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itan2_color_silo.jpg|width=100%]] || [[파일:external/historicspacecraft.com/Titan_Rockets_RK2013.jpg|width=100%]] || [목차] == 개요 == {{{+3 '''SM-68 Titan'''}}}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사용된 발사체. 로켓으로 사용된 발사체는 타이탄 로켓으로 불리고,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사용된 발사체의 이름은 SM-68이다. [[미국]]의 유인 우주 계획인 제미니 계획의 발사체로도 사용되었다. 역사와 의의가 깊은 미국의 우주로켓 발사체이자 미사일 발사체이다. 화성 탐사선 [[바이킹(탐사 계획)|바이킹 계획]]에 발사체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수많은 첩보위성의 발사체로 사용되었다.-- * 주요 타이탄 임무 1. ICBM 발사체 1. [[제미니 계획]] 발사체 1. [[바이킹(탐사 계획)|바이킹 계획]] 발사체(화성탐사선) 1. [[보이저(탐사선)|보이저]] 1호 발사체(태양계 탐사선) 1. 첩보위성 발사체 1. 상업위성 발사체 액체연료 발사체이다. 타이탄 I부터 타이탄 IV까지 40여년에 걸쳐 개량되어 사용되었다. Titan I 로켓은 보조 추진로켓이 달려 있지 않지만, Titan II 부터 Titan IV 까지는 고체로켓 부스터가 장착되어 발사되었다. 타이탄 II ICBM 버전은 [[미국]]에서 운용한 핵미사일 중 가장 강력한 핵탄두인 [[B53]]을 장착했다. [[파일:141119-F-IO108-001.webp]] 타이탄 미사일의 핵탄두 == 버전 == === 타이탄 I === [[파일:Titan_1_ICBM.jpg|width=66.1%]] [[아틀라스 로켓|SM-65 아틀라스 ICBM]]의 개발에 차질이 빚어졌을때, 백업용으로 개발된 HGM-25A 타이탄 I 다단 ICBM이 타이탄 로켓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다만 SM-65 아틀라스 ICBM의 개발에 차질이 생기지 않자, 그냥 아틀라스와 함께 병행운용되었다. 1단에는 LR87-AJ-3 엔진 1기가 장착되었으며[* 연소실과 노즐은 2기라, 엔진이 2기처럼 보이지만, 터보펌프가 1기라 실질적으로는 엔진이 1기다. [[에네르기아 로켓]]에 사용된 [[https://en.wikipedia.org/wiki/RD-170|RD-170]]도 엔진 노즐이 4개고 연소실이 4개라서 엔진 자체는 4개처럼 보일지 몰라도, 터보펌프는 하나라서, 실질적으로는 엔진이 하나다.], 2단에는 LR91-AJ-3 엔진 1기가 장착되었다. 1959년부터 65년까지 총 70번의 발사가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이루어졌으며, ICBM이라 그런지 발사의 25%정도인 17번이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아래의 LGM-25C 타이탄 II로 대체되었다. === 타이탄 II === [[파일:Gemini-Titan_11_Launch_-_GPN-2000-001020.jpg|width=66.1%]][* 사진은 제미니 11호의 제미니 GLV. 일반 타이탄 II는 맨 위에 제미니 우주선 대신 핵탄두가 들어간다.] [[제미니 계획]]에 쓰인 버젼. 당시로써는 미국 최대의 ICBM이였으나, 2인 유인 캡슐을 우주로 올리기에는 출력이 부족해서, 발사 탈출 시스템을 장착하지 못했다.[* 그래서 장착한게 '''[[사출좌석]](...)''' [[끔살|물론 해치가 제대로 열리지 않거나, 한명이 늦게 사출된다면.....]]] 총 106번의 발사가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와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이루어졌으며,[* LGM-25C 타이탄 II 81번, GLV(Gemini Launch Vehicle, 제미니 발사체) 12번, 23G(80년대에 인공위성 발사용으로 개량된 14발의 LGM-25C 타이탄 II) 12번] 이중 5번이 실패였다[* GLV 버젼의 실패는 0회.[* 애초에 실패했더라면, 최소한 1명은 죽었을거다. 사출좌석 성능이 영 꽝이라가지고...] 기존 ICBM 버젼 발사실패 4번, 23G 발사실패 1번]. 아무래도 HGM-25A 타이탄 I의 대체라 그런지, 로켓 자체의 신뢰성이 많이 올랐으며, 발사실패율이 많이 줄었다. 1단과 2단은 HGM-25A 타이탄 I와 똑같이 LR87 엔진 1기와 LR91 엔진 1기가 장착되었다. 다른 점은 1단과 2단의 직경이 똑같아지고[* HGM-25A 타이탄 I는 1단 이후 한번 들어가고 2단이 나오는데, 타이탄 II는 그런거 없이 쭉 이어진다.], 길이도 늘어났다. 타이탄 II ICBM 자체는 1987년에 전기 퇴역하고 성능이 더 향상된 [[LGM-30|LGM-30 미니트맨]]으로 대체되었으나, 23G 모델은 2003년까지 쓰이다가 퇴역했다. 나름대로 장수만세 한 셈. === 타이탄 III === [[파일:1280px-Titan_3E_Centaur_launches_Voyager_2.jpg|width=66.1%]][* 보이저 2호 발사 당시의 타이탄 III. IIIE 형식이다.] 그 유명한 [[보이저 2호]]를 발사한 타이탄 IIIE가 이 형식에 속한다. 이전의 타이탄 II와 달라진 점이라면, 옵션으로 고체연료부스터 2기를 양 측면에 부착할수 있고, ICBM 베이스라고는 하지만, 불필요한 ICBM 시스템들을 제거하고, 더 무거워진 2단+페이로드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 1단의 외벽이 더 두꺼워졌다. 추가로, 연료탱크가 조금 더 커지고, 유도 시스템도 자체 유도시스템과 함께, 지상 라디오 유도시스템도 추가되었다. === 타이탄 IV === [[파일:1024px-Titan4B_on_Launch_Complex_40.jpg|width=66.1%]][* 타이탄 IVB형이다. 3단 DEC 옵션을 장착한 타이탄 IVB다.] 타이탄 III에서 더 개량된 버젼의 타이탄. 그 크다던 고체연료 부스터가 더 크고 아름다워졌다. 페어링이 더 크고 길어졌으며, 옵션으로 3단에 듀얼 엔진 센타우르(Dual Engine Centaur, DEC)[* RL10 엔진을 2기 장착한 센타우르.]를 장착할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타이탄, version=173, paragraph=4)] [[분류:ICBM]][[분류:로켓]][[분류:핵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