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7px 0px -7px" [[파일:siamshade_logo.png|height=80]]}}}[br] [[파일:siamshade_promo.jpg|width=100%]][br]{{{-3 * 좌측부터 淳士 (준지), DAITA, 栄喜 (히데키), KAZUMA, NATCHIN}}} || ||<-2> {{{#ffffff '''{{{+1 SIAM SHADE}}}''' {{{-1 (샴 셰이드, シャムシェイド)}}}}}} || || '''{{{#white 멤버}}}''' ||栄喜 (히데키) (보컬)[br]KAZUMA (카즈마) (보컬, 기타)[br]DAITA (다이타) (기타)[br]NATCHIN (낫친) (베이스)[br]淳士 (준지) (드럼)|| || '''{{{#white 결성}}}'''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 [[일본]] [[도쿄]]|| || '''{{{#white 메이저 데뷔}}}''' ||1995년 싱글 'RAIN'|| || '''{{{#white 활동기간}}}''' ||1989년 ~ 2002년[br]2007년, 2011년, 2013년[br]2015년 ~ 2016년|| || '''{{{#white 장르}}}''' ||[[하드 록]], [[팝 록]], [[J-POP]]|| || '''{{{#white 소속사}}}''' ||[[아뮤즈]] (1994년 ~ 2002년)|| || '''{{{#white 레이블}}}''' ||[[소니]] 레코드 (SME Records), LEAF Mt., 사운드 모터스|| [목차] [clearfix] == 개요 == 샴 셰이드 (SIAM SHADE, シャムシェイド)는 [[일본]]의 5인조 [[록 밴드]]이다. 1989년 결성되었고 1995년 메이저로 데뷔하였으며 2002년에 해산하였다. 이후 2007년, 2011년, 2013년, 2015년 ~ 2016년에 일시적으로 재결성하였다. 2002년 해산 전까지는 [[아뮤즈]] 소속이었고, 재결성 후에는 독자적인 자체 사무소를 통해 활동하였다. == 활동 == === 결성 === 1989년 3월에 "여자애들 사이에서 잘나가고 싶다"(...)는 생각으로 히데키를 주축으로 히데키의 친구인 낫친을 끌어들여 본 밴드의 전신이 되는 밴드인 POWER를 결성한다. 같은 해에 핫 웨이브 컨테스트에 참가하여 우승을 거머쥐게 되며, 덧붙여서 준우승을 한 밴드는 FIFTY50/FIFTY50라는 밴드였는데, 당시에 카즈마가 활동 중이던 밴드였다. POWER의 다른 멤버들이 탈퇴를 하는 덕분에 옛날부터 친구였던 다이타를 끌어들여보려고 했지만 음악성이 맞질 않는다는 이유로 바로 탈퇴했다. 그 후 지인이었던 아타루를 영입해 "아타루"라는 밴드를 결성. 1992년에는 FIFTY50/FIFTY50가 해체되고 LOVE JETS의 보컬을 하고있던 카즈마를 히데키가 "나 금방 관둘거니까"라고 말하며 멤버로 맞아들인다. 결국 히데키는 포기하지 않았으며 트윈 보컬 체제를 성립하게 된다. 그 후 드러머인 에이를 영입. 1993년에는 [[파칭코]](...)로 벌어들인 백만엔에 가까운 돈을 써서 4곡이 수록된 데모 테이프를 제작했고 이와 동시에 밴드명을 SIAM SHADE로 개명. 같은해 7월에는 "역시 기타에는 다이타가 아니면 안돼"라는 이유로 당시 행방을 알 수 없었던 히데키의 어릴적 친구 다이타를 찾아내서 밴드에 가입하게 했다. 당시에는 비주얼 계 밴드에서 활동중이던 다이타는 굉장히 기다란 가발을 쓰고 라이브 활동을 하고 있었다. 1994년 5월에는 준지가 가세. 같은 해 12월에는 첫 앨범인 SIAM SHADE가 오리콘 차트 첫 등장만에 2위에 오르게 되는 기염을 토했다. === 데뷔 === 1995년에는 원맨 라이브를 치름과 동시에 첫 싱글인 RAIN으로 메이저 데뷔. 그 후 1997년에는 6번째 싱글인 3분의 1의 순수한 감정(1/3の純情な感情)이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엔딩 테마로 쓰여지게 되면서 유명세를 타게 된다. 밀리언까지는 못 갔지만 7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그럭저럭 히트. 