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i652.photobucket.com/TorpedoSUT2.jpg|width=960]] [목차] == 제원 == |||| '''길이''' ||6.15 m|| |||| '''지름''' ||533 mm|| |||| '''무게''' ||1,420 kg|| |||| '''탄두중량''' ||260 kg|| |||| '''사정거리''' ||28,000 m|| |||| '''속도''' ||35 kt|| |||| '''최대심도''' ||460 m|| ||<|2> '''방식''' ||<#CD3861> '''{{{#ffffff 유도}}}''' ||유선유도|| ||<#CD3861> '''{{{#ffffff 추진}}}''' ||은-아연 배터리|| |||| '''발사플랫폼''' ||함정/잠수함|| |||| '''개량형/기타''' ||Mod 0 (1980)[br]Mod 1 (1981)[br]Mod 2 (1987)|| == 개요 == '''SUT Torpedo''' [[독일]]에서 개발한 533 mm 지름의 중어뢰이다. 1975년 무렵 [[진공 청소기]]와 드럼[[세탁기]]로 유명한 AEG[* AEG의 방산관련 사업부문은 STN Atlas로 넘어갔다가 현재는 [[BAE 시스템스]]의 자회사인 Atlas Elektronik에 인수되어 있다.]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당시 열심히 팔아먹던 [[209급 잠수함]]에 [[끼워팔기]] 패키지로 묶여 많은 [[제3세계]] 국가 해군에 판매되었고, [[대한민국 해군]] 역시 운용하고 있다. 애초 1960년대 독일의 방산업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최초로 개발하여 [[206급 잠수함]]에서 운용하던 대잠수함용 중어뢰 DM1 ('''D'''eutsches '''M'''odell 1)을 수출하려고 했으나 [[발트해]]의 환경에만 적합하게 설계된데다 독일 정부의 수출허가도 받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1968년 잠수함의 이런저런 무장에 대한 수출이 승인됨과 함께 대함용 어뢰 라인업을 구축하기 위해 SST-4[* 수출에 실패해서 망해먹은 어뢰는 절대 아니고(...) [[터키 해군]]과 [[그리스 해군]], [[아르헨티나 해군]] 등에 대략 300여기 가량이 수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해군의 [[209급 잠수함]] 산루이스는 [[영국 해군]] 함정을 때려잡으려고 은밀하게 진입하여 총 3번의 기회를 잡아 SST-4를 발사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말았는데, 두발은 기동중 유도 와이어가 끊어져 하나는 닉시 기만기에 속았고 다른 하나는 어디론가 사라져 영영 잃어버리고 말았다. 한 발은 아예 발사조차 되지 않았다. 추후 독일의 기술진들이 원인을 분석해보니 어뢰의 문제가 아닌 부실한 정비와 운용미숙이었다며 정비담당 장교가 사격통제장치의 배선을 엉뚱하게 꼽은 것이었다고 주장했는데, 문제는 이게 제조사측의 언플이었다는 것.] ('''S'''pecial '''S'''urface '''T'''arget)를 개발하긴 했지만, 1970년대 들어서 잠수함 발사 중어뢰의 트렌드가 다목적 용도[* 1960년대 까지만 해도 미국은 대함/대잠수함 전용의 어뢰를 같이 탑재하고 다니던 상황이라 작전/군수지원 및 비좁은 잠수함의 공간활용에 있어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나, 1970년대 들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 두가지 용도의 어뢰가 하나로 통합되기 시작했다. 많은 개량을 거듭하여 현재도 사용중인 [[Mk.48 중어뢰]]가 대표적인 물건이고 소련 역시 1980년 [[USET-80]] 계열을 개발하면서 최초의 다목적 어뢰를 실전배치하기 시작했다.]로 진화함에 따라 DM1과 SST-4를 적절하게 짬뽕 & 개량하여 자성근접신관을 지닌 SUT ('''S'''urface and '''U'''nderwater '''T'''arget)를 만들어냈다. 작전환경에 따라 6엽의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통해 무조건 최고속도로 항주하는 모드와 저소음 (Silent Running), 무항적 (Wakelessness)의 3가지 주행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2가닥의 와이어를 통한 유선유도 및 능동/수동[* 각각 2~5 km 가량의 탐지거리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도기능을 지니고 있다. 수출용으로 개발된 만큼 대양과 얕은 수심에서 모두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는데, Mod 1은 Mod 0의 개량형이라기 보다는 각 국가의 해상작전 환경에 알맞게 유도장치를 살짝 변형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중인 Mod 2는 1987년 개발되어 어뢰가 목표물을 향해 항주하면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모함으로 전송시켜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기능이 담겨있다고 한다. Mod 2는 1990년대 초중반 무렵에 [[장보고급 잠수함]]을 도입하면서 주무장으로 채택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1999년 3월 26일 SS-062 이천함이 [[괌]] 인근에서 있었던 Tandem Thrust 훈련에서 퇴역한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 CL-91 USS 오클라호마 시티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520980|한방에 격침시키는 위력을 드러냈다.]] 일반적인 평가는 어뢰 자체의 신뢰성은 출중하지만 속도와 기동성이 약간 둔한 편이라 고속으로 기동하는 함정이나 [[원자력 잠수함]]을 공격하기는 쉽지가 않다는 의견이 있고, 그래서 이를 보완하고 SUT를 대체하고자 [[범상어 중어뢰]]를 개발중에 있다. 정작 제조국 독일은 사용하지 않지만 [[209급 잠수함]]을 굴리는 국가라면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서~~ 웬만해서는 SUT나 SST-4를 사용하고 있는데, 유일하게 [[브라질 해군]]만이 독일제가 아닌 [[Mk.48 중어뢰|Mk.48]]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중화민국군 해군|대만 해군]]도 SUT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중국이 독일에 압력을 넣는 바람에 직도입을 못하게 되자 인도네시아의 국영 방산업체 IPTN (Industri Pesawat Terbang Nusantara)[* 현재는 Indonesian Aerospace (IAe)로 명칭이 바뀌었다.]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물량들을 도입해서 배치했다. 결국 [[인도네시아 해군]]은 자국에서 생산한 SUT를 사용하고 있기는 한데 잠수함 자체는 [[대우조선해양]]과 계약을 맺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2&aid=0003035657|그 물량을 도입할 예정에 있다.]][* 독일에서 직도입한 [[209급 잠수함]] 2척이 있기는 한데 둘다 1981년에 들여온 노후 함정들이다.] == 관련 문서 == * [[해상 병기/현대전]] * [[어뢰]] [[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어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