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K 와이번스)] [include(틀:SSG 랜더스)] [목차] == 역대 성적 == ||­ ||<:> 우승 || || ­||<:> 준우승 || || ­||<:> 포스트시즌 진출 || ||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9><:> '''{{{#ffffff 역대 성적}}}''' || ||<:>'''{{{#ffffff 구단명}}}'''||<:> '''{{{#ffffff 연도}}}''' ||<:> '''{{{#ffffff 정규시즌 순위}}}''' ||<:> '''{{{#ffffff 최종 순위}}}'''||<:>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승률}}}''' || ||<:><|21>[[SK 와이번스|'''{{{#fff SK}}}''']]||<:>[[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1|{{{#ffffff '''2000'''}}}]]||<:>매직 4위/4팀||<:> 8위 ||<:>133||<:>44||<:>3||<:>86||<:>0.338||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1|{{{#ffffff '''2001'''}}}]]||<:>7위/8팀||<:> 7위 ||<:>133||<:>60||<:>2||<:>71||<:>0.458||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1|{{{#ffffff '''2002'''}}}]]||<:>6위/8팀||<:> 6위 ||<:>133||<:>61||<:>3||<:>69||<:>0.469||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2|{{{#ffffff '''2003'''}}}]]||<:>4위/8팀||<:> 준우승 ||<:>133||<:>66||<:>3||<:>64||<:>0.508||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3|{{{#ffffff '''2004'''}}}]]||<:>5위/8팀||<:> 5위 ||<:>133||<:>61||<:>8||<:>64||<:>0.488||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4|{{{#ffffff '''2005'''}}}]]||<:>3위/8팀||<:> 3위 ||<:>126||<:>70||<:>6||<:>50||<:>0.583||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5|{{{#ffffff '''2006'''}}}]]||<:>6위/8팀||<:> 6위 ||<:>126||<:>60||<:>1||<:>65||<:>0.480||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6|{{{#ffffff '''2007'''}}}]]||<:>'''{{{#red 1위}}}'''/8팀||<:> '''우승''' ||<:>126||<:>73||<:>5||<:>48||<:>0.603|| ||<:>[[SK 와이번스/창단 ~ 2008년#s-7|{{{#ffffff '''2008'''}}}]]||<:>'''{{{#red 1위}}}'''/8팀||<:> '''우승''' ||<:>126||<:>83||<:>0||<:>43||<:>0.659|| ||<:>[[SK 와이번스/2009년|{{{#ffffff '''2009'''}}}]]||<:> 2위/8팀||<:> 준우승 ||<:>133||<:>80||<:>6||<:>47||<:>0.602|| ||<:>[[SK 와이번스/2010년|{{{#ffffff '''2010'''}}}]]||<:>'''{{{#red 1위}}}'''/8팀||<:> '''우승''' ||<:>133||<:>84||<:>2||<:>47||<:>0.632|| ||<:>[[SK 와이번스/2011년|{{{#ffffff '''2011'''}}}]]||<:> 3위/8팀||<:> 준우승 ||<:>133||<:>71||<:>3||<:>59||<:>0.546|| ||<:>[[SK 와이번스/2012년|{{{#ffffff '''2012'''}}}]]||<:> 2위 /8팀||<:> 준우승 ||<:>133||<:>71||<:>3||<:>59||<:>0.546|| ||<:>[[SK 와이번스/2013년|{{{#ffffff '''2013'''}}}]]||<:>6위/9팀||<:> 6위 ||<:>128||<:>62||<:>3||<:>63||<:>0.496|| ||<:>[[SK 와이번스/2014년|{{{#ffffff '''2014'''}}}]]||<:>5위/9팀||<:> 5위 ||<:>128||<:>61||<:>2||<:>65||<:>0.484|| ||<:>[[SK 