이 곡은 후에 많은 밴드가 커버를 했다. --[[리플렉 비트|모 리듬게임]]에서도 [[VENUS|이분들이]] 커버했다(...)-- 일본에서도 스쿨밴드 레벨에서는 최종보스격으로 취급되는 곡 중 하나. 그 이후 앨범이나 싱글을 내면 [[오리콘]] TOP 10에 드는 아티스트로 성장하긴 했으나 "1/3の純情な感情" 만큼의 빅 히트곡이 나오지 않는 등 레이블이나 팬들이 기대한 만큼의 커다란 인기를 얻지는 못하는 듯 보였다. 일본 웹에도 왜 SIAM SHADE가 안 팔렸는지 묻는 게시물이나 왜 SIAM SHADE가 망했는지에 대해 논하는 스레드가 있을 정도. 음반사가 빵빵하다보니 타이업도 많이 걸어줬는데 기대보다는 아쉬운 세일즈를 보였고, 여기에 멤버들간의 갈등이 겹치며 결국 2002년 [[일본 무도관]]에서 열린 V8 START & STAND UP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산하였다. 이날 공연에는 15,000명의 관객이 모였는데 이는 [[일본 무도관]] 최다 관객 동원 기록 중 하나이기도 하다. === 해산 후 === 2002년을 마지막으로 해산한 뒤에는 멤버 각자가 솔로활동이나 다른 밴드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히데키[* 그전에 인디즈에서 ACID라는 밴드를 결성했으나 팀원들의 배신때문에 솔로앨범 실패 및 일시적 은퇴 후 재복귀 등등 이런저런 고충이 많았다.]는 [[DETROX]]라는 밴드 보컬로, 준지는 [[BULL ZEICHEN 88]]의 드러머 및 [[각트]]의 세션, 다이타의 경우는 솔로앨범 및 다른 아티스트들의 세션을 뛰다가 [[BINECKS]]의 기타리스트로, 낫친의 경우에는 [[섹스 머신건즈|SEX MACHINEGUNS]]의 보컬인 ANCHANG과 [[THE YELLOW MONKEY]]의 ANIIE와 함께 BIG BITES를 결성했고, 카즈마의 경우는 [[츠치야 안나]]의 세션 및 [[Fifty50/50Fifty]]라는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중이다. 2007년에는 매니저 추모를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재결성을 한 적도 있으며, 2011년 7월에는 부흥지원을 위한 라이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2011년 10월 21일 지진부흥 자선 라이브 [[http://www.youtube.com/watch?v=D7A3zCh_rQc&list=PL2CC6F701BB51D08F|"SIAM SHADE SPIRITS ~ RETURN THE FAVOR ~ 2011.10.21 SAITAMA SUPER ARENA"]] 를 기점으로 새로운 싱글도 발표하고 2013년 10월 경에도 라이브 투어를 했다. 그러나 현재 확실히 재결합을 한 상황은 아닌 듯. 2007년에 사망한 SIAM SHADE의 치프 매니져 나카무라 신이치의 7주기 기념 콘서트 HEART OF ROCK SEVEN 투어를 실시. 사이타마 수퍼 아레나와 Zepp Diver City에서 실시한 라이브를 DVD로 발매. 2015년 10월, 사이타마 수퍼 아레나를 시작으로 데뷔 20주년 투어를 실시. 팬들을 위한 리더 NATCHIN의 요청으로 다시 모였다고 함. 2016년 2월부터 3월까지 Zepp 콘서트 홀을 중심으로 한 "SIAM SHADE 20th Anniversary year 2015-2016 「The Ultimate Fight Series」" 투어를 실시. 그리고 10월... SIAM SHADE의 마지막 라이브 투어 "SIAM SHADE 20th Anniversary year 2015-2016 「Final Road Last Sanctuary」"를 진행하였다. 투어의 마지막 공연은 2002년 밴드의 해산 전 마지막 라이브를 진행했던 [[일본 무도관]]에서 열렸다. == 이야깃거리 == * 밴드명의 유래는 "밀접한 그림자"라는 뜻의 영어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밴드의 리더는 낫칭이며 그 이유는 인디 시절 외에 멤버들이 돈에 허덕일 때에는 전화가 끊겼었던 덕분에 유일하게 자기 집에서 살고있던 낫칭이 연락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기 때문이다. 