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8년 기업]][[분류:중국의 패션 브랜드]][[분류:패션 회사]] ||<-2> '''{{{+2 쉬인}}}[br]{{{-1 SHEIN}}}'''[* [[미국]]에서는 '쉐인'이라는 발음으로 불린다.]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쉬인 로고.png|width=100%]]}}}|| ||<|2> '''설립''' ||[[2008년]] [[10월]] ([age(2008-10-01)]주년)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난징]] || || '''본사'''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8]]]] [[싱가포르]] 로빈슨로드 || || '''산업''' ||[[패션]] || || '''상장 거래소''' ||비상장 || || '''모기업''' ||Roadget Business Pte Ltd || || '''기업 가치''' ||660억 달러^^(2023년 6월)^^ || || '''링크''' ||[[https://www.shei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SHEIN은 [[중국]]의 온라인 [[패스트 패션]] 쇼핑몰 업체이다. == 특징 == 기존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보다 빠른 리얼 타임 패션, 울트라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속한다. 디자인부터 판매까지 5일이 채 되지 않는데, 이는 [[광저우]] 특성상 의류 관련 기업과 공장들이 이곳에 몰려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https://fpost.co.kr/board/bbs/board.php?bo_table=special&wr_id=805|#]] 중국 패션 브랜드지만 [[무국적화]]를 거쳐 다양한 인종을 모델로 내세우는 등으로 중국 브랜드임을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 공격적인 투자를 한다. 2023년 5월, 660억 달러 기업 평가를 받으며 20억 달러를 조달 받았는데 이는 기존 1,000억 달러에서 30% 이상 하락한 평가액이다. == 비판 및 논란 == * 문제점은 디자인 [[표절]]이다. 이는 다른 패스트 패션 브랜드도 겪는 문제지만 쉬인은 더욱 노골적으로 상표와 디자인을 베낀다. [[리바이스]], [[타미힐피거]] 등의 유명 브랜드 로고를 그대로 가져다 붙이거나, 다른 패스트 패션 브랜드, 소형 디자인 브랜드 등 베끼지 않는 곳이 없다. [[https://youtu.be/EeJ8qEvTQx4|#]] 즉 그냥 이전에 상품 저작권이 약했을 당시 옛날 동대문에서 짝퉁 찍어내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래서 쉬인 브랜드를 입으면 짝퉁 입은 느낌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 또 다른 문제점은 낮은 품질이다. 싼 가격에 사놓았지만 실제로 몇번 입지 못할 퀄리티인 경우도 많다. 또한 패스트패션들은 공통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 비판을 받는데, [[H&M]] 이나 [[ZARA]] 등보다도 더 상품을 빠르게 찍어내고 싼 가격에 판매하나 내구도는 낮은 쉬인은 더더욱 이점에 취약하다. 또한 미국의 검사에서 의류에 발암 물질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즉 저렴하지만 국가 특성상 사용하는 재료 자체에 문제가 많다. * 이외에도 노동력 착취 논란, [[2021년 신장 목화 논란|신장 목화 사용 논란]] 등이 있으나,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일련의 논란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 2023년 7월 7일, 쉬인의 모기업인 Roadget Business Pte Ltd가 사칭 계정으로 인해 자사가 노동자들에게 강압적인 태도를 취했다는 내용의 [[가짜 뉴스]]가 퍼져 손해를 입었다며 [[트위터]]로부터 현재는 정지된 해당 계정의 DM 내역과 전화번호, [[IP]] 정보 공개를 요구했다. 해당 계정을 라이벌 업체인 [[테무]]로 추정하는 듯 하다. 2023년 들어서 상술한 논란들을 적극적으로 수습하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다만, 트위터는 자사 법규에 어긋난다며 요청을 거절했다.[[https://www.businessinsider.com/shein-wants-twitter-to-reveal-if-rival-behind-impersonator-accounts-2023-7?amp|#]][[https://twitter.com/titterdaily/status/1677915804594221056?s=46&t=heuN3aUb-lI7mK8tmq9uxw|#]] == 기타 == * 원래 사명은 ZZKKO이다. * [[테무]]라는 중국의 온라인 커머스 앱이 쉬인의 단기 성공 방식을 그대로 벤치마킹하여,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대성공을 거둔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