자동화 시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대체 제작법은 마일스톤 해금이나 기타 M.A.M. 분석으로는 얻을 수 없는 하드 드라이브 고유의 보상이다. 따라서 좋은 대체 제작법을 얻겠다면 세계 전역을 탐험하며 하드 드라이브를 찾는, 소위 하드깡을 해야 한다. 참고로 분석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이미 목록이 결정되므로, 세이브 로드 노가다를 통해 다른 대체 제작법을 갖고 싶다면 분석 시작 직전에 저장을 해둬야 한다. 세계에는 총 89개의 잔해가 있으며 이는 89개의 하드 드라이브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중 4개는 현재 버전에서는 양자 컴퓨터 같은, 연말 FICSMAS 이벤트가 아니라면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없는 아이템을 요구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체 제작법은 인벤토리 확장 기능 2개를 포함해도 72개뿐이라, 상술한 4개의 하드 드라이브를 제외하더라도 하드 드라이브 13개가 남게 된다. 모든 대체 제작법을 해금한 상태에서 하드 드라이브 분석을 시도하면 메시지와 함께 하드 드라이브가 인벤토리로 반납된다. [anchor(대체 제작법)] == 대체 제작법 목록 == === 광석 === || {{{#white {{{+3 '''유기 석탄'''}}}}}}[br]{{{#white Biocoal}}} ||<-2> '''대체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150px]][br]'''석탄'''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Biomass.png|width=24px]] 바이오매스 37.5개 || || '''생산량/분''' || 4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바이오매스를 석탄으로 만드는 제작법이다. 채굴의 자동화가 불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요구하는데도 결과물은 채굴기 꽂으면 얼마든지 뽑아낼 수 있는 석탄이라 활용도가 극히 낮다. 아래의 목탄과 함께 최악의 대체 제작법으로 손꼽힌다. || {{{#white {{{+3 '''목탄'''}}}}}}[br]{{{#white Charcoal}}} ||<-2> '''대체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150px]][br]'''석탄'''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Wood.png|width=24px]] 나무 15개 || || '''생산량/분''' || 15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나무를 태워 [[숯]]으로 만드는 제작법이다. 상술한 유기 석탄과 마찬가지 이유로 함정 제작법 취급받는다. === 주괴 === || {{{#white {{{+3 '''철 합금 주괴'''}}}}}}[br]{{{#white Iron Alloy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150px]][br]'''철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2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Ore.png|width=24px]] 구리 광석 2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30개 || || '''생산량/분''' || 50{{{#green (+66.66%)}}}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기존 제작법에 구리 광석을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시작 지점에서는 철과 구리 노드가 가까운 곳에 있는 경우가 흔하므로 건물만 바꾸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철이 구리보다 수급이 훨씬 쉽다 보니 구리를 더하면서까지 철 생산량을 늘려야 할 일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철과 구리를 섞겠다면 보통은 후술할 구리 합금 주괴를 사용한다. || {{{#white {{{+3 '''순수한 철 주괴'''}}}}}}[br]{{{#white Pure lron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150px]][br]'''철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3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2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30개 || || '''생산량/분''' || 65{{{#green (+116.66%)}}}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제련기 대신 정제소에서 물을 더해 제련하는 일명 '물 섞는' 제작법이다. 생산 속도와 재료 대비 생산량이 두 배 가량 증가하기에 터만 잘 잡으면 좋은 제작법이다. 다만 정제소의 크기 및 전력 소모량 때문에 기존 제작법을 대체할 정도인 건 아니다. 부지가 마땅치 않다면 철 노드를 더 찾거나 채굴기를 오버클럭하는 것으로 때워도 무방하다. || {{{#white {{{+3 '''구리 합금 주괴'''}}}}}}[br]{{{#white Copper Alloy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150px]][br]'''구리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Ore.png|width=24px]] 구리 광석 5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2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Ore.png|width=24px]] 구리 광석 30개 || || '''생산량/분''' || 100{{{#green (+233.33%)}}}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기존 제작법에 철 광석을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철과 구리를 섞는 건 철 합금 주괴와 같지만 생산 증가량이 훨씬 크다. 철은 워낙 흔한 자원이므로 구리 주괴 생산에 투자해도 철 주괴 생산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량의 구리 주괴가 필요하면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 {{{#white {{{+3 '''순수한 구리 주괴'''}}}}}}[br]{{{#white Pure Copper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150px]][br]'''구리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Ore.png|width=24px]] 구리 광석 1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Ore.png|width=24px]] 구리 광석 30개 || || '''생산량/분''' || 37.5{{{#green (+25%)}}}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기본 사항은 순수한 철 주괴와 같다. 시간당 생산량은 크게 늘어나지 않으나 재료 대비 생산량이 두 배 넘게 증가하는 덕에 구리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생산해야 한다면 쓸 수 있다. 다만 정제소의 건물 크기와 전력 소모가 워낙 크고 물까지 다뤄야 하는 관계로, 구리 합금 주괴와 필연적으로 저울질을 하게 된다. || {{{#white {{{+3 '''순수한 카테리움 주괴'''}}}}}}[br]{{{#white Pure Caterium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Ingot.png|width=150px]][br]'''카테리움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Ore.png|width=24px]] 카테리움 광석 24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24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Ore.png|width=24px]] 카테리움 광석 45개 || || '''생산량/분''' || 12{{{#red (-20%)}}} || 1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기본 사항은 순수한 철 주괴와 같다. 요구 광석량이 24개로 높은 순도 Mk1 채굴기 기준 딱 1/5에 해당되며, 물 요구량 역시 추출기의 1/5이라 공정이 깔끔해진다. 다만 이쪽은 건물당 생산량이 기본 제작법보다 떨어지는 탓에 순수한 구리 주괴보다도 더욱 많은 전력과 넓은 부지가 필요한 게 흠이다. || {{{#white {{{+3 '''단단한 강철 주괴'''}}}}}}[br]{{{#white Solid Steel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150px]][br]'''강철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4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4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45개 || || '''생산량/분''' || 60{{{#green (+33.33%)}}} || 4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철 광석 대신 철 주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철 광석 제련 과정만 추가하면 되므로 공정 변경 부담이 거의 없고, 시간당 생산량과 광석 대비 생산량 또한 우수하다. 기본 제작법을 거의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는 제작법이기에 강철 주괴 제작법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다. || {{{#white {{{+3 '''압축 강철 주괴'''}}}}}}[br]{{{#white Compacted Steel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150px]][br]'''강철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acted Coal.png|width=24px]] 압축 석탄 11.2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45개 || || '''생산량/분''' || 37.5{{{#red (-16.66%)}}} || 4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석탄 대신 압축 석탄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재료 소모량이 적지만, 건물당 생산량이 줄어드는데다가 압축 석탄에는 황이라는 희귀 자원이 들어간다. 무엇보다 상술한 단단한 강철 주괴라는 무난한 선택지도 있다 보니 이 제작법을 채용할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 || {{{#white {{{+3 '''코크스 강철 주괴'''}}}}}}[br]{{{#white Coke Steel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150px]][br]'''강철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etroleum Coke.png|width=24px]] 석유 코크스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Ore.png|width=24px]] 철 광석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45개 || || '''생산량/분''' || 100{{{#green (+122.22%)}}} || 4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석탄 대신 석유 코크스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석유 코크스는 원유 기반 아이템을 생산하며 나오는 부산물인 중유 잔여물로 만들 수 있는 아이템으로, 다시 말해 이 제작법이 있으면 석탄 대신 원유로 강철 주괴를 생산하는 게 가능해진다. 전력과 부지를 많이 먹는 정제소가 두 개나 필요한 것이 단점이다. || {{{#white {{{+3 '''순수한 알루미늄 주괴'''}}}}}}[br]{{{#white Pure Aluminum Ingo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Ingot.png|width=150px]][br]'''알루미늄 주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6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9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75개 || || '''생산량/분''' || 30{{{#red (-50%)}}} || 6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Smelter.png|width=24px]] 제련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Foundry.png|width=24px]] 주조소 || 알루미늄 주괴 제련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이산화규소를 제거하는 제작법이다. 걸쭉한 알루미나 대체 제작법을 병행하면 알루미늄 주괴 공정에서 이산화규소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공정이 굉장히 깔끔해진다. 물론 기본 제작법보다 생산량은 크게 떨어지는지라, 이산화규소를 다른 공정에 써먹겠다면 이 제작법을 채택하지 않아도 된다. === 무기물 === || {{{#white {{{+3 '''개선된 콘크리트'''}}}}}}[br]{{{#white Fine Concre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150px]][br]'''콘크리트'''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3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45개 || || '''생산량/분''' || 25{{{#green (+66.66%)}}} || 1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이산화규소를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분당 생산량이 늘고 석회석 소모량도 줄어들지만, 희귀 자원인 석영을 고작 콘크리트 생산에 투자하기에는 아깝다. 