활동 초기에는 "락음악계의 드리프터즈"를 표방하며 짤막한 콩트영화 등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초창기 클립 모음인 V1을 보면 야쿠자 컨셉도 나온다(...). * 멤버들 전원이 [[LUNA SEA]]를 엄청 존경하고 있던 덕분에 LUNA SEA의 동생뻘 밴드가 되기도 했다. 이 사실은 양 밴드의 팬덤 대부분이 인정. 특히 히데키는 LUNA SEA의 보컬인 [[카와무라 류이치]]를 존경하고 있다. 또한 준지는 LUNA SEA의 드러머인 신야를 존경하는 마음에 드럼을 시작했다고 하며 일시적으로 LUNA SEA의 [[로디]]를 한 적도 있어 거의 사제지간에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있다. 덕분에 LUNA SEA의 2집 앨범에는 로디로서 준지의 이름이 부클렛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나틴 역시 피킹 위주의 플레이 등 여러가지 면에서 J에게 영향을 많이 받았다. * 멤버 전원이 격투기를 좋아하며 더우기 멤버 각자가 좋아하는 스포츠가 따로 있었던 덕분에 라이브 등지에서의 MC 등에서 스포츠 근성을 선보이기도 했다. 특히 보컬인 히데키는 유명한 유도가이자 종합격투기 선수였던 [[요시다 히데히코]]와 호형호제 하는 사이. * 동 시대 일본 밴드들 중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만큼의 탄탄한 연주력의 멤버들이 뭉쳤기에 많은 기대를 받았었고 특히 기타리스트인 다이타는 현재진행형으로 물건너에서도 알아주는 테크니션 중 하나. 밴드의 곡 중엔 기타 인스트루멘탈 곡들도 서너곡씩 있는데 모두 다이타가 작곡했으며 [[드림 시어터]]의 [[존 페트루치]]의 플레이에 영향을 많이 받은 듯한 전개를 보여준다. * 정작 한국에서는 SIAM SHADE VI 앨범에 실린 '''연주곡''' Triptych가 제일 인기 많은게 현실이다(...). 기타리스트라면 한번씩은 도전해보는 곡으로 기본적인 테크닉부터 스윕, 태핑 등 여러가지 테크닉이 한번씩 등장해서 전개되는 초중반부터 기승전결이 확실하고 깔끔한 곡. * 싱글 せつなさよりも遠くへ의 뮤직비디오는 한국에서 촬영하였는데, [[서태지와 아이들]], [[김건모]], [[신화]], [[터보(그룹)|터보]], [[클론(가수)|클론]] 등 1990년대의 가요 히트곡들의 뮤직비디오로 유명한 [[홍종호]] 감독이 연출하였다. * 2000년 부산 록 페스티벌에 초대되어 광안리에서 공연한 적이 있다. 멤버들이 장난기 많고 가벼운 성격인데다 스탭들도 일본어가 능숙치 않아 '공연 시작 전까지 좀 시간이나 때우다 오라'는 식으로 얘기했는데 정말로 공연시각 20분 전까지 전 멤버가 뿔뿔이 흩어져 스탭들이 찾느라 광안리 일대를 누비고 다녔다고 한다(...). 부산 록 페스티벌 공연 후 기존에 발매했던 SIAM SHADE VII 앨범에 3집 ~ 5집에 수록된 연주곡을 추가한 앨범을 우리나라에 발매한 적이 있다. 이는 밴드 최초의 해외 정식 음반 발매였으며 음반사 관계자 말로는 본전치기보다는 좀 더 팔렸다고 한다. * 이상하리만큼 [[MBC GAME]]에서 BGM으로 많이 쓰였다. Get A Life, Shake me down, Dreams, Black, Fly High, 夢の中へ, グレイシャルLOVE 등등이 사용되었고 오프닝,경기 시작전 등 안 쓰인 곳이 없을 정도. 사실 이것은 MBC GAME의 메인 PD였던 장재혁 PD의 주도로 선곡이 이루어진 것인데 [[E-Sports]]계에서 장재혁 PD는 Siam Shade 팬으로 유명하다. * 2014년 3월 다이타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겨 한국팬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https://twitter.com/de_sus_rock/status/437539544489930752|#]] 해석하자면 미국의 글랜데일을 다녀왔다며 저 사진을 올렸다. 반일 [[프로파간다]]에도 정도가 있다며, 당장 철거해야한다고, 지금 당장 고노 요헤이에게도 책임을 철저히 추구해야한다고 써놨다.