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보이아-마르케티 S.62 (Savoia-Marchetti S.62)''' [목차] == 제원 == 설계 : 알레산드로 마르케티 생산 : 사보이아-마르케티(Savoia-Marchetti) 처녀비행 : 1926년 승무원 : 3명 전장 / 전폭 / 전고 : 11 m / 15.5 m / 4.19 m 익면적 : 65 m2 중량 : 1,900~3,000 kg / ~5,030 kg(bis) 동력 : Isotta Fraschini(이소트파-프라시니) Asso 500 수랭 V-12 엔진 (500 hp) 1기 or [[이스파노-수이자]] 12Lb 수랭 V-12 엔진 (600 hp) 1기 최대속도 : 220 km/h 상승고도 : 4,200 m 상승률 : 3,000 m 까지 24분 무장 : 7.7mm lsotta Fraschini 기관총 2정 (기수 전방) / 7.7mm Isotta Fraschini 기관총 2정 (후방 총좌) / 폭탄 600 kg == 개요 == 수상 비행기의 명가 사보이아-마르게티(Savoia-Marchetti)에서 제작된 걸작 단발 [[비행정]], 수상 폭격기, 초계기. 단발 수상기 치고는 높은 3,000kg의 최대중량과 2,000km에 이르는 항속거리로 [[이탈리아 왕국군|이탈리아군의]] 간판 수상기로 적극 채용되어 여러용도로 사용되었다. 뉴욕 - 부에노스 아이레스 간 8,500km를, 북유럽10,000km 레이스에서 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전에 제작된 SM.59를 참고하여 제작되었으며 더 강력한 750마력 Isotta Fraschini Asso W-18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이륙중량을 5,000kg, 항속거리를 늘린 SM.62 Bis 버전도 개발되었다. SM.62 Bis에서 엔진을 바꾸고 설계를 비슷하게 가져간 개량형이 [[SM.78]]이다. 이탈리아군 외에 소련과 루마니아, 스페인에서는 아예 라이센스를 획득해 제작했다. 소련 타간로그(Taganrog)[* [[비행정]] 제작으로 유명한 베리예프(Бериев) 설계국의 전신이다. 최초의 제트(!) 비행정도 이곳에서 제작했다. [[베리예프 Be-200]]은 수상기 속도 최고기록도 보유했다.]에서 제작된 버전은 MBR-4로 부른다. [[세바스토폴]]에서 시행된 시험평가에서 조종이 쉽고, 기존 기종인 MR-1 보다 항속거리, 상승력이 모두 우수하여 소련은 사보이아 사에서 라이센스를 획득해 국내 생산을 시작했다. 다만 소련에서 생산된 버전(MBR-4)은 꼬리날개의 피치문제로 잦은 말썽을 일으켰고, 이것저것 새로운 시도를 하다가 중량도 늘어나고 속력도 떨어졌다. 엔진도 이탈리아제 Asso 엔진을 국산화한 M-27 탑재를 시도했지만 실패로 끝났고, 수랭식 M-34를 달아 시험평가를 했지만, 결국 이탈리아로부터 Asso 엔진을 직도입하는 결론으로 끝났다. 어쨌든 소련은 이 기체에 크게 만족해서 [[발트해]], [[흑해]], [[극동]] 등 여러곳에 배치했고, 1941년까지 운용했다. 루마니아도 1936년 SM.62를 도입했으며 역시 엔진은 이탈리아제 Asso 엔진을 쓰고 기체는 브라쇼브의 PAR 공장과, [[부쿠레슈티]]의 IKAR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다만 루마니아 버전은 전방에만 7.96mm 기총을 한 정만 달아 화력이 다소 열세였다. 루마니아군은 SM.62를 [[독소전쟁]]에도 운용했으며 긴 항속거리를 살려 불가리아와 [[오데사]]와 [[세바스토폴]]간 해안 방어와 수송선 호위에 써먹다 1943년 퇴역시켰다. 스페인에서 제작된 기체는 [[스페인 내전]]에도 참가했다. 일본도 SM.62의 항속거리와 폭장량에 반해 스페인으로부터 SM.62 한 대를 수입해 분석하여 [[96식 수상정찰기]]를 제작했고, 개량형인 98식 수상비행정을 소수 생산하여 2차대전 종전까지 운용했다. 