작정하고 콘크리트를 양산하려면 그냥 석회석 노드를 더 찾든지, 아니면 수고를 좀 더 들여서 아래의 물 섞는 제작법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 {{{#white {{{+3 '''고무 콘크리트'''}}}}}}[br]{{{#white Rubber Concre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150px]][br]'''콘크리트'''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5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45개 || || '''생산량/분''' || 45{{{#green (+200%)}}} || 1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고무를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남아도는 고무를 처리할 게 아니라면 개선된 콘크리트와 마찬가지로 필요성은 높지 않다. || {{{#white {{{+3 '''습식 콘크리트'''}}}}}}[br]{{{#white Wet Concre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150px]][br]'''콘크리트'''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12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45개 || || '''생산량/분''' || 80{{{#green (+433.33%)}}} || 1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본 사항은 순수한 철 주괴와 같다. 석회석 요구량이 늘어나나 그 이상으로 콘크리트 생산량이 폭증하기에 전력과 부지만 감당할 수 있다면 채용 가치가 있다. 또한 물 섞는 제작법 중 생산품의 분당 어썸 싱크 포인트 총량이 가장 높은데, 그래서 알루미늄 공정 같이 물이 부산물로 나오는 공정에서 물을 처분할 목적으로 자주 활용된다. || {{{#white {{{+3 '''순수한 석영 수정'''}}}}}}[br]{{{#white Pure Quartz Crysta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Quartz Crystal.png|width=150px]][br]'''석영 수정'''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aw Quartz.png|width=24px]] 석영 원석 67.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37.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Raw Quartz.png|width=24px]] 석영 원석 37.5개 || || '''생산량/분''' || 52.5{{{#green (+133.33%)}}} || 22.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본 사항은 순수한 철 주괴와 같다. 수정 발진기가 들어가는 여러 대체 제작법을 활용하겠다면 필요성이 높아진다. || {{{#white {{{+3 '''저렴한 이산화규소'''}}}}}}[br]{{{#white Cheap Silica}}}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150px]][br]'''이산화규소'''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aw Quartz.png|width=24px]] 석영 원석 1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Limestone.png|width=24px]] 석회석 18.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aw Quartz.png|width=24px]] 석영 원석 22.5개 || || '''생산량/분''' || 26.25{{{#red (-30%)}}} || 37.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재료 일부를 석회석으로 대신한 제작법이다. 원본보다 시간당 생산량이 낮고 공정도 복잡해지나, 석영 원석 대비 생산량이 늘어난다. 석영보다 석회석 노드가 훨씬 흔한 걸 감안하면 실질적으로는 생산성이 증가한다고 봐야 한다. 기본 제작법에서는 이산화규소의 쓰임새가 넓지 않은 관계로 필요성이 높지 않으나, 실리콘 고속 커넥터, 실리콘 회로 기판 등 이산화규소를 투입하는 대체 제작법을 활용하겠다면 고려할 수 있다. ||<-2> {{{#white {{{+3 '''폴리머 수지'''}}}}}}[br]{{{#white Polymer Resin}}}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75px]][br]'''폴리머 수지''' ||<|3>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75px]][br]'''중유 잔여물''' || '''재료/분''' ||<-2> [[파일:Satisfactory Fluids Crude Oil.png|width=24px]] 원유 60m³ || || '''생산량/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24px]] 폴리머 수지 130개{{{#green (+333.33%)}}}[br][[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2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24px]] 폴리머 수지 3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40m³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본래 폴리머 수지는 원유를 연료로 정제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이나, 이 제작법에서는 원유에서 폴리머 수지를 대량으로 뽑아내면서 부산물로 중유 잔여물을 생성한다. 하지만 폴리머 수지는 괜찮은 사용처가 직물밖에 없는데, 고작 직물을 양산하려고 중유 잔여물을 적게 뽑아내는 건 수지가 안 맞는다. 재활용 고무/플라스틱 제조법을 사용하지 못하는데 고무나 플라스틱이 대량으로 필요할 때 울며 겨자 먹기로 사용하게 된다. || {{{#white {{{+3 '''전극 - 알루미늄 조각'''}}}}}}[br]{{{#white Electrode - Aluminum Scrap}}}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150px]][br]'''알루미늄 조각'''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 알루미나 용액 18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Petroleum Coke.png|width=24px]] 석유 코크스 6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 알루미나 용액 24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120개 || || '''생산량/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300개{{{#red (-16.66%)}}}[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0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36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20m³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석탄 대신 석유 코크스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코크스 강철 주괴와 유사한 성격의 제조법으로, 우선해서 얻을 필요는 없지만 보크사이트 채굴 단지에서 석탄보다 원유가 가깝다면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 {{{#white {{{+3 '''즉석 조각'''}}}}}}[br]{{{#white Instant Scrap}}}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150px]][br]'''알루미늄 조각'''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Bauxite.png|width=24px]] 보크사이트 15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10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50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60m³ ||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 알루미나 용액 24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120개 || || '''생산량/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300개{{{#red (-16.66%)}}}[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5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Scrap.png|width=24px]] 알루미늄 조각 36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20m³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원래 알루미늄 조각을 얻기 위해서는 보크사이트와 물로 알루미나 용액을 만든 뒤, 여기에 석탄을 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이 제작법이 있으면 이러한 과정을 혼합기에서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알루미나 용액 정제 과정에서 함께 나오는 이산화규소를 따로 처리할 필요도 없어지고, 부산물로 나오는 물 생산량이 황산 정제에 쓰이는 물의 양과 정확히 일치하는 덕분에 물을 처리할 필요도 사실상 없어진다. 그러나 재료에 희귀 자원인 황이 추가된다는 문제가 있어 기존 알루미늄 조각 제작법을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황 생산량이나 황 노드 입지를 보고 채용 여부를 정하면 된다. === 표준 부품 === || {{{#white {{{+3 '''강철봉'''}}}}}}[br]{{{#white Steel Rod}}}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150px]][br]'''철봉'''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24px]] 강철 주괴 12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15개 || || '''생산량/분''' || 48{{{#green (+220%)}}} || 1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철 주괴 대신 강철 주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철봉은 철광석만으로도 수요를 감당할 수 있고, 강철 주괴는 수요량이 상당해서 이 제작법을 쓰면서까지 철봉을 제작할 이유는 없다. || {{{#white {{{+3 '''주조된 나사'''}}}}}}[br]{{{#white Cast Screw}}}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150px]][br]'''나사'''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12.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10개 || || '''생산량/분''' || 50{{{#green (+25%)}}} || 4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철 주괴 - 철봉 - 나사로 이어지는 공정에서 중간 단계를 건너뛸 수 있게 하는 제작법이다. 나사는 장기적으로는 없앨수록 좋지만, 나사를 배제하는 대체 제작법을 찾지 못했다면 훌륭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준다. 필요성이 높은 대체 제작법이 나오지 않았을 때 차선책으로 고르기 좋다. || {{{#white {{{+3 '''강철 나사'''}}}}}}[br]{{{#white Steel Screw}}}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150px]][br]'''나사'''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10개 || || '''생산량/분''' || 260{{{#green (+550%)}}} || 4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강철 빔에서 엄청난 양의 나사를 뽑아내는 제작법이다. 보통은 기피되는 나사 관련 제작법임에도 생산량 하나는 압도적이다 보니, 나사를 꼭 써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써봄직하다. || {{{#white {{{+3 '''코팅된 철판'''}}}}}}[br]{{{#white Coated Iron Pla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150px]][br]'''철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5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30개 || || '''생산량/분''' || 75{{{#green (+150%)}}}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플라스틱을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강철봉과 비슷한 이유로, 철판은 기본 제작법만으로도 수요를 감당할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떨어진다. || {{{#white {{{+3 '''강판'''}}}}}}[br]{{{#white Steel Coated Pla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150px]][br]'''철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24px]] 강철 주괴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30개 || || '''생산량/분''' || 45{{{#green (+50%)}}}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재료 대신 강철 주괴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재료 소모량이 굉장히 적긴 한데, 철 하나로 끝낼 수 있는 철판을 만든답시고 석탄과 원유를 쓰는 건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꼴이다. 