와이번스/2015년|{{{#ffffff '''2015'''}}}]]||<:>5위/10팀||<:> 5위 ||<:>144||<:>69||<:>2||<:>73||<:>0.486|| ||<:>[[SK 와이번스/2016년|{{{#ffffff '''2016'''}}}]]||<:>6위/10팀||<:> 6위 ||<:>144||<:>69||<:>0||<:>75||<:>0.479|| ||<:>[[SK 와이번스/2017년|{{{#ffffff '''2017'''}}}]] ||<:>5위/10팀||<:> 5위 ||<:>144||<:>75||<:>1||<:>68||<:>0.524|| ||<:>[[SK 와이번스/2018년|{{{#ffffff '''2018'''}}}]]||<:>2위/10팀||<:> '''우승''' ||<:>144||<:>78||<:>1||<:>65||<:>0.545|| ||<:>[[SK 와이번스/2019년|{{{#ffffff '''2019'''}}}]]||<:>2위/10팀||<:> 3위 ||<:>144||<:>88||<:>1||<:>55||<:>0.615|| ||<:>[[SK 와이번스/2020년|{{{#ffffff '''2020'''}}}]]||<:>9위/10팀||<:> 9위||<:>144 ||<:>51 ||<:>1||<:>92||<:>0.357|| ||<-3><:> '''[[KBO 리그|KBO]] 통산 21시즌''' ||<:>'''{{{#000000,#ffffff V4}}}''' ||<:>'''2755''' ||<:>'''1437''' ||<:>'''56''' ||<:>'''1331''' ||<:>'''0.532''' || 그 외 사항은 [[KBO 리그/역대 팀 스탯]] 문서 참고. == 포스트시즌 상대 전적 == || '''구단''' || '''시리즈별 전적''' || '''통산 전적''' || ||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KBO 준플레이오프/2003년|2003 준PO]]: 2승 [[2010년 한국시리즈|2010 KS]]: 4승 [[2011년 한국시리즈|2011 KS]]: 1승 4패 [[2012년 한국시리즈|2012 KS]]: 2승 4패 || '''준PO 1승 [br] KS 1승 2패''' 개별 경기 합계: 9승 8패 || ||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KBO 플레이오프/2003년|2003 PO]]: 3승 [[2009년 한국시리즈|2009 KS]]: 3승 4패 [[KBO 준플레이오프/2011년|2011 준PO]]: 3승 1패 || '''준PO 1승 [br] PO 1승 [br] KS 1패''' 개별 경기 합계: 9승 5패 || || '''[[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2003년 한국시리즈|2003 KS]]: 3승 4패 || '''KS 1패''' 개별 경기 합계: 3승 4패 || ||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KBO 준플레이오프/2005년|2005 준PO]]: 2승 3패 || '''준PO 1패''' 개별 경기 합계: 2승 3패 || ||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2007년 한국시리즈|2007 KS]]: 4승 2패 [[2008년 한국시리즈|2008 KS]]: 4승 1패 [[KBO 플레이오프/2009년|2009 PO]]: 3승 2패 [[2018년 한국시리즈|2018 KS]]: 4승 2패 || '''PO 1승 [br] KS 3승''' 개별 경기 합계: 15승 7패 || ||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KBO 플레이오프/2011년|2011 PO]] : 3승 2패 [[KBO 플레이오프/2012년|2012 PO]]: 3승 2패 || '''PO 2승''' 개별 경기 합계: 6승 4패 || || '''[[키움 히어로즈|{{{#fff 키움 히어로즈}}}]]'''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15년|2015 WC]]: 1패 [[KBO 플레이오프/2018년|2018 PO]]: 3승 2패 [[KBO 플레이오프/2019년|2019 PO]]: 3패 || '''WC 1패 [br] PO 1승 1패''' 개별 경기 합계: 3승 6패 || || '''[[NC 다이노스|{{{#fff NC 다이노스}}}]]'''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17년|2017 WC]]: 1패 || '''WC 1패''' 개별 경기 합계: 1패 || == 역대 구단주 == || 구단 구분 || 역대 || 이름 || 재임기간(시즌) || 그룹 내 직책 || 비고 || ||<|5>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 초대 || [[손길승]] || 2000~2013 ||- [[SK그룹]] 회장[br]- [[SK텔레콤]] 명예회장 || || ||<|3> 구단주 대행 || 조정남 || 2000~2007 ||- [[SK텔레콤]] 부회장 || || || 김신배 || 2008 ||- [[SK텔레콤]] 사장 || || || 정만원 || 2009~2013 ||- [[SK텔레콤]] 부회장 || || || 2대 || [[최창원]] || 2014~2021 ||- [[SK디스커버리]] 부회장[br]- [[SK가스]] 부회장 || [[최태원]] 회장의 사촌동생 || * [[SK 와이번스]] 시절에는 대다수의 다른 구단들과 달리[* [[네이밍 스폰서]] 제도를 도입한 [[키움 히어로즈]]를 제외한 KBO 리그 각 구단의 구단주는 대부분 모그룹의 회장이나 사장([[박정원]](두산), [[구광모]](LG), [[김택진]](NC), [[김영섭]](kt), [[김승연]](한화), [[신동빈]](롯데))이 맡고 있다. SK와 비슷한 경우를 찾자면 [[삼성그룹]] 계열사 임원 1명이 구단주를 맡는 [[삼성 라이온즈]]와 [[기아]] 사장이 구단주를 맡는 [[KIA 타이거즈]]가 있다. 물론 삼성도 2001년까지는 [[이건희]] 회장이 구단주였으며, KIA도 2021년까지는 [[정몽구]] 명예회장이 구단주였다.] 그룹의 총수인 [[최태원]] 회장이 직접 구단주를 맡은 적이 없다. 다만 한국시리즈처럼 큰 경기에는 구단 점퍼와 모자를 쓰고 관중석에서 직접 응원하는 모습을 보여줬고[* 다른 구단주들은 스카이박스석이나 VIP 관중석에서 경기를 지켜봤는데 유독 최태원 회장은 본인이 직관을 할 때면 응원석에서 직관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광현]]이 메이저리그에 진출을 선언하자 직접 격려해주는 등 야구단에 대한 관심은 많은 편이다.[* 개인적으로는 1990년대 [[시카고]]에서 유학 생활을 할 때 [[시카고 불스|농구를 보며]] [[마이클 조던|지낸 덕에]] 상당한 농구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 SK 나이츠|같은 그룹 농구단]]에 막대한 투자를 할 수 있던 것도 최태원 회장이 농구팬이어서 그렇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23년 5월부터는 농구단의 구단주를 직접 맡고 있다.] == 역대 사장 == ||
역대 || 이름 || 재임기간(시즌) || || 초대 || 안용태 || 2000 ~ 2002 || || 2대 || 정태수 || 2003~2004 || || 3대 || [[신영철(기업인)|신영철]] || 2005~2012 || || 4대 || 임원일 || 2013~2015 || || 5대 || 류준열 || 2016~2020 || || 6대 || [[민경삼]] || 2021~매각 || * 초대 안용태 사장은 구단의 초기 기반을 닦은 인물로 평가된다. 다만 의사결정 과정이 다소 과격해[* 구단 창단 과정에서 연고지 문제를 두고 [[박용오]] 당시 KBO 총재에게 득달같이 전화해서는 "나 SK 사장인데 우리 팀 연고지로 서울을 주시오!"라고 대뜸 말한 것이 유명한 일화다. 당시 박 총재와 안 사장은 일면식도 없었던 남남(...)이었다.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2001년 신인 지명]]과 [[한국프로야구/2002년/신인드래프트|2002년 신인 지명]] 때 신생팀 지원 혜택으로 1라운드 1~3번 신인 지명권을 요구한 것도 안 사장의 성과인데 이 당시 KBO 이사회에서 다른 구단 사장들을 향해 생떼를 부렸다(...)는 이야기가 있다.] 야구계 내에서는 [[깡패]] 사장(...)이라는 별명을 듣기도 했다. * 3대 [[신영철(기업인)|신영철]] 사장은 구단의 역대 사장 중 가장 오래 일했고 족적이 뚜렷한 사람이다. 재임 중 [[2007년 한국시리즈|세]] [[2008년 한국시리즈|차례]] [[2010년 한국시리즈|우승]]의 조력자 역할을 했지만 [[김성근]] 감독의 중도 경질 문제와 이른바 '[[막걸리 야구]]' 드립을 두고서 당시 많은 논란이 있기도 했다. * 6대 [[민경삼]] 사장은 역대 [[KBO 리그]] 구단 사장 중 최초로 [[KBO 리그]] 현역 선수 출신이다. 또한 [[SK그룹]]에 입사해서 계열사 임원까지 올랐다가 야구단으로 온 역대 사장들과 달리 SK그룹 임원 출신도 아니다. 물론 과거 SK에서 단장을 역임했던 만큼 SK그룹에서 임원급 대우를 받은 적은 있다. == 역대 단장 == ||