단발 수상기 임에도 폭장량이 600kg(1,300 lb)로 출력대비 우수한 경폭격기(輕爆擊機)급 폭장량을 자랑했다.[* 당시 주력 경폭격기들의 폭장량을 보면 영국의 [[브리스톨 블렌헤임]]이 500kg, [[페어리 배틀]]이 450~680kg, 미국의 [[록히드 허드슨]]이 350~600kg, 일본의 97식 경폭이 400kg, 99식 경폭이 500kg, 소련의 [[SB]] 폭격기가 600kg, 이탈리아의 카프로니 [[Ca.311]]가 400kg 정도였다.] 또한 수상기의 이점을 살려 다른 항공기들이 활동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도 운용되었는데, 소련의 경우 폭탄부터 어뢰, [[극동]]지역에서는 '''스키장비 버전(!)'''까지 다양하게 실험했다. [[파일:SM.62 skis.jpg]] 스키장비를 장착한 SM.62. [[1940년]] 극동. == 스페인에서의 운용 == [[파일:Spanish SM.62.jpg]] [[파일:Spanish SM.62 national.jpg]] '''CASA-Savoia-Marchetti SM.62''' 스페인에서 제조된 단발 수상 폭격기, 초계기. SM.62 계열 중 최초로 실전투입이 되었으며 원 버전 제조국인 이탈리아보다 훨씬 다용도로 잘 써먹었다(...) 스페인은 1929년 [[바르셀로나]]의 La Maquinista Terrestre y Marítima에서 라이센스를 얻어 SM.62를 제작한 것을 시작으로 [[CASA]]에서도 자국 버전으로 생산을 시작했다. 스페인 버전 CASA-SM.62은 이탈리아제 Isotta Fraschini Asso 엔진 대신 자국산 [[이스파노-수이자]] 12LB 수랭식 엔진을 탑재했으며, 브레다 기관총 대신 [[빅커스]] K/E 기관총을 전방 후방 각각 2기씩, 날개 아래 600kg 폭탄을 장착했고, 기체의 모든 부분은 스페인에서 생산되었다. 스페인 공군 외에 스페인 해군에서도 적극 채용하여 [[수상기 모함]] 데 달로(Dedalo)의 함재기로 탑재되기도 했다. [[스페인 내전]] 개전 시에도 빅커스 빌데비스트(Vickers Vildebeest) 뇌격기, Do J Wal, 마끼 M.18과 함께 스페인 [[해군 항공대]]의 주력으로,[* 모두 스페인의 라이센스 제작 버전들이다.] 이 시점 이미 구형이었지만 특유의 긴 항속거리를 살려 초계, 폭격 용도로 사용되었고, 공화파의 [[마요르카]] 공격에도 동원되었다. 반대 편인 국민진영에서도 운용되었다. 초기에는 본래 무대인 해상 보다는 육지에서 활약했는데, 이는 초기 공화파 공군에서 비행장 부족으로 수상기까지 동원했기 때문이다. [[수상기]]와 [[비행정]]은 육상발진 항공기와 달리 급한대로 스페인 각지의 호수와 강을 비행장으로 사용할 수 있었기에, 긴급 투입용도로 요긴했다. 특히 이러한 육상투입 기체는 [[피레네 산맥]] 기슭의 호수, 저수지를 베이스로 긴 항속거리와 폭장량을 살려 아라곤 전선에서 활약해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파일:Spanish SM.622.jpg]] (위) [[피레네 산맥]]을 가로지르는 SM.62. 아라곤 전선 (하) 민수버전 SM.62P 스페인 민간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밀폐형 좌석에 4인승 버전을 SM.62P라 부르며 스페인 항공사 LAPE에서 운용했다. 비록 긴 시간 운용되지는 않았지만 현대에는 이런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소형 단발기, 긴 항속거리와 수상, 육지 가리지 않고 지형을 이용한 [[스페인]]의 운용방식은 소형항공교통의 [[선구자]]로 큰 의의를 가지며, [[21세기]] 이후에도 특히 민간 부문에서 [[무인기]], 조종사 탑승 상관없이 미래 교통수단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분류:수상 항공기]][[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