코팅된 철판과 비슷하게 채용 이유가 별로 없는 제작법이다. || {{{#white {{{+3 '''볼트 철판'''}}}}}}[br]{{{#white Bolted Iron Pla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150px]][br]'''보강된 철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9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25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60개 || || '''생산량/분''' || 15{{{#green (+200%)}}} || 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더 많은 재료를 투입해 생산량을 올린 제작법이다. 철판 요구량과 보강된 철판 생산량이 모두 세 배로 증가해, 조립기의 수를 1/3로 압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문제는 이와 달리 나사 소모량은 네 배가 넘도록 증가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나사 소모량을 줄이기는커녕 되려 늘려버린다. 나사 소모량이 늘어난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선택지에서 가장 먼저 제외되는 비운의 대체 제작법이다. || {{{#white {{{+3 '''용접 철판'''}}}}}}[br]{{{#white Stitched Iron Pla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150px]][br]'''보강된 철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18.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3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60개 || || '''생산량/분''' || 5.6{{{#green (+12%)}}} || 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나사 대신 전선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량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보강된 철판 생산에 들어갈 나사를 전선으로 바꿔 없애준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그 가치가 대단하다. 게다가 후술할 철 전선 제작법까지 얻었다면 구리가 필요하다는 단점까지도 해결된다. 볼트 철판과는 정반대로 초반에 최우선적으로 노릴 만한 대체 제작법이다. || {{{#white {{{+3 '''접착된 철판'''}}}}}}[br]{{{#white Adhered Iron Plat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150px]][br]'''보강된 철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11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60개 || || '''생산량/분''' || 3.75{{{#red (-25%)}}} || 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나사 대신 고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이것 역시 나사를 다른 재료로 바꿔주지만, 전선보다 생산이 까다로운 고무를 요구하는 탓에 보통은 상술한 용접 철판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다. 단일 건물로는 생산량이 기존보다 떨어져 넓은 공장 부지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 {{{#white {{{+3 '''가압 구리 판'''}}}}}}[br]{{{#white Steamed Copper Shee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150px]][br]'''구리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22.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22.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20개 || || '''생산량/분''' || 22.5{{{#green (+125%)}}} || 1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본 사항은 순수한 철 주괴와 같다. 순수한 구리 주괴 제작법을 병행하면 구리 광석 대비 구리판 생산량을 4배로 뻥튀기할 수 있다. || {{{#white {{{+3 '''알클래드 케이스'''}}}}}}[br]{{{#white Alclad Casing}}}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150px]][br]'''알루미늄 케이스'''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Ingot.png|width=24px]] 알루미늄 주괴 15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Ingot.png|width=24px]] 알루미늄 주괴 90개 || || '''생산량/분''' || 112.5{{{#green (+87.5%)}}} || 6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구리 주괴를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이름답게 또다른 알루미늄 기반 아이템인 알클래드 알루미늄 판처럼 알루미늄과 구리를 모두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재료를 하나 더 먹게 되긴 하지만 공정 변경이 어렵진 않다. 다만 주괴량 대비 생산량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 관계로 생산성보다는 전력 및 부지 절약에 중점을 둬야 한다. || {{{#white {{{+3 '''포장된 산업용 파이프'''}}}}}}[br]{{{#white Encased Industrial Pip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150px]][br]'''포장된 산업용 빔'''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2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24px]] 콘크리트 2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24개 [br][[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24px]] 콘크리트 30개 || || '''생산량/분''' || 4{{{#red (-33.33%)}}} || 6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강철 빔 대신 강철 파이프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표면적인 생산량은 줄어들지만, 강철 파이프가 강철 빔보다 생산량이 높다는 걸 고려하면 실질적인 생산량은 오히려 늘어난다. 강철 파이프를 활용하는 여러 대체 제작법을 함께 채용하면 강철 빔을 배제할 수 있어 편리한 공정 설계가 가능해진다. || {{{#white {{{+3 '''볼트 골조'''}}}}}}[br]{{{#white Bolted Fram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150px]][br]'''모듈식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4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12개 || || '''생산량/분''' || 5{{{#green (+150%)}}} || 2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철봉 대신 나사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멀쩡한 제작법에 나사를 추가해버리는 그야말로 나사 빠진 제작법으로, 볼트 철판과 마찬가지 이유로 최우선적으로 거르면 된다. 나사는 없을수록 좋다. || {{{#white {{{+3 '''강철 골조'''}}}}}}[br]{{{#white Steeled Fram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150px]][br]'''모듈식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1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12개 || || '''생산량/분''' || 3{{{#green (+50%)}}} || 2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철봉 대신 강철 파이프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볼트 골조와 달리 강철 파이프는 생산이 용이하면서도 나사만큼 엄청난 수가 필요하진 않으므로 모듈식 골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무난히 채택할 수 있는 제작법이다. || {{{#white {{{+3 '''고중량 신축성 골조'''}}}}}}[br]{{{#white Heavy Flexible Fram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Heavy Modular Frame.png|width=150px]][br]'''고중량 모듈식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18.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24px]] 포장된 산업용 빔 1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39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24px]] 포장된 산업용 빔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200개 || || '''생산량/분''' || 3.8{{{#green (+90%)}}} || 2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강철 파이프 대신 고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이 더 까다로운 고무를 투입하는 만큼 생산량은 올라가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사 소모량이 늘어난다. 여타 나사 소모량이 증가하는 제작법들과 비슷한 이유로 채용 가치가 없다. || {{{#white {{{+3 '''포장된 고중량 골조'''}}}}}}[br]{{{#white Heavy Encased Fram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Heavy Modular Frame.png|width=150px]][br]'''고중량 모듈식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24px]] 포장된 산업용 빔 9.4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33.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24px]] 콘크리트 20.6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24px]] 포장된 산업용 빔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200개 || || '''생산량/분''' || 2.8{{{#green (+40%)}}} || 2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나사 대신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나사를 재료에서 빼버린 것만으로도 성능이 보장되는데, 대체 재료인 콘크리트가 다른 재료인 포장된 산업용 빔에도 쓰인다는 점에서 기본 제작법보다 명백히 뛰어난 효율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포장된 산업용 파이프 제작법이 있으면 콘크리트, 강철 파이프, 보강된 철판 세 종류의 재료만으로 고중량 모듈식 골조 생산 라인이 갖춰진다. 여러 면에서 최상급 대체 제작법이라 할 수 있다. || {{{#white {{{+3 '''열 융합 골조'''}}}}}}[br]{{{#white Heat-Fused Fram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Fused Modular Frame.png|width=150px]][br]'''융합된 모듈식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Heavy Modular Frame.png|width=24px]] 고중량 모듈식 골조 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Ingot.png|width=24px]] 알루미늄 주괴 15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ic Acid.png|width=24px]] 질산 24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3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Heavy Modular Frame.png|width=24px]] 고중량 모듈식 골조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7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ogen Gas.png|width=24px]] 질소 가스 37.5m³ || || '''생산량/분''' || 3{{{#green (+100%)}}} || 1.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알루미늄 케이스, 질소 가스 대신 알루미늄 주괴, 질산, 연료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질산용 혼합기와 연료가 필요하지만, 알루미늄 케이스 가공용 제작기를 뺄 수 있고 배로 뛰는 분당 생산량 덕에 혼합기 수 또한 결과적으로 줄어든다. 