[* 고노 담화(河野 談話) :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河野 洋平)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소 설치 및 위안부 강제징집을 인정하고 사죄한 담화.][[http://blog.naver.com/dlvlrpspdldi/150183261741|이러한 제보도 있다]]. 상당한 지한파로 알려진 다이타지만 세월이 상당히 흐른 후 도쿄도지사 선거기간에 트위터에 수꼴 of 수꼴로 알려진 [[다모가미 도시오]]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트윗이 올라오는 등 나이가 들면서 어느 정도 성향이 바뀐 듯 보인다. 밴드 멤버들 전체의 성향이 다 그런 건 아니긴 하지만, 국내에 앨범도 출시되었고 국내 락페 내한까지 와서 지상파 중계에도 출연한 드문 일본밴드인 SIAM SHADE의 음악적 키를 잡고 있는 다이타의 이런 행위로 인하여 국내 팬덤에서는 찬반양론이 갈리고 있는 추세. == 멤버 == === 해체 전 멤버구성 === ==== 히데키(栄喜) - 보컬 ==== 본명은 이마무라 에이키. 1972년생으로 키가 184에 몸무게가 60이라는 경이적인 멸치몸매를 자랑한다(...). 원래는 지금의 목소리 톤이 아니었지만 어쩌다 보니 목 수술을 두번정도 받은 끝에 날카롭고 하이톤인 현재의 목소리가 되었다. 학창시절부터 싸움꾼으로 이름을 날린데다 터프하고 시원시원한 인상이나, 정작 성격은 굉장히 예민하고 감수성이 강하며, 전혀 안 그럴 것 같지만 팬들에게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데, 배송료 문제로 팬과 다퉜다가 몇주간 삐져서 두문불출한 적도 있다. 기타리스트인 다이타하고는 어릴적부터 친구지만 지금은 약간 서먹한 사이. 초기의 명의는 'CHACK'였으나 밴드시절엔 'HIDEKI'로 활동했고, 솔로시엔 'HIDEKI'에서 변경한 '미라이' 명의로 활동했다. 폭력적인 성향 때문에 커리어가 약간 깎이는 편인데, 학창시절부터 학교짱급 싸움실력에 야쿠자 아들내미를 비오는 날 먼지나게 팼다가 합의금도 뜯긴 일화도 전해지는데다 상기의 다이타와는 드잡이질해가며 싸운 적이 많고 ACID 이후 솔로 시절엔 같이 활동하던 기타리스트 카즈와 싸워 전치 4주의 중상을 입힌 적도 있다. 여리고 마음이 약하지만 조금 욱하는 기질이 있는 듯. 97년경엔 스튜디오에서 다이타를 비롯한 다른 멤버들과 대판 싸우고 밴드 더 못해먹겠다며 때려치우고 며칠 정도 공사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팬들에게 발견되어 속히 스튜디오로 복귀하고 화해했던 흑역사도 존재할 정도지만, 그런 면모를 제한다면 뮤지션들 사이에서 평판도 좋고 친분관계도 괜찮다. ==== KAZUMA(카즈마) - 보컬 및 기타 ==== 본명은 엔도 카즈마. 세컨드 기타와 세컨드 보컬 및 코러스를 같이 맡고 있으며 가끔 랩도 담당하는 멀티플레이어로 깁슨 [[레스폴]]을 자주 이용하는 기타리스트. 보컬도 괜찮게 잘 소화해내는 편이라 [[비비안 수]]와 함께 유닛을 결성해 기동전사 건담 SEED의 곡인 Moment를 부른 적이 있다. 그 외에도 세션 및 이런저런 활동을 병행했으며 기타프릭스의 수록곡인 [[あさき|아사키]]의 곡 You can't do it if you try 에도 참여. 아사키가 카즈마를 매우 존경한다고 한다. ==== DAITA(다이타) - 기타 ==== 본명은 이토 다이타. 리드 기타를 맡고 있으며 기타 실력으로는 일본에서도 알아주는 테크니션 중 하나지만 연주에 자기 나름의 맛이 약간 없다는 평도 간혹 듣는다. 어릴적에 잠시 브라질에 거주했던 적도 있으며 브라질에서 귀국한 뒤 히데키와 알고 지내는 사이가 되었지만 히데키보다 먼저 데뷔하여 비주얼 밴드에서 기타를 치다 우연히 TV를 본 히데키에게 발견(...)되어 샴셰이드에 픽업되었다. 일본에서 열린 [[스티브 바이]], [[조 새트리아니]], [[존 페트루치]]의 공연인 G3에도 일본측 대표로 초청된 적도 있으며 본인은 존 페트루치에게 영향을 많이 받은 듯. TV 무대에서 존 페트루치에게 사인을 받은 기타를 자주 가지고 출연했고 1대1 대담도 한 적 있다. [[ESP(기타)|ESP]], [[Schecter]], [[PRS]]등 여러 모델의 기타를 사용하지만 거의 메인은 '''[[Tom Anderson]]의 드롭탑 클래식'''이나 자기가 만든 브랜드인 G-Life의 커스텀 모델을 사용. 