역대 || 이름 || 재임기간(시즌) || || 초대 || 명영철 || 2000~2002 || || 2대 || [[최종준(1951)|최종준]] || 2003~2005 || || 3대 || 명영철 || 2006~2007 || || 4대 || [[민경삼]] || 2010~2016 || || 5대 || [[염경엽]] || 2017~2018 || || 6대 || [[손차훈]] || 2019~2020 || || 7대 || [[류선규]] || 2021~매각 || * 2008년부터 2년간 단장직이 없어졌던 적이 있다. 실무적 의사결정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본부장들의 힘을 더 실어주는 차원의 조직 운영이었지만 이득보다 손해가 많아서 결국 2010년부터 다시 단장직이 부활했다. * 초대와 3대 단장을 지낸 명영철 단장은 SK그룹에서 상사맨으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인물이고 [[최종준]] 단장은 선수 출신이 아니지만 프로 스포츠팀에서 일한 경력이 길었던 체육행정가로 유명했다. * 4대 [[민경삼]] 단장부터는 6대 [[손차훈]] 단장까지 [[KBO 리그]] 선수 출신 인사가 팀을 운영했었으며 [[손차훈]] 단장은 구단 역사상 최초의 SK 선수 출신 단장이기도 하다. == 역대 감독 == ||<-5>
SK 와이번스 역대 감독 || || 역대 || 이름 || 재임기간(시즌) || 성적 || 비고 || || 초대 || [[강병철]] || 2000~2002 || 399전 165승 8무 226패 || || || 2대 || [[조범현]] || 2003~2006 || 518전 257승 18무 243패 || [[2003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br][[한국프로야구/2005년 포스트시즌|2005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 || 3대 || [[김성근]] || 2007~2011 || 611전 372승 13무 232패 || [[2007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br][[200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br][[2009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br][[2010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 || 감독대행 || [[이만수]] || 2011 || 40전 19승 3무 18패 || [[2011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KBO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최초의 감독대행] || || 4대 || [[이만수]] || 2012~2014 || 389전 194승 8무 187패 || [[2012년 한국시리즈]] 진출 (준우승) || || 5대 || [[김용희]] || 2015~2016 || 288전 138승 2무 148패 ||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15년|2015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 || || 6대 || [[트레이 힐만]] || 2017~2018 || 288전 153승 2무 133패 ||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17년|2017년 와일드카드 결정전]] 진출 (탈락)[br][[2018년 한국시리즈]] 진출 (우승) || || 7대 || [[염경엽]] || 2019~2020 || 203전 110승 2무 91패 || [[KBO 플레이오프/2019년|2019년 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 || 감독대행 || [[박경완]] || 2020 || 95전 39승 0무 56패 || || || 8대 || [[김원형]] || 2021~매각 || || || * 약 3년에 한 번 꼴로 감독이 바뀌었지만 중도 경질된 [[김성근]] 감독과 중도 사퇴한 [[염경엽]] 감독을 제외하면 나머지 감독이 모두 계약 기간을 채우고 물러났다. 최초 계약 기간 만료 후 재계약에 성공한 감독은 2004년 시즌 후 2년 재계약을 맺은 [[조범현]] 2대 감독이 유일하다. 당초 [[트레이 힐만]] 6대 감독도 2018년 시즌 이후 재계약 가능성이 높았지만 미국에 있는 가족의 사정 때문에 본인이 재계약을 포기했다. * [[강병철]] 초대 감독을 제외하면 모두 SK 감독 재임 중 1회 이상 [[KBO 포스트시즌]] 진출 경험이 있다. == 역대 주장 == ||<-3>