연료 공급만 원활하다면 채용 가치가 높다. || {{{#white {{{+3 '''폴리에스테르 섬유'''}}}}}}[br]{{{#white Polyester Fabric}}}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Fabric.png|width=150px]][br]'''직물'''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24px]] 폴리머 수지 80개 [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5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Mycelia.png|width=24px]] 균사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Biomass.png|width=24px]] 바이오매스 75개 || || '''생산량/분''' || 5{{{#red (-66.66%)}}} || 1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기존 재료 대신 폴리머 수지와 물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기존 재료인 균사와 바이오매스는 채취 자동화가 안 되는 아이템이지만, 폴리머 수지와 물은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이 제작법이 있으면 직물, 궁극적으로 가스 필터와 아이오딘이 주입된 필터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 {{{#white {{{+3 '''재활용 플라스틱'''}}}}}}[br]{{{#white Recycled Plastic}}}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150px]][br]'''플라스틱'''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30m³ || [[파일:Satisfactory Fluids Crude Oil.png|width=24px]] 원유 30m³ || || '''생산량/분''' || 60{{{#green (+200%)}}} || 20[br]+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10m³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 {{{#white {{{+3 '''재활용 고무'''}}}}}}[br]{{{#white Recycled Rubb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150px]][br]'''고무'''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30m³ || [[파일:Satisfactory Fluids Crude Oil.png|width=24px]] 원유 30m³ || || '''생산량/분''' || 60{{{#green (+200%)}}} || 20[br]+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20m³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위 두 제작법들은 모두 한 쪽과 연료를 사용해서 다른 한 쪽을 만들어내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한 쪽 결과물을 다른 한 쪽의 재료로 다시 투입하는 식으로 순환시키면 결과적으로 고무/플라스틱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보통 원유에서 중유 잔여물을 뽑아내서 물탄 연료로 전환하고, 남은 폴리머 수지를 고무로 바꿔서 이 공정에 투입하는 방식을 많이 채용한다. === 산업용 부품 === || {{{#white {{{+3 '''구리 회전자'''}}}}}}[br]{{{#white Copper R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150px]][br]'''회전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9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2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00개 || || '''생산량/분''' || 11.3{{{#green (+182.5%)}}} || 4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철봉 대신 구리판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량은 많이 늘어나지만 구리 기반 재료인 구리판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나사 요구량이 늘어난다. 위에서도 몇 번 서술되었지만, 나사는 없을수록 좋다. || {{{#white {{{+3 '''강철 회전자'''}}}}}}[br]{{{#white Steel R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150px]][br]'''회전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전선 3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2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00개 || || '''생산량/분''' || 5{{{#green (+25%)}}} || 4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기존 재료 대신 전선과 강철 파이프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나사가 없어진 것도 좋지만, 이 제작법의 진가는 회전자의 재료를 고정자와 동일하게 맞춰준다는 것이다. 전선과 강철 파이프만으로도 회전자와 고정자를 모두 소화할 수 있게 되어 모터 생산 및 공정 간소화에 큰 도움이 된다. 생산성보다도 그 편리함 덕분에 우선순위가 높은 대체 제작법이다. || {{{#white {{{+3 '''고속전선 고정자'''}}}}}}[br]{{{#white Quickwire Sta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150px]][br]'''고정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16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6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40개 || || '''생산량/분''' || 8{{{#green (+60%)}}} || 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전선 대신 고속 전선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구리와 철보다 희귀한 카테리움을 투입하는 대가로 분당 생산량과 강철 파이프 대비 생산량이 눈에 띄게 올라간다. 상술한 강철 회전자와 재료가 달라지는 탓에 모터 공정에 투입하기는 꺼려지지만, 바꿔 말해 전자기 제어봉 공정 등 고정자만 단독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 {{{#white {{{+3 '''고전식 배터리'''}}}}}}[br]{{{#white Classic Battery}}}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Battery.png|width=150px]][br]'''배터리'''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ulfur.png|width=24px]] 황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lclad Aluminum Sheet.png|width=24px]] 알클래드 알루미늄 판 5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6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9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50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 알루미나 용액 4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20개 || || '''생산량/분''' || 30{{{#green (+50%)}}} || 20[br]+ [[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30m³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혼합기가 추가되기 전의 방식대로 배터리를 생산하는 제작법이다. 제작 과정에서 유체를 완전히 배제하는 대신 플라스틱 가공 단계가 추가되는데, 문제는 효율적인 플라스틱 생산을 위해서는 혼합기와 정제소 다수가 필요하다. 기존에 고무/플라스틱 공장을 미리 세워두었거나, 물 부산물을 심각하게 피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채용 가치가 높지 않다. || {{{#white {{{+3 '''고정밀 모터'''}}}}}}[br]{{{#white Rigour M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150px]][br]'''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3.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3.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1.3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10개 || || '''생산량/분''' || 7.5{{{#green (+50%)}}} || 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기존 제작법에 수정 발진기를 추가한 제작법이다. 대량의 수정 발진기 라인이 갖춰졌다면 적은 분량의 철로도 모터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재료가 하나 더 들어가는 관계로 생산 건물이 조립기에서 제조기로 올라갔고, 수정 발진기 또한 세 재료를 먹는 아이템이라 제조기가 필요하다. 보통은 채택하지 않지만, 공정이 복잡해지는 걸 감수하더라도 자원 효율을 극한까지 뽑아먹고 싶다면 사용할 여지가 생긴다. || {{{#white {{{+3 '''전기 모터'''}}}}}}[br]{{{#white Electric M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150px]][br]'''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10개 || || '''생산량/분''' || 7.5{{{#green (+50%)}}} || 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고정자 대신 전자기 제어봉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전자기 제어봉 제작에 고정자가 들어가므로 공정 변경 부담이 어렵지 않다. || {{{#white {{{+3 '''열 교환기'''}}}}}}[br]{{{#white Heat Exchang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Heat Sink.png|width=150px]][br]'''방열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Alclad Aluminum Sheet.png|width=24px]] 알클래드 알루미늄 판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22.5개 || || '''생산량/분''' || 10{{{#green (+33.33%)}}} || 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기존 재료 대신 알루미늄 케이스와 고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공정에서 구리가 빠지고 원유가 들어온다. 자원 노드의 위치에 따라 채용 여부를 정하면 된다. || {{{#white {{{+3 '''냉각 장치'''}}}}}}[br]{{{#white Cooling Devic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oling System.png|width=150px]][br]'''냉각 시스템'''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Heat Sink.png|width=24px]] 방열판 9.3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1.88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ogen Gas.png|width=24px]] 질소 가스 4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Heat Sink.png|width=24px]] 방열판 1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12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30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ogen Gas.png|width=24px]] 질소 가스 150m³ || || '''생산량/분''' || 3.75{{{#red (-37.5%)}}} || 6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고무와 물 대신 모터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원유와 물이 필요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긴 하나,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는 모터의 가치를 감안하면 수지가 안 맞는다. 또한 방열판을 위한 알루미늄 정제 과정에 물이 쓰이다 보니 재료에 물이 빠진다는 것도 큰 의미가 없다. 