여담인데 상당한 지한파로 [[서문탁]]의 일본 솔로앨범 프로듀스나 [[화산고]]의 OST를 맡기도 했고 잘 찾아보면 2002년 서울의 호프집에서 한일월드컵을 구경하다 4강 진출에 감격한 31세 이토 다이타 씨의 뉴스 인터뷰도 찾아볼 수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애니메이션 광빠로 바람의 검심 엔딩곡 이후 [[이와오 준코]]와의 대담에서 덕임을 인증해버렸다. 팬도 많은지 성우인 [[시이나 헤키루]]는 무명시절부터 Siam shade의 팬이었는데 다이타에게 앨범의 기타 세션 및 작곡으로 참가해달라고 간청해 참여를 시켰으나 다이타의 곡에 자기 보컬이 전혀 따라가지 못해 좌절했다고 한다. 일러스트레이터인 [[이토 노이지]]의 이토 역시 이토 다이타의 이토를 따온 것. 커리어적으로는 지금은 은퇴한 일본의 유명 록 보컬리스트 [[히무로 쿄스케]]의 메인 기타리스트로서 세션을 오랫동안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2000년대 초에 그의 서포트 멤버로서 처음 참여하여 2016년 히무로가 마지막 돔 투어를 기점으로 은퇴하기 전까지 단 한 번의 투어[* 2014년 개최되었던 히무로의 솔로 25주년 기념 투어로 해당 투어에서는 현재 [[B'z]]의 서포트 멤버로서 참여 중인 YT가 다이타 대신 메인 기타를 맡았다.]를 제외하면 그의 공연에 메인 기타로서 꾸준히 참여하였다. 히무로는 다이타를 단순한 서포트 멤버가 아닌, 자신의 [[페르소나]]급으로 대했으며 종종 자신의 공연에서 다이타만을 위한 독무대를 마련해 주어 다이타가 Singular point나 Emphatic line, Free 등 다이타 자신의 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서포트 멤버들을 소개할 때도 늘 다이타가 가장 돋보일 수 있도록 그를 가장 마지막에 소개했다. 그러한 입지 탓인 건지 공연을 보면 자신보다 훨씬 오랫동안 히무로의 세션을 해 왔던 베이시스트 '니시야마 후미아키'[* [[보위]]나 [[벅틱]]같은 [[군마 현]] 출신의 밴드 [[ROGUE]]의 베이시스트로서 90년대 초부터 쭉 변동없이 히무로의 베이스 세션을 맡아왔다. 히무로가 은퇴할 시점에서는 서포트 멤버 중 가장 원로급이었다.]나 세컨드 기타 '혼다 타케시'[* 일본의 유명밴드 [[PERSONZ]]의 기타리스트. 여담으로, 페르손즈의 보컬인 JILL은 [[호테이 토모야스]]의 친구이며 호테이의 공연에 코러스로서 종종 참여하였다. 혼다와는 정 반대.]가 열심히 코러스를 넣을 때도 다이타는 홀로 시크하게 기타만 칠 때가 많았다. ==== NATIN(낫친,나틴) - 베이스 ==== 본명은 나카가와 타이. 베이스를 담당하며 피킹 위주의 안정적인 주법을 구사하는 베이시스트로 [[LUNA SEA]]의 J에게 사사하고 영향도 많이 받아 핑거링보다는 다운피킹 위주의 주법을 자주 구상하지만 J와는 달리 슬랩이나 풀링 등의 테크닉도 썩 괜찮아 Outsider나 Why not? 같은 곡에서는 피크를 버리고 슬랩 위주의 매우 화려한 플레이도 종종 보여준다. 실질적인 SIAM SHADE의 리더로 왜 리더가 되었느냐면 인디즈 시절 자기 집에서 살던 사람이 나틴 뿐이어서 어딘가에서 밴드 규모로 연락이 오면 나틴 혼자만 연락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원래는 다른 멤버들과 달리 대학에 진학하려 했으나 '대학교 가서 밴드하면서 힘들 바엔 밴드해서 성공한 다음 대학 가면 되잖아?'라는 히데키의 말발(?)에 휘말려 SIAM SHADE에 합류. 주로 [[뮤직맨]]의 스팅레이 모델이나 [[스펙터]]의 베이스를 사용. 밴드에서는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품절남으로 여배우와 결혼했다.[* 2013년 9월 2일부로 이혼했다고 한다. 자세한 기사는 [[http://dmong.tistory.com/813|이쪽을 참조.]]] 해체 이후엔 솔로 활동 위주로 활동하다 [[섹스 머신건즈]]의 멤버들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기도 했다. 