{{{#ffffff SK 와이번스 역대 주장}}} || || {{{#ffffff 기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 2000년 || [[최태원(야구)|최태원]] || 내야수 || || 2001년 || [[양용모]] || 포수 || || 2002년 || [[박계원]] || 내야수 || || 2003년 || [[김기태(1969)|김기태]] || 내야수, 지명타자 || || 2004년 || [[조원우(야구)|조원우]] || 외야수 || || 2005년 || [[강성우]] || 포수 || || 2006년 || [[김재현(1975)|김재현]] || 지명타자 || || 2007년 || [[김원형]] || 투수 || || 2008년 || [[이호준]] || 내야수 || || 2008년 || [[김원형]][* [[이호준]]이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단, 8경기만 출장하는 등 정상적인 시즌 소화가 어려워져 김원형이 주장으로 재선임되었다.] || 투수 || || 2009년 || [[박경완]] || 포수 || || 2009년[* 2009년 6월 24일 박경완이 부상을 입어 시즌아웃 판정을 받자 김재현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2010년 || [[김재현(1975)|김재현]] || 지명타자 || || 2011년 || [[이호준]] || 내야수, 지명타자 || || 2012년 || [[박정권]] || 내야수, 외야수 || || 2013년 || [[정근우]] || 내야수 || || 2014년 || [[박진만]] || 내야수 || || 2015년 || [[조동화]] || 외야수 || || 2016년 || [[김강민]] || 외야수 || || 2017년 || [[박정권]] || 내야수, 외야수 || || 2018년~2019년 || [[이재원(1988)|이재원]][* 구단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주장] || 포수 || || 2020년 || [[최정]] || 내야수 || || 2021년 || [[이재원(1988)|이재원]] || 포수 || * 창단 초기에는 옛 [[쌍방울 레이더스]] 선수단이 주축을 이룬 탓에 [[최태원(야구)|최태원]], [[양용모]], [[김기태(1969)|김기태]], [[조원우(야구)|조원우]] 등 쌍방울 출신 고참 선수들이 주장을 맡았다. 그러나 구단의 역사가 쌓이고 선수단 세대교체도 조금씩 이뤄지면서 2010년대부터는 [[박정권]], [[정근우]], [[조동화]], [[김강민]], [[이재원(1988)|이재원]], [[최정]] 등 SK 창단 이후에 입단하고 소위 [[왕조(스포츠)|왕조]] 시절을 경험한 선수들이 주장을 맡고 있다. == 역대 개막전 선발투수 == || 연도 || 선수 || 상대팀 || 비고 || || 2000년 || [[김태석(1967)|김태석]] || [[삼성 라이온즈]] (대구) || 홈 개막전 선발 : [[박정현(투수)|박정현]] || || 2001년 ||<|2>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에르난데스]] || [[LG 트윈스]] (숭의) || || || 2002년 || [[현대 유니콘스]] (수원) ||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1981)|이승호]] || || 2003년 || [[트래비스 스미스|스미스]] || [[LG 트윈스]] (잠실) || 홈 개막전 선발 : [[이승호(1981)|이승호]] || || 2004년 || [[호세 카브레라|카브레라]] || [[LG 트윈스]] (문학) || || || 2005년 || [[김원형]] || [[현대 유니콘스]] (수원) || 홈 개막전 선발 : [[채병용]] || || 2006년 || [[신승현]] || [[현대 유니콘스]] (문학) || || || 2007년 ||<|2> [[케니 레이번|레이번]] || [[한화 이글스]] (대전) ||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 || 2008년 || [[LG 트윈스]] (문학) || || || 2009년 || [[채병용]] || [[한화 이글스]] (문학) || || || 2010년 || [[카도쿠라 켄|카도쿠라]] || [[한화 이글스]] (문학) || || || 2011년 || [[게리 글로버|글로버]] || [[넥센 히어로즈]] (문학) || || || 2012년 || [[마리오 산티아고|마리오]] || [[KIA 타이거즈]] (문학) || || || 2013년 || [[조조 레이예스|레이예스]] || [[LG 트윈스]] (문학) || || || 2014년 || [[김광현]] || [[넥센 히어로즈]] (문학) || || || 2015년 || [[트래비스 밴와트|밴와트]] || [[삼성 라이온즈]] (대구) || 홈 개막전 선발 : [[김광현]] || || 2016년 || [[김광현]] ||<|2> [[kt wiz]] (문학) || || || 2017년 ||<|2> [[메릴 켈리|켈리]] || || || 2018년 || [[롯데 자이언츠]] (문학) || || || 2019년 || [[김광현]] || [[kt wiz]] (문학) || || || 2020년 || [[닉 킹엄]] || [[한화 이글스]] (문학) || || == 역대 [[KBO 한국시리즈]] [[헹가래 투수]] == ||