원유가 정말 모자라는 게 아닌 이상 채용 가치가 부족한 제작법이다. || {{{#white {{{+3 '''압력 터보 모터'''}}}}}}[br]{{{#white Turbo Pressure M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Turbo Motor.png|width=150px]][br]'''터보 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ressure Conversion Cube.png|width=24px]] 압력 변환 큐브 1.8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ackaged Nitrogen Gas.png|width=24px]] 포장된 질소 가스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1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oling System.png|width=24px]] 냉각 시스템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24px]] 무선 제어 유닛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45개 || || '''생산량/분''' || 3.75{{{#green (+99.47%)}}} || 1.88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고무, 냉각 시스템, 무선 제어 유닛 대신 고정자, 포장된 질소 가스, 압력 변환 큐브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량이 높고 구리 및 카테리움 소모량이 줄어들지만, 질소 가스가 추가되고 압력 변환 큐브의 재료인 융합된 모듈식 골조에도 질소 가스가 필요하니 질소 가스 채취 단지를 갖춰놔야 한다. || {{{#white {{{+3 '''전기 터보 모터'''}}}}}}[br]{{{#white Turbo Electric Mo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Turbo Motor.png|width=150px]][br]'''터보 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6.56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24px]] 무선 제어 유닛 8.44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4.69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6.56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oling System.png|width=24px]] 냉각 시스템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24px]] 무선 제어 유닛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45개 || || '''생산량/분''' || 2.81{{{#green (+49.47%)}}} || 1.88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고무와 냉각 시스템 대신 회전자와 전자기 제어봉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철 및 원유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 전자 장치 === || {{{#white {{{+3 '''철 전선'''}}}}}}[br]{{{#white Iron Wir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150px]][br]'''전선'''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Ingot.png|width=24px]] 철 주괴 12.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15개 || || '''생산량/분''' || 22.5{{{#red (-25%)}}} || 3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구리 주괴 대신 철 주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 속도를 올리지 않고 되려 낮춰버리나, 전선이 요구되는 공정을 철로 단순화할 수 있다는 독보적인 장점 덕에 용접 철판과 함께 우선순위가 높은 초반 대체 제작법이다. 가령 고정자는 이 대체 제작법이 있으면 구리를 배제할 수 있으며, 용첩 철판과 강철 회전자 역시 원래 제작법대로 철을 사용하면서 나사만 배제하는 효율적인 공정이 만들어진다. 다만 전선 소모량이 급등하는 후반까지도 전선을 철 전선으로 퉁쳤다간 엄청난 양의 제작기가 있어야 하니, 높은 전선 생산량이 필요한 공정에는 다른 제작법을 활용하는 게 좋다. || {{{#white {{{+3 '''카테리움 전선'''}}}}}}[br]{{{#white Caterium Wir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150px]][br]'''전선'''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Ingot.png|width=24px]] 카테리움 주괴 1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15개 || || '''생산량/분''' || 120{{{#green (+300%)}}} || 3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구리 주괴 대신 카테리움 주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량이 비약적으로 늘어나긴 하나 노드 수가 적은 카테리움이 필요하므로 우선순위가 높진 않다. 고속 전선보다 일반 전선의 필요성이 높다면 채택해볼 만하다. || {{{#white {{{+3 '''융합된 전선'''}}}}}}[br]{{{#white Fused Wir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150px]][br]'''전선'''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1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Ingot.png|width=24px]] 카테리움 주괴 3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15개 || || '''생산량/분''' || 90{{{#green (+200%)}}}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재료 일부를 카테리움 주괴로 대신한 제작법이다. 카테리움 전선과 달리 구리를 카테리움으로 완전히 대체하지 않고 적절히 혼합했는데, 카테리움 비율 대비 생산 증가량은 이쪽이 훨씬 높으므로 카테리움 생산량이 부족하다면 고려할 수 있다. 물론 두 재료가 필요한 관계로 벨트 깔기가 귀찮아지는 건 감수해야 한다. || {{{#white {{{+3 '''절연 케이블'''}}}}}}[br]{{{#white Insulated Cabl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150px]][br]'''케이블'''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60개 || || '''생산량/분''' || 100{{{#green (+233%)}}}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고무를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원유가 필요하고 공정도 복잡해지나 생산량만큼은 매우 뛰어나므로 케이블의 필요성이 높다면 고려할 만하다. || {{{#white {{{+3 '''코팅된 케이블'''}}}}}}[br]{{{#white Coated Cabl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150px]][br]'''케이블'''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37.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1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60개 || || '''생산량/분''' || 67.5{{{#green (+125%)}}}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제작법에 중유 잔여물을 추가하는 제작법이다. 중유 잔여물은 연료 생산의 핵심 재료이기 때문에 케이블에 투자할 여유가 없다. 복잡한 공정을 감수하더라도 케이블 생산을 늘려야 한다면 상술한 절연 케이블이 있다. || {{{#white {{{+3 '''고속 전선 케이블'''}}}}}}[br]{{{#white Quickwire Cabl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150px]][br]'''케이블'''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60개 || || '''생산량/분''' || 27.5{{{#red (-8.33%)}}} || 3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기존 재료 대신 고속 전선과 고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매우 적은 재료 소모량을 가졌지만 생산품은 보다 기초적인 재료라는 점에서 강판과 유사점이 있는 제작법이다. 하지만 건물당 생산량이 기존 제작법보다 떨어져 필요 부지가 너무 커지는 탓에 권장되지 않는다. || {{{#white {{{+3 '''융합된 고속 전선'''}}}}}}[br]{{{#white Fused Quickwire}}}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150px]][br]'''고속 전선'''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Ingot.png|width=24px]] 구리 주괴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Ingot.png|width=24px]] 카테리움 주괴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aterium Ingot.png|width=24px]] 카테리움 주괴 12개 || || '''생산량/분''' || 90{{{#green (+50%)}}} || 6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재료 일부를 구리 주괴로 대신한 제작법이다. 융합된 전선 제작법과 마찬가지로 공정이 복잡해지긴 하지만 고속 전선의 생산량을 올릴 수 있는 유일한 제조법이라 가치가 낮은 건 아니다. 고속 전선 요구량에 따라 채용 여부를 정하면 된다. || {{{#white {{{+3 '''카테리움 회로 기판'''}}}}}}[br]{{{#white Caterium Circuit Board}}}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150px]][br]'''회로 기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3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 || || '''생산량/분''' || 8.75{{{#green (+16.66%)}}} || 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구리판 대신 고속 전선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건물당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플라스틱 소모량이 반 이하로 줄어든다. 회로 기판의 필요성이 높고 카테리움 공급이 충분하면 채용 가치가 있다. || {{{#white {{{+3 '''실리콘 회로 기판'''}}}}}}[br]{{{#white Silicon Circuit Board}}}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150px]][br]'''회로 기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2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2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 || || '''생산량/분''' || 12.5{{{#green (+66.66%)}}} || 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플라스틱 대신 이산화규소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역시 석영 공급이 충분하면 채용할 가치가 있다. 회로 기판 제작법 중 시간당 생산량이 제일 높은 것은 덤. || {{{#white {{{+3 '''전극 회로 기판'''}}}}}}[br]{{{#white Electrode Circuit Board}}}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150px]][br]'''회로 기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etroleum Coke.png|width=24px]] 석유 코크스 4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 || || '''생산량/분''' || 5{{{#red (-33.33%)}}} || 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기존 재료 대신 고무와 석유 코크스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재료에서 구리가 빠져 원유만으로 회로 기판을 만들 수 있게 되므로 원유가 넘쳐나거나 구리 수송이 여의치 않다면 고려할 만하다. || {{{#white {{{+3 '''실리콘 고속 커넥터'''}}}}}}[br]{{{#white Silicon High-Speed Connec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150px]][br]'''고속 커넥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9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3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2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3.75개 || || '''생산량/분''' || 3{{{#red (-20%)}}} || 3.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케이블 대신 이산화규소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구리보다 희귀한 석영이 필요하고 건물당 생산량도 떨어지나, 고속 전선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켜 컨베이어 벨트 포화를 막아준다. 카테리움보다 석영에 여유가 있을 때 채택하기 좋다. === 통신 === || {{{#white {{{+3 '''수정 컴퓨터'''}}}}}}[br]{{{#white Crystal Compu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150px]][br]'''컴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2.81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30개 || || '''생산량/분''' || 2.81{{{#green (+12.4%)}}} || 2.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생산 건물이 조립기로 바뀐 대신 제조기에서 제작하는 수정 발진기가 들어갔다. 일단 나사가 빠졌기 때문에 채용할 가치가 있으며, 회로 기판 소모량도 줄어든다. || {{{#white {{{+3 '''카테리움 컴퓨터'''}}}}}}[br]{{{#white Caterium Compu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150px]][br]'''컴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26.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10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4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crew.png|width=24px]] 나사 130개 || || '''생산량/분''' || 3.75{{{#green (+50%)}}} || 2.