슬프게도 노래실력은 그다지 좋지 않은 편. 해체 후, 'NATCHIN'으로 개명. 이유는 일본어 발음으로 낫친을 NATIN으로 썼으나, 외국인에게는 네이틴이라고 발음할 수 밖에 없다고 하여 개명. 솔로앨범 'FAITH', 'STAND'를 발매했으나 큰 인기는 얻지 못함. 그 후, 섹스머신건즈의 ANCHANG, The Yellow Monkey의 Annie와 함께 'BIG BITES'를 결성. 현재 활동중지 상태. [[아이카와 나나세]], SIAM SHADE의 보컬 HIDEKI 등의 라이브 세션맨으로도 활동 중. 2013년부터는[[쿠로유메]]의 히토키와 함께 비주얼계 밴드 [[CASCADE]]의 스페셜 멤버로 번갈아가면서 현재까지 서포트중이다. 2014년, [[everset]]의 보컬인 히무라 츠요시(Geno), a DROP OF JOKER의 여성 기타리스트 mi-ya (미야코:[[러브바이츠]]) 드러머 act. 와 함께 '21g'를 결성. 21grams 라고 읽는다. 현재 정규앨범 1장, 싱글앨범 3장을 발매. SIAM SHADE 시절엔 ESP의 본인 시그내쳐, 스펙터 베이스를 주로 사용. 현재는 G&L 엔도서로 공식 활동시(PV, 사진촬영 등) G&L 베이스로 연주를 하지만, 언제나 메인악기는 흰색 스펙터 베이스. 2019년 1월, 멤버들의 불화로 돌연 해산을 선언. 2019년 3월 8일 원맨 라이브를 끝으로 21g 해산. 정규앨범 2장, 싱글앨범 3장, 디지털 싱글 3장, 라이브DVD 2장 발매. ==== 준지(淳士) - 드럼 ==== 본명은 사쿠마 준지. SIAM SHADE의 드러머로 역시 [[LUNA SEA]]의 신야에게 사사했으며 한때 루나씨의 로드매니저도 맡아 LUNA SEA 초기 앨범의 스탭롤에 이름이 실려있기도 하다. 또한 [[마이크 포트노이]]의 상당한 팬. 그 광활한 드럼세트와 곡에서 흐르는 변박플레이는 포트노이의 영향. 신야와는 달리 파워보다는 탄탄하고 그루브가 살아있는 연주가 특징이며, [[니시카와 타카노리]]와 [[GACKT]]라는 스타일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 뮤지션들의 세션을 모두 맡았을 정도로 곡에 대한 이해력이 높다. 샴쉐이드 활동 당시 멤버들에게 자기가 쓴 곡을 다른 멤버가 쓴 곡보다 못친다는 소리를 들었다.(...) 밴드의 막내이고 합류순서도 가장 마지막이며 막내로 귀여움을 받음과 동시에 밴드활동 내내 히데키와 다이타 두 괴수(?)의 싸움을 말리느라 가장 고생한 멤버 중 하나. 여타 멤버들보다 좀더 어려 보이고 선도 얇은 편이라 인기도 꽤 있지만 실상은 상당히 허당에 근접한 편이다(...). 베이시스트 [[Ikuo]]와 [[BULL ZEICHEN 88]]을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니시카와 타카노리]], [[GACKT JOB|각트]], [[Acid Black Cherry]], [[Sound Horizon]] 등 여러 아티스트들의 세션을 맡아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あさき|아사키]]의 [[신곡]] 앨범에서도 드럼 세션을 맡은 바 있다.(...) [[YAMAHA]]나 [[PEARL]]의 드럼 세트를 사용함. 여담으로, [[SMAP]] 출신의 [[나카이 마사히로]]와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다. 다만 준지는 중퇴, 나카이는 전학을 가서 졸업은 하지 못했다는게 함정.. 2012년 SMAP×SMAP에 준지가 BLACK PIRATES의 드러머로 출연하며 [[기무라 타쿠야]]와 만나게 된다. 심한 오토바이 전복사고를 당한 적이 있으나, 2주 뒤 공연에 건강한 상태로 돌아와 멤버들을 놀래킨 적이 있다. 춤을 잘춘다. 그것도 매우(...). 이벤트성으로 각트의 GHOST를 연습해서 콘서트 때 각트와 각트의 팬들에게 선보인 적이 있는데, 각트 본인은 물론 팬들까지 [[쓸데없이 고퀄리티]]스러워 놀라다가 코믹스러운 표정(...) 때문에 빵 터졌었다. 현잼 매일 밤 9시에서 11시 사이 유투브에서 소통 방송을 하는중이다 === 구 멤버 === * ATARU - 기타 * A(EI) - 드럼. 