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IT 관련 기업]][[분류:2000년 설립]][[분류:2000년 기업]][[분류:중국의 반도체 제조사]] [include(틀:주요 반도체 업체)] ||<-3> '''{{{#ffffff {{{+1 중심국제집성전로제조유한공사}}}[br]SMIC [b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r] International Corporation}}}''' || ||<-3><#ffffff> [[파일:SMIC-Emblem.png|width=100%]] || ||<#01478E> '''{{{#fff 한글명칭}}}''' ||<-2> 중심국제집성전로제조유한공사 || ||<#01478E> '''{{{#fff 중문명칭}}}''' ||<-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 ||<#01478E> '''{{{#fff 영문명칭}}}''' ||<-2>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r] '''I'''nternational '''C'''orporation || ||<#01478E> '''{{{#fff 영문약칭}}}''' ||<-2> SMIC || ||<#01478E> '''{{{#fff 설립일}}}''' ||<-2> [[2000년]] [[4월 3일]] ([age(2000-04-03)]주년) || ||<#01478E> '''{{{#fff 국가}}}''' ||<-2>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 ||<#01478E> '''{{{#fff 설립자}}}''' ||<-2> Richard Chang(리처드 장, 張汝京) || ||<#01478E> '''{{{#fff 본사}}}''' ||<-2> [[중국]] [[상하이]] || ||<#01478E> '''{{{#fff CEO}}}''' ||<-2> 赵海军(Zhao Haijun, 자오하이쥔)[* 2017년 6월 30일부터 현재까지 CEO를 맡고 있다.] || ||<#01478E> '''{{{#fff 업종}}}''' ||<-2> [[반도체]] [[파운드리]] || ||<#01478E> '''{{{#fff 상장시장}}}''' ||<-2> [[https://gu.qq.com/hk00981/gp|홍콩(HKSE) 981]] [br] [[https://gu.qq.com/sh688981/gp|중국(SSE) 688981]] || ||<#01478E> '''{{{#fff 링크}}}''' ||<-2> [[https://www.smics.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Corporation ('''SMIC''')는 [[중국]]의 반도체 위탁제조([[파운드리]])기업이다. 중국 최대 규모이며, 2023년 1분기 기준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5위(5%)의 기업이다. 글로벌 반도체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SMIC도 미중 무역전쟁에서 주목받고 있다. == 실적 == 2022년 3월 30일 SMIC가 발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SMIC의 2021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39.3% 증가한 54억 4,300만 달러(약 6조 6,400억 원),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약 138% 증가한 17억 달러(약 2조 740억 원) 이다. 2021년 매출 중 지역별 매출비중으로는 중국과 홍콩 64%, 북미 22.3%, 유럽과 아시아 13.7% 이었고, 제품별 매출비중은 스마트폰용 32.2%, 소비가전용 23.5%, 스마트가구용 12.8%, 기타 31.5% 이었다. == 생산 시설 == * 200mm 웨이퍼 (3곳) * [[상하이]] S1 {{{-2 (350~90nm / 월 12만 장)}}} * [[선전시|선전]] Fab 15 {{{-2 (2014~ / 350~90nm / 월 5.5만 장)}}} * [[톈진]] Fab 7 {{{-2 (2004~ / 350~90nm / 월 6만 장)}}} * 300mm 웨이퍼 (3곳) * [[상하이]] S2 {{{-2 (45~28nm / 월 2만 장)}}} * [[베이징]] B1 {{{-2 (2004~ / 180~55nm / 월 5.2만 장)}}} * [[베이징]] B2A {{{-2 (2014~ / 45~28nm / 월 4.2만 장)}}} * 건설 중인 공장 (5곳) * [[상하이]] SN1 {{{-2 (14nm)}}} * [[상하이]] {{{-2 (28nm / 월 10만 장)}}} * [[베이징]] {{{-2 (28nm / 월 10만 장)}}} * [[선전시|선전]] {{{-2 (28nm / 월 4만 장)}}} * [[톈진]] {{{-2 (28nm / 월 10만 장)}}} [[https://www.smics.com/en/site/factory_summary]] == 기타 == * 2020년 12월 [[미국 상무부]] 제재 대상에 오른 기업 중 하나이다. * 2022년 7월 [[블룸버그]][[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2-07-21/china-s-top-chipmaker-makes-big-tech-advances-despite-us-curbs|#]]는 SMIC가 7 나노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보도했다. 다만 기사의 출처[[https://www.techinsights.com/blog/disruptive-technology-7nm-smic-minerva-bitcoin-miner|#]]에서는 [[TSMC]]의 공정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 2022년 9월 17일 SMIC에 따르면 런카이 비상임 이사가 심각한 기율·법률 위반 혐의로 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국가감찰위원회(기율·감찰위)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율·감찰위는 중국 내 최고 사정 기구로, 이곳에서 기율·법률 위반으로 조사를 받는다는 것은 부패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미다. 중국은 반도체 자립을 목표로 한 '반도체 굴기' 정책을 펴고 있지만 미국과 기술경쟁에 따른 반도체 공급망 차질과 제로 코로나 정책과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급격한 감소세를 겪고 있다. 때문에 중국 내에서는 막대한 투자를 받은 반도체 항모들로 불리는 관련 기업들이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데 따른 책임을 묻는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https://mk.co.kr/news/world/view/2022/09/821260/|#]] * 2023년 9월 [[화웨이]] 메이트 60 시리즈에 탑재된 기린 9000s 칩이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7nm로 생산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져서 충격을 주었는데, 이걸 생산한 업체가 SMIC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0월 [[ASML]]의 DUV 장비를 통해 제조되었다는 관계자의 발언이 나왔다.[[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3-10-25/controversial-chip-in-huawei-phone-was-produced-on-asml-machine?srnd=premium-asia|#]] 해당 장비는 미국의 수출 규제로 인해 9월부터 중국에 판매가 중단되었으나, 수출 라이선스가 연말까지 남아있어 실질적인 통제로 이어지진 않는 것이다. 이번 건으로 인해 보다 세부적인 미국의 제재가 예상된다. ASML은 2019년부터는 EUV 노광장비 중국 수출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고 내년부터는 EUV보다 이전 세대 기술 제품인 DUV 노광장비의 중국 수출을 중단할 예정이다. == 관련 문서 == * [[TSMC]] * [[량멍쑹]] *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 [[GlobalFoundries]] * [[UMC]] * [[화훙 반도체]] * [[YMTC]] * [[파운드리]] * [[2020년대 반도체 부족 사태]] * Beijing SMIC Private School * [[Shanghai SMIC Privat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