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SIN(DJMAX))] [[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OIiuoDUYKg)]}}}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3 (2006)}}} || || {{{-1 '''장르'''}}} ||{{{-1 Drum'n Bass}}} || || {{{-1 '''BPM'''}}} ||{{{-1 200}}} || || {{{-1 '''작곡'''}}} ||{{{-1 [[ESTi]]}}} || || {{{-1 '''리믹스'''}}} ||{{{-1 ESTi}}} || || {{{-1 '''BGA'''}}} ||{{{-1 [[RESS]]}}} || == 개요 == 원곡인 [[SIN(DJMAX)|SIN]]을 [[DJMAX Portable]]에 작곡가인 ESTi가 셀프 리믹스한 버전. 원곡보다 더 높은 BPM에 원곡보다 훨씬 흉악한 채보로 악명이 높았다. 통칭 '''신라신''', '''신막장'''(Last - 막, Scene - 장) 이라고 불린다. == [[DJMAX Portable]] 시리즈 == [youtube(QH_HAR7uLXI)] 4B NM [youtube(jZSUelXcqIY)] 6B NM 노트 겹침현상이 있는 채보이다. 영상은 미러 배치이지만 버그노트는 건재한다. 6번 노트 자리에 있던 것이 1번 노트 자리로 옮겨졌을 뿐. 채보 전체를 ESTi가 작성하였고, 마지막 10초 간의 노트는 정말 억지 수준으로 만들어 놓았는데 이것에 대해 질문을 한 유저에 대한 답변이 [[시누가요이|유저에게 똥을 투하한다]]는 심정으로 짰다고 한다. == [[DJMAX Trilogy]] == [youtube(UJd9PvY75Ys)] 6B SC 패턴 [[DJMAX Trilogy]]에도 수록되었으며, 원곡보다 난이도가 높은 건 똑같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1)]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IN _The Last Scene_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04cf7, #0faad6, #0faad6)" '''{{{#white PORTABLE 1}}}'''}}} || ||<-4>'''{{{+5 SIN ~The Last Scen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0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76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44}}}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044}}}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9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1.22 패치에서 11 → 12로 상향.] [br] {{{-5 991}}}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0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8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64}}}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37}}}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7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1.22 패치에서 13 → 14로 상향.] [br] {{{-5 1009}}}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8ef6, #7baaf0, #67cdea)"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6BH1D5z3m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vqdufXtnZ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9qw2HPdwA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LMS302LgAE)]}}} || 4B SC는 MX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빡빡한 동시치기가 많이 나온다. 12 내에서는 하위권 정도로 평가받으며 원곡보단 훨씬 쉽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P4p-Sf2DBk)]}}}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QvHe3rX7nc)]}}}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4TvE6x-Li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GdS2VudSTQ)]}}}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07bFPwn1p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dLdQjxu-tU)]}}} || 6B HD 패턴은 MX의 열화판. 단 후살은 살을 좀 발라내다 말았기 때문에 12레벨 중에서는 좀 어렵다. 6B MX 패턴은 높은 BPM을 바탕으로 밀도가 굉장히 빽빽하다. 특히 애매한 박자와 함께 떨어지는 최후살 구간과 121과 함께 1번 노트를 계속 처리해야 하는 마무리 구간이 가장 까다로운 구간으로 14레벨 6B MX 중에선 원곡인 SIN과 함께 최상위권으로 분류되어 있다. 6B SC 패턴은 MX 패턴에서 잡비트의 비중을 대폭 줄이고 동시치기를 더 넣은 구성으로, 특히 곡 마지막 8마디의 노트 배치가 매우 까다롭다. 다만 그 전까지의 패턴은 어렵지 않아 12레벨 하위권 정도로 분류되고, 지저분한 잡비트를 쳐낸 구성으로 인해 스코어링 난이도는 MX보다 쉽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한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_I1Tky30P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DJElOYsLZQ)]}}} || 8B HD 패턴의 난이도는 13이지만, 200BPM 에 힘입어 쉴틈없이 떨어지는 노트와 뇌정지를 유발하는 트리거 복합노트로 13 내에서 최강자 자리를 맡고 있다. 특히 마치 랜덤을 건 것처럼 떨어지는 초반 구간이 상당히 압권. 이 때문에 1.22 패치에서 난이도가 14로 상향되었으나, 개인차를 굉장히 많이 타는 부분이 있고 트리거 복합 패턴의 구성이 동레벨대 곡들과 비교해도 까다로운 편이기 때문에 여전히 14 내에서도 최상위권으로 평가받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SIN(DJMAX), version=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