본래는 기타를 치던 멤버로, SIAM SHADE 탈퇴 후에는 AI(아이)라는 예명으로 Kalen이라는 밴드에서 활동했다. 이후 [[PIERROT]]을 거쳐 [[LM.C]]로 활동중. 훗날 [[All I Need]]의 기타리스트로 발탁되고, [[Muff]]의 리더로 활동하는 [[타구치 마사유키]]와 함께 Kalen의 멤버들 중에서는 알려진 편. * OZZ... - 드럼 == 디스코그래피 == === 싱글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1995.10.21||RAIN|| 49위 || 10,720장 || || ||1996.02.01||TIME'S|| 44위 || 18,810장 || || ||1997.02.21||Why not?|| 69위 || 5,310장 || || ||1997.05.21||RISK|| 42위 || 11,870장 || || ||1997.07.30||PASSION|| 35위 || 18,800장 || || ||1997.11.27||[[1/3の純情な感情]]|| '''3위''' || 698,520장 ||TV 애니메이션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3기 엔딩 테마|| ||1998.05.13||グレイシャルLOVE|| 10위 || 172,610장 || || ||1998.08.05||Dreams|| 4위 || 164,440장 || || ||1998.10.28||NEVER END|| 9위 || 81,310장 || || ||1999.02.24||曇りのち晴れ|| 8위 || 170,810장 || || ||1999.09.15||BLACK|| 5위 || 79,010장 ||영화 [[화산고]] 일본어판 사운드트랙 수록|| ||1999.09.29||1999|| 7위 || 63,050장 || || ||2000.04.19||せつなさよりも遠くへ|| 10위 || 66,180장 || || ||2001.04.11||Life|| 13위 || 41,570장 || || ||2001.09.27||アドレナリン|| 14위 || 28,380장 || || ||2001.11.28||LOVE|| 20위 || 21,730장 || || ||2013.10.27||Still We Go|| - || - ||라이브 회장 및 통신판매 한정으로 출시|| === 정규앨범 === * 인디즈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인디차트}}}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1994.12.10||SIAM SHADE[* 2012년 4월에 인디즈 시절의 데모 테이프와 싱글 "DOLL"의 수록곡을 추가하여 리마스터링한 "SIAM SHADE SPIRITS 1993"라는 타이틀로 온라인 한정 재발매하였다. 현재는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에서 음원으로 구매 가능.]|| 2위 || - || * 메이저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1995.11.11||SIAM SHADE II|| 27위 || 34,580장 || || ||1996.10.02||SIAM SHADE III|| 20위 || 33,330장 || || ||1998.01.21||SIAM SHADE IV・Zero|| '''3위''' || 252,440장 || || ||1998.12.02||SIAM SHADE V|| 6위 || 228,470장 || || ||2000.07.26||SIAM SHADE VI|| 8위 || 83,190장 || || === 베스트앨범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2000.11.29||SIAM SHADE VII[* 한국에서는 3집~5집까지의 연주곡을 더하여 발매됨.]