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나사 대신 고속 전선을 사용하는 레시피. 이 쪽도 효율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채용 가치가 높다. 석영과 카테리움 생산량을 보고 정하면 된다. || {{{#white {{{+3 '''오버클럭 슈퍼컴퓨터'''}}}}}}[br]{{{#white OC Supercompu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upercomputer.png|width=150px]][br]'''슈퍼컴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24px]] 무선 제어 유닛 9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oling System.png|width=24px]] 냉각 시스템 9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24px]] 컴퓨터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I. Limiter.png|width=24px]] 인공지능 제한 회로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24px]] 고속 커넥터 5.6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52.5개 || || '''생산량/분''' || 3{{{#green (+59.57%)}}} || 1.88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얼핏 보기에 제조기 대신 조립기를 사용해서 공정이 간단해질 것 같지만, 냉각 시스템용 혼합기와 무선 제어 유닛용 제조기가 들어오기 때문에 부지가 오히려 더 커진다. 자원 소모량, 전력 소모량, 부지 넓이 등 모든 면에서 장점이 없는 꽝이다. || {{{#white {{{+3 '''초상태 컴퓨터'''}}}}}}[br]{{{#white Super-State Compu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upercomputer.png|width=150px]][br]'''슈퍼컴퓨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24px]] 컴퓨터 3.6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2.4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Battery.png|width=24px]] 배터리 24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54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24px]] 컴퓨터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I. Limiter.png|width=24px]] 인공지능 제한 회로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24px]] 고속 커넥터 5.6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52.5개 || || '''생산량/분''' || 2.4{{{#green (+27.66%)}}} || 1.88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황을 담보로 시간당 생산량을 늘린 제작법. 전력이나 부지 면에서 원본 제작법보다 이득이기 때문에 채용 가치가 높다. || {{{#white {{{+3 '''무선 연결 유닛'''}}}}}}[br]{{{#white Radio Connection Uni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150px]][br]'''무선 제어 유닛'''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Heat Sink.png|width=24px]] 방열판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24px]] 고속 커넥터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Quartz Crystal.png|width=24px]] 석영 수정 4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4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24px]] 컴퓨터 1.25개 || || '''생산량/분''' || 3.75{{{#green (+50%)}}} || 2.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석영과 카테리움, 구리 소모량이 높아진다. 아래의 제어 시스템 제작법에 밀려 거의 채용하지 않는다. || {{{#white {{{+3 '''무선 제어 시스템'''}}}}}}[br]{{{#white Radio Control System}}}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Radio Control Unit.png|width=150px]][br]'''무선 제어 유닛'''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ircuit Board.png|width=24px]] 회로 기판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9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4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4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uter.png|width=24px]] 컴퓨터 1.25개 || || '''생산량/분''' || 4.5{{{#green (+80%)}}} || 2.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컴퓨터가 빠지고 회로 기판과 고무가 들어갔다. 제조기가 하나 빠진 것만 해도 좋은데, 수정 발진기 대비 생산량까지 늘어난다. 채용 가치가 높은 편이다. || {{{#white {{{+3 '''절연 수정 발진기'''}}}}}}[br]{{{#white Insulated Crystal Oscillato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150px]][br]'''수정 발진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Quartz Crystal.png|width=24px]] 석영 수정 18.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13.13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I. Limiter.png|width=24px]] 인공지능 제한 회로 1.88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Quartz Crystal.png|width=24px]] 석영 수정 1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14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2.5개 || || '''생산량/분''' || 1.88{{{#green (+88%)}}} || 1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석영 소모량이 거의 절반이 되는 대체 제작법. 석영이 그리 흔한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채용할 가치가 있다. 다만 원유가 필요해진 점은 마이너스. === 저장 용기 === || {{{#white {{{+3 '''강철 통'''}}}}}}[br]{{{#white Steel Iron Canis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mpty Canister.png|width=150px]][br]'''빈 통'''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Ingot.png|width=24px]] 강철 주괴 6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 || || '''생산량/분''' || 40{{{#red (-33.33%)}}} || 6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플라스틱 대신 강철 주괴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재료가 원유에서 철과 석탄으로 바뀌어 유체를 다룰 필요가 없어진다. 문제는 통은 포장을 위해서만 쓰이지 특정 부품의 재료로 쓰이는 게 아닌지라 대체 제작법을 써 가면서까지 양산할 이유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포장기에서 포장을 풀면 빈 통을 돌려주기도 하고, 연료 제작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폴리머 수지만 조금 사용해도 빈 통은 충분히 모을 수 있다 보니 채택할 이유가 없다. || {{{#white {{{+3 '''코팅된 철 통'''}}}}}}[br]{{{#white Coated Iron Canist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mpty Canister.png|width=150px]][br]'''빈 통'''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3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pper Sheet.png|width=24px]] 구리판 1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30개 || || '''생산량/분''' ||<-2> 6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Constructor.png|width=24px]] 제작기 || 플라스틱 대신 철판과 구리판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강철 통과 마찬가지 이유로 채용 가치가 떨어진다. === 유체 및 연료 === ||<-2><|2> {{{#white {{{+3 '''중유 잔여물'''}}}}}}[br]{{{#white Heavy Oil Residue}}} ||<-2><|2> '''대체 제작법''' ||<-2> '''기본 제작법''' || || 플라스틱 || 고무 || ||<|3>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75px]][br]'''중유 잔여물''' ||<|3> [[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75px]][br]'''폴리머 수지''' || '''재료/분''' ||<-3> [[파일:Satisfactory Fluids Crude Oil.png|width=24px]] 원유 30m³ || || '''생산량/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40m³{{{#green (+300%), (+100%)}}}[br][[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24px]] 폴리머 수지 2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1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2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2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20개 || || '''건물''' ||<-3>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폴리머 수지 대체 제작법과 비슷한 제작법이지만, 이쪽은 반대로 중유 잔여물을 중점적으로 생산한다. 고성능 대체 제작법인 희석 연료에 중유 잔여물이 들어가고 기본 제작법은 중유 잔여물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효과적인 연료 발전 및 고무, 플라스틱 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대체 제작법이다. || {{{#white {{{+3 '''포장된 희석 연료'''}}}}}}[br]{{{#white Diluted Packaged Fue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Packaged Fuel.png|width=150px]][br]'''포장된 연료'''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중유 잔여물 3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Packaged Water.png|width=24px]] 포장된 물 6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4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Empty Canister.png|width=24px]] 빈 통 40개 || || '''생산량/분''' || 60{{{#green (+50%)}}} || 40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Packager.png|width=24px]] 포장기 || 기존 재료 대신 중유 잔여물과 물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상술한 중유 잔여물 대체 제작법과 함께 본격적인 원유 개발에 필수적인 제작법으로, 원유 대비 연료 생산량이 거진 세 배로 늘어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2> {{{#white {{{+3 '''희석된 연료'''}}}}}}[br]{{{#white Diluted Fuel}}} ||<-2><|2> '''대체 제작법''' ||<-2> '''기본 제작법''' || || 연료 || 중유 잔여물 || ||<|3>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150px]][br]'''연료'''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50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00m³ || [[파일:Satisfactory Fluids Crude Oil.png|width=24px]] 원유 60m³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 중유 잔여물 60m³ || || '''생산량/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100m³{{{#green (+150%)}}}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4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Polymer Resin.png|width=24px]] 폴리머 수지 3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 연료 40m³[br]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상단의 포장된 희석 연료 제작법의 혼합기 버전. 