'''연도''' || '''헹가래 투수''' || '''헹가래 포수''' || '''마지막 타자''' || '''상대팀''' || || '''[[2007년 한국시리즈|{{{#fff 2007년}}}]]''' || '''[[정대현(1978)|정대현]]''' ||<|3> '''[[박경완]]''' || [[이종욱]] ,,(루킹 삼진),, || [[두산 베어스]] (문학, KS 6차전) || || '''[[2008년 한국시리즈|{{{#fff 2008년}}}]]''' || '''[[채병용]]''' || [[김현수(1988)|김현수]] ,,(1-2-3 병살타),, || [[두산 베어스]] (잠실, KS 5차전) || || '''[[2010년 한국시리즈|{{{#fff 2010년}}}]]''' ||<|2> '''[[김광현]]''' || [[현재윤]] ,,(루킹 삼진),, || [[삼성 라이온즈]] (대구, KS 4차전) || || '''[[2018년 한국시리즈|{{{#fff 2018년}}}]]''' || '''[[허도환]]''' || [[박건우(1990)|박건우]] ,,(헛스윙 삼진),, || [[두산 베어스]] (잠실, KS 6차전) || == 캐치프레이즈 == ||
연도 || 문구 || || 2000년 ||'''패기의 SK! 승리의 와이번스!'''[* 이후 구단의 공식 슬로건이 됐다. '패기'는 SK그룹의 인재상이기도 하다.] || || 2001년 ||'''불같은 패기! 뜨거운 감동! SK 와이번스!''' || || 2002년 ||'''패기의 SK! 팬과 함께 우승영광!''' || || 2003년 ||'''세계로 향한 인천! 우승을 향한 SK!'''[* 캐치프레이즈에 지역명을 직접 표기한 흔치 않은 사례. 인천 팬들에게 가깝게 다가가고 SK가 인천 연고 팀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전략이었다. 결국 이 해 SK는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했고 마케팅 측면에서도 적잖은 성공을 거뒀다.] || || 2004년 ||'''정상을 향한 무한비상! SK 와이번스!''' || || 2005년 ||'''구도[* 球都. 야구도시라는 뜻으로 인천에서 처음 야구가 시작됐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100년! 챔피언 원년! 인천 SK!''' || || 2006년 ||'''우승을 향한 행복 날개![* [[SK그룹]]의 CI에 행복 날개가 추가된 점을 감안해 제정됐다.] SK 와이번스!''' || || 2007년 ||<|3>'''{{{#ff6600 Fan First!}}} Happy Baseball!'''[* "'스포테인먼트' 시대를 열겠다"는 취지로 "팬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면서 마련한 캐치프레이즈이다.] ||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57b55f Go Green!}}} Enjoy Baseball!'''[* 연두색 유니폼을 입는 이마트 그린데이 시리즈가 이 해부터 시작됐다.] || || 2011년 ||불꽃투혼 SK! 팬과 함께 V4![* 원래는 팬 공모를 통해 선정된 'Do Dream! SK Wyverns! Let's go V4!'라는 캐치프레이즈였다. 발표 이후 당시 [[부천 FC 1995]] 축구단의 캐치프레이즈와 유사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재선정됐다.] || || 2012년 ||<|3>'''Touch {{{#ff0000 Wyverns!}}} Go {{{#ff0000 V4!}}}''' || || 2013년 || || 2014년 || || 2015년 ||'''{{{#ff6600 One Team! One Spirit!}}}'''[* [[김용희]] 감독이 제안했다.] || || 2016년 ||'''새로운 시작! 새로운 도전!''' || || 2017년 ||'''{{{#ff0000 따뜻한}}} 울림 {{{#ff0000 뜨거운}}} 질주''' || || 2018년 ||'''다함께! 더{{{#ff0000 높이!}}} {{{#ff6600 - Rise up Together!}}}''' || || 2019년 ||'''{{{#ff0000 열광, 자부심 그리고}}} 2019''' || || 2020년 ||'''강한 기본, 투혼의 {{{#ff0000 SK}}}'''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K 와이번스, version=914)] [[분류:SK 와이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