|| 23위 ||20,780장||기존 곡들을 영어 버전으로 재녹음 및[br]전곡 재편곡 및 리믹싱한 미니 앨범. || ||2002.01.30||SIAM SHADE VIII B-side Collection|| 17위 || 20,920장 || || ||2002.03.06||SIAM SHADE IX A-side Collection|| 20위 || 32,080장 || || ||2007.09.26||SIAM SHADE XI[br]COMPLETE BEST ~HEART OF ROCK~|| 26위 || 13,236장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진행된[br]팬들의 인기투표로 선정된 30곡 수록 || ||2010.10.27||SIAM SHADE XII[br]~The Best Live Collection~|| 23위 || || || === 박스 세트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2002.11.27||SIAM SHADE X[br]~THE PERFECT COLLECTION~|| 98위 || 3,879장 ||메이저 데뷔 후 발매된 모든 앨범과 미발표곡,[br]첫 [[일본 무도관|무도관]] 공연의 라이브 음원이 담긴 박스 세트|| === 참여 앨범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비고}}} || ||1994.02.01||EMERGENCY EXPRESS 1994|| ||9번 트랙 "END OF LOVE" || ||1999.05.01||hide TRIBUTE SPIRITS|| '''1위''' ||5번 트랙 "[[hide|ピンクスパイダー (핑크 스파이더)]]" 커버|| === 트리뷰트 앨범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오리콘 최고순위}}} || {{{#ffffff 판매랑}}} || {{{#ffffff 비고}}} || ||2010.10.27||SIAM SHADE Tribute|| 15위 || || || ||2011.07.27||SIAM SHADE Tribute VS Original|| 253위 || ||2011년 밴드 재결성을 기념하여[br]커버된 원곡을 더해 CD 2장으로 재발매. || === 비디오 === || {{{#ffffff 발매일}}} || {{{#ffffff 제목}}} || {{{#ffffff 비고}}} || ||1997.03.01||SIAM SHADE || DVD 발매일 : 2000.12.06 || ||1998.03.01||SIAM SHADE V2 Clips '95 - '97 || DVD 발매일 : 2000.12.06 || ||1999.03.20||SIAM SHADE V3 || DVD 발매일 : 2000.12.16 || ||1999.08.30||SIAM SHADE V4 Tour 1999 MONKEY SCIENCE FINAL YOYOGI || DVD 발매일 : 1999.09.22 || ||2000.09.06||SIAM SHADE V5 || || ||2000.12.31||SIAM SHADE V6 LIVE 男樹 || || ||2002.03.27||SIAM SHADE V7 Live in 武道館 LEGEND of SANCTUARY || || ||2002.05.29||SIAM SHADE V8 START & STAND UP LIVE in 武道館 2002.03.10 || || ||2003.01.08||SIAM SHADE V9 ~The Perfect Clips~ || || ||2012.03.10||SIAM SHADE SPIRITS -RETURN THE FAVOR- || || ||2014.03.10||SIAM SHADE LIVE TOUR 2013[br]-HEART OF ROCK SEVEN- LIVE AT SAITAMA SUPER ARENA || || ||2015.03.10||SIAM SHADE LIVE TOUR 2013[br]"HEART OF ROCK 7" Special Live[br]-Inheritance of the soul- 魂の継承 at Zepp DiverCity || || ||2016.09.30||SIAM SHADE LIVE TOUR 2016[br]The Ultimate Fight Series Live at Zepp Tokyo || || ||2018.10.21||SIAM SHADE LIVE 2016[br]"FINAL ROAD LAST SANCTUARY" 日本武道館 LIVE || || [[분류:일본의 록밴드]][[분류:1989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1995년 데뷔]][[분류:5인조 음악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