물 포장이 생략되는 덕분에 연료 생산 공정이 간단해진다. 다만 7티어에서 열리는 혼합기가 필요하므로 원유 처리가 갓 해금된 5티어에서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 {{{#white {{{+3 '''터보 중유 연료'''}}}}}}[br]{{{#white Turbo Heavy Fue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Fluids Turbofuel.png|width=150px]][br]'''터보 연료'''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중유 잔여물 37.5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acted Coal.png|width=24px]] 압축 석탄 30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연료 22.5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acted Coal.png|width=24px]] 압축 석탄 15개 || || '''생산량/분''' || 30{{{#green (+60%)}}} || 18.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연료 대신 중유 잔여물을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위의 희석된 연료 제작법이나 다른 터보 연료 제작법과 비교해서 장점이 없다. 원유 대비 터보 연료 생산량은 터보 연료 기본 제작법에 밀리고, 황과 석탄 소모량은 터보 혼합 연료에 밀린다. || {{{#white {{{+3 '''터보 혼합 연료'''}}}}}}[br]{{{#white Turbo Blend Fue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Fluids Turbofuel.png|width=150px]][br]'''터보 연료'''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연료 15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Heavy Oil Residue.png|width=24px]]중유 잔여물 3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Sulfur.png|width=24px]] 황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etroleum Coke.png|width=24px]] 석유 코크스 22.5개 || [[파일:Satisfactory Fluids Fuel.png|width=24px]]연료 22.5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acted Coal.png|width=24px]] 압축 석탄 15개 || || '''생산량/분''' || 45{{{#green (+140%)}}} || 18.7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압축 석탄 대신 중유 잔여물, 황, 석유 코크스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재료 가짓수가 많아져 상위 건물인 혼합기가 필요하지만, 공정에서 석탄이 빠지는데다가 부지도 제법 줄일 수 있어 채용 가치가 높다. || {{{#white {{{+3 '''걸쭉한 알루미나'''}}}}}}[br]{{{#white Sloppy Alumina}}}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150px]][br]'''알루미나 용액'''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Bauxite.png|width=24px]] 보크사이트 20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물 200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Bauxite.png|width=24px]] 보크사이트 120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물 180m³ || || '''생산량/분'''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알루미나 용액 240m³{{{#green (+100%)}}} || [[파일:Satisfactory Fluids Alumina Solution.png|width=24px]]알루미나 용액 120m³[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50개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Refinery.png|width=24px]] 정제소 || 알루미나 용액 정제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이산화규소를 제거하는 제작법이다. 재료 대비 생산량과 생산 속도 모두가 향상되며, 순수한 알루미늄 주괴 제작법을 병행하면 알루미늄 정제 공정에서 이산화규소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이 제작법만 사용해서 부산물 처리를 감수하더라도 알루미늄 주괴 생산량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 {{{#white {{{+3 '''우라늄 연료 장치'''}}}}}}[br]{{{#white Uranium Fuel Uni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 Fuel Rod.png|width=150px]][br]'''우라늄 연료봉'''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Uranium Cell.png|width=24px]] 포장된 우라늄 전지 2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0.6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Beacon.png|width=24px]] 신호기 1.2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Uranium Cell.png|width=24px]] 포장된 우라늄 전지 2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Industrial Beam.png|width=24px]] 포장된 산업용 빔 1.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2개 || || '''생산량/분''' || 0.6{{{#green (+50%)}}} || 0.4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포장된 산업용 빔 대신 수정 발진기와 신호기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석영과 원유 조금을 대가로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참고로 이 제작법은 유일하게 신호기를 사용하는 제작법인데, 신호기가 삭제 보류 상태이므로 추후 업데이트에서 재료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 {{{#white {{{+3 '''플루토늄 연료 장치'''}}}}}}[br]{{{#white Plutonium Fuel Unit}}}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Plutonium Fuel Rod.png|width=150px]][br]'''플루토늄 연료봉'''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Plutonium Cell.png|width=24px]] 포장된 플루토늄 전지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ressure Conversion Cube.png|width=24px]] 압력 변환 큐브 0.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Plutonium Cell.png|width=24px]] 포장된 플루토늄 전지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4.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24px]] 전자기 제어봉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eat Sink.png|width=24px]] 방열판 2.5개 || || '''생산량/분''' || 0.5{{{#green (+100%)}}} || 0.2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강철 빔, 전자기 제어봉, 방열판 대신 압력 변환 큐브를 사용하는 제작법이다. 생산이 까다로운 압력 변환 큐브가 필요하지만 생산량도 그만큼 많아진다. 문제는 플루토늄 연료봉 생산의 1차적인 목적은 우라늄 폐기물을 처분하는 것인데, 생산성이 높다는 건 곧 우라늄 폐기물 처리 속도가 느려진다는 말이나 다름없다. 플루토늄 연료봉까지 전력 생산에 써먹을 게 아닌 이상 채용이 꺼려지는 제작법이다. === 소모품 === || {{{#white {{{+3 '''고운 흑색 화약'''}}}}}}[br]{{{#white Fine Black Powd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Black Powder.png|width=150px]][br]'''흑색 화약'''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ulfur.png|width=24px]] 황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mpacted Coal.png|width=24px]] 압축 석탄 3.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Coal.png|width=24px]] 석탄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ulfur.png|width=24px]] 황 15개 || || '''생산량/분''' || 15{{{#red (-50%)}}} || 30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황이 석탄보다 희귀하기에 채용할 이유가 없다. || {{{#white {{{+3 '''수정 신호기'''}}}}}}[br]{{{#white Crystal Beacon}}}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Beacon.png|width=150px]][br]'''신호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rystal Oscillator.png|width=24px]] 수정 발진기 0.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철판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11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15개 || || '''생산량/분''' || 10{{{#green (+33.33%)}}} || 7.5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수정 발진기가 추가되어 공정은 복잡해지나, 기존 제작법은 제작이 쉬운 재료들을 다량으로 소모하기에 실질적인 필요 건물 수가 확 줄어든다. 다만 사용처가 우라늄 대체 제작법 하나밖에 없고, 추후 업데이트로 삭제될 가능성이 높아 선뜻 채택하기는 조금 꺼려진다. === 핵 === || {{{#white {{{+3 '''전자기 연결봉'''}}}}}}[br]{{{#white Electromagnetic Connection Rod}}}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lectromagnetic Control Rod.png|width=150px]][br]'''전자기 제어봉'''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8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24px]] 고속 커넥터 4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6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I. Limiter.png|width=24px]] 인공지능 제한 회로 4개 || || '''생산량/분''' || 8{{{#green (+100%)}}} || 4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전자기 제어봉이 터보 모터 대체 제작법에 들어가기 때문에 생산성이 중요한데, 시간당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수 있다. || {{{#white {{{+3 '''주입된 우라늄 전지'''}}}}}}[br]{{{#white Infused Uranium Cel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Uranium Cell.png|width=150px]][br]'''포장된 우라늄 전지'''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png|width=24px]] 우라늄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1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ulfur.png|width=24px]] 황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Quickwire.png|width=24px]] 고속 전선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png|width=24px]] 우라늄 5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24px]] 콘크리트 1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40m³ || || '''생산량/분''' || 20{{{#red (-20%)}}} || 25[br]+ [[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10m³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우라늄 광석 대비 우라늄 전지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제작법이다. 핵 발전을 고려한다면 채용할 가치가 있다. || {{{#white {{{+3 '''핵원료 우라늄'''}}}}}}[br]{{{#white Fertile Uranium}}}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Non-fissile Uranium.png|width=150px]][br]'''비분열성 우라늄'''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png|width=24px]] 우라늄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 Waste.png|width=24px]] 우라늄 폐기물 2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ic Acid.png|width=24px]] 질산 15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25m³ || [[파일:Satisfactory Items Uranium Waste.png|width=24px]] 우라늄 폐기물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ilica.png|width=24px]] 이산화규소 25개[br][[파일:Satisfactory Fluids Nitric Acid.png|width=24px]] 질산 15m³[br][[파일:Satisfactory Fluids Sulfuric Acid.png|width=24px]] 황산 15m³ || || '''생산량/분''' || 100{{{#green (+100%)}}}[br]+ [[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40m³ || 50[br]+ [[파일:Satisfactory Fluids Water.png|width=24px]] 물 15m³ || || '''건물''' ||<-2>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Blender.png|width=24px]] 혼합기 || 비분열성 우라늄은 폐기물 처리가 1목적인데, 폐기물 소모량을 줄여버리는 제작법이다. 플루토늄 재처리까지 해서 골수까지 전력을 뽑아먹을 것이 아니라면 굳이 채용할 이유가 없다. || {{{#white {{{+3 '''즉석 플루토늄 전지'''}}}}}}[br]{{{#white Instant Plutonium Cell}}}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Encased Plutonium Cell.png|width=150px]][br]'''포장된 플루토늄 전지'''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Non-fissile Uranium.png|width=24px]] 비분열성 우라늄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Aluminum Casing.png|width=24px]] 알루미늄 케이스 1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Plutonium Pellet.png|width=24px]] 플루토늄 펠릿 10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oncrete.png|width=24px]] 콘크리트 20개 || || '''생산량/분''' || 10{{{#green (+100%)}}} || 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Particle Accelerator.png|width=24px]] 입자 가속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필요 전력을 조금 늘리고 공장 부지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갯수를 생산하는 기준으로, 분당 우라늄 폐기물 소모량이 줄어서 결과적으로 폐기물 처리를 위해 시설을 더 크게 짓게 된다. 큰 이득이 없는 레시피 중 하나. === 특수 === || {{{#white {{{+3 '''플라스틱 지능형 도금판'''}}}}}}[br]{{{#white Plastic Smart Plating}}}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Smart Plating.png|width=150px]][br]'''지능형 도금판'''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Plastic.png|width=24px]] 플라스틱 7.5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Reinforced Iron Plate.png|width=24px]] 보강된 철판 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otor.png|width=24px]] 회전자 2개 || || '''생산량/분''' || 5{{{#green (+150%)}}} || 2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플라스틱 약간을 소모해서 생산성을 늘린 제작법이다. 원유 조금을 추가해서 철 소모량과 필요 건물 수를 반절 가까이 줄일 수 있다. 모듈 엔진의 재료로 제법 많은 양이 소모되기에 원유 접근성만 괜찮으면 사용할 수 있다. || {{{#white {{{+3 '''유연한 골조'''}}}}}}[br]{{{#white Flexible Framework}}}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Versatile Framework.png|width=150px]][br]'''다용도 골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2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Rubber.png|width=24px]] 고무 30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Modular Frame.png|width=24px]] 모듈식 골조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Beam.png|width=24px]] 강철 빔 30개 || || '''생산량/분''' || 7.5{{{#green (+50%)}}} || 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고무를 추가해서 생산성을 늘린 제작법이다. 위와 비슷하게 원유 약간을 소모하여 철과 석탄의 소모량을 거의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으며 필요 건물 수도 소폭 줄일 수 있다. 원유 단지에서 고무와 플라스틱을 대량으로 공급받아 지능형 도금판, 모듈 엔진과 함께 생산하면 베스트. || {{{#white {{{+3 '''자동 고속 전선'''}}}}}}[br]{{{#white Automated Speed Wiring}}}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Automated Wiring.png|width=150px]][br]'''자동 배선기''' || '''재료/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3.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Wire.png|width=24px]] 전선 7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High-Speed Connector.png|width=24px]] 고속 커넥터 1.88개 || [[파일:Satisfactory Items Stator.png|width=24px]] 고정자 2.5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Cable.png|width=24px]] 케이블 50개 || || '''생산량/분''' || 7.5{{{#green (+200%)}}} || 2.5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Assembler.png|width=24px]] 조립기 || 우주 엘레베이터 4단계에 자동 배선기가 60000개라는 황당한 숫자가 필요한데, 이걸 생각해보면 반필수적으로 채용하는 제작법. 제조기가 많이 필요해져서 공장 부지가 더 넓어질 것 같지만, 분당 생산량 두 배에 요구 자원 반토막이 나는 것때문에 건물 갯수나 부지 모두 크게 줄어든다. === 도구 === || {{{#white {{{+3 '''자동화된 채굴기'''}}}}}}[br]{{{#white Automated Miner}}} ||<-2> '''대체 제작법''' || '''기본 제작법''' || ||<|3> [[파일:Satisfactory Items Portable Miner.png|width=150px]][br]'''휴대용 채굴기''' || '''재료''' || [[파일:Satisfactory Items Motor.png|width=24px]] 모터 1개/분[br][[파일:Satisfactory Items Steel Pipe.png|width=24px]] 강철 파이프 4개/분[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4개/분[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2개/분 || [[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Plate.png|width=24px]] 철판 2개[br][[파일:Satisfactory Items Iron Rod.png|width=24px]] 철봉 4개 || || '''생산량/분''' || 1 || 자동화 불가 || || '''건물'''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Manufacturer.png|width=24px]] 제조기 || [[파일:Satisfactory Buildings Equipment Workshop.png|width=24px]] 장비 작업장 || 모터와 강철 파이프를 추가해서 휴대용 채굴기 생산을 자동화하는 제작법이다. 하지만 휴대용 채굴기가 재료로 필요한 채굴 시설과 드론은 제한된 수만을 운용하기 때문에, 이 제작법을 써가면서까지 자동화할 이유가 딱히 없다. == 인벤토리 증가 == 하드 드라이브 중 인벤토리를 늘리는 능력을 제공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white '''이름'''}}} || {{{#white '''효과'''}}} || ||<(> '''Expanded Pocket Dimension''' ||<(> 인벤토리 칸 +5 || ||<(> '''Inflated Pocket Dimension''' ||<(> 인벤토리 칸 +5 || == 팁 == 대체 제작법의 필요성은 상황과 개인의 성향에 따라 크게 갈릴 수 있다. 본 문서는 일반적인 상황을 상정하고 서술되어 있다는 걸 감안하고 보는 게 좋다. * 컨베이어 과부하의 원흉인 나사는 최우선적으로 대체해야 할 부품이다. 따라서 나사 소모량을 줄이거나 나사를 다른 재료로 바꿔주는 제작법은 최소한 평타는 친다고 봐도 된다. 용접 철판, 강철 회전자, 포장된 고중량 골조 등이 대표적인 나사 배제용 제작법이다. * 바꿔 말하면, 볼트 철판, 볼트 골조처럼 나사 소모량을 늘리는 제작법은 꽝으로 간주된다. * 아직 나사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했다면, 철 주괴에서 바로 나사를 뽑을 수 있게 해주는 '''주조 나사'''도 좋은 방안이다. 주조 나사는 철봉으로 만드는 제작기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력을 아끼면서 과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 * '''대체: 강철 회전자'''는 매우 유용한 대체 제작법으로 특히 고정자와 그 궁합이 맞다. 강철 회전자의 재료가 고정자의 재료와 똑같은 강철 파이프와 전선이므로 두 가지의 재료 입력만으로 모터를 수월하게 만들 수 있다. * 원유 정제의 대체 제작법은 그 효율성이 압도적이다보니 원유 정제부터는 대체 제작법 습득이 매우 중요해진다. * '''중유 잔여물'''과 '''희석 연료''' 레시피를 조합했을 때 순수 순도 원유 노드의 최대 추출량 600을 기준으로 연료 1600을 뽑아낼 수 있다. * 이렇게 뽑아낸 대량의 연료를 모두 발전기에 넣어 돌리면 총 2만 MW를 발전할 수 있다. * 부산물로 나오는 '''폴리머 수지'''는 가공하여 직물, 플라스틱, 고무로 만들 수 있다. 이 중 직물은 원래 자동화가 불가능했던 방독면 필터와 방사능 필터를 자동화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 '''순수 알루미늄 주괴'''는 주조소 대신 제련소를 사용함으로써 공장 부지를 절약하면서 추가 이산화규소의 공급이 필요없게 만든다. * '''걸쭉한 알루미나''' 대체 제작법과 '''순수한 알루미늄 주괴'''을 조합하면 이산화규소를 생산 라인에서 완전히 없앨 수 있다. 혹은 걸죽한 알루미나만 채용해서 알루미늄 주괴 생산량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도 있고, 반대로 순수한 알루미늄 주괴만 채택하여 이산화규소를 오히려 생산할 수도 있다. * '''습식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최대 100의 물을 정제소 하나로 처리해 없앨 수 있다. 생산된 콘크리트를 어썸싱크로 갈아버림으로써 일종의 유체 어썸싱크를 만들 수 있다. 석탄 발전기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것보다 약간 더 간편하다. 다만 물 부산물을 재활용하지 않고 완전히 제거해버리면 그만큼의 물을 추출기로 보충해줘야 하므로 되도록이면 물을 재활용하는 쪽으로 하고, 유체 처리에 정말 머리를 쓰기 싫다면 최후의 방법으로 고려해보자. * '''철 전선'''을 사용하면 모터를 생산할 때 구리를 완전히 배제하고 오로지 철과 석탄만으로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철 전선 자체의 효율은 구리 전선의 절반밖에 되지 않으므로 주변에 구리 노드가 있다면 구리 합금 주괴, 순수한 구리 주괴 등으로 구리 생산량을 늘려서 전선 제작에 투입해도 좋다. * 수정 발진기를 제조할 때 대량의 케이블이 필요하여 기본 레시피로만 제조할 경우 구리가 매우 부족해지는데 고무를 추가로 투입하는 '''절연 케이블'''을 사용하여 구리의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철 전선'''을 사용할 경우 어마어마한 양의 철을 대가로 구리를 생산라인에서 아예 배제할 수도 있다. * '''포장된 산업용 파이프'''를 사용하면 고중량 모듈식 골조를 생산할 때 강철 빔을 생산라인에서 배제하고 강철 파이프로만 생산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포장된 고중량 골조''', '''강철 골조'''까지 사용하면 일반 철괴(나사 생산에 필요)도 생산라인에서 배제하고 채굴되는 철광석의 일부를 철판, 나머지 전부를 안심하고 강철 파이프로 생산하여 자원 밸런싱의 필요성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 '''실리콘 회로 기판'''은 플라스틱보다 상대적으로 희소한 자원인 이산화규소를 사용하지만 조립기의 생산 속도를 약 두 배 끌어올려준다. * 핵연료 재처리 제작법의 경우 플루토늄을 발전에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기본 레시피가 핵 폐기물을 가장 많이 소모하므로 대체 제작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분류:Satis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