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1 '''SCAR''' }}} }}}[br]{{{#white ''SOF Combat Assault Rifle''}}}[br]{{{#white 특수작전부대용 돌격소총}}} || ||<-2> [[파일:scar-logo_profile 0.jpg|width=300]] || ||<-2>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SOC.png|width=23]]]][[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파일:usasoc_emblem 0.png|width=23]]]][[미합중국 해군특수전사령부|[[파일:navspecwarcom_emblem 0.jpg|width=23]]]][[미합중국 공군특수작전사령부|[[파일:afsoc_emblem 0.png|width=23]]]][[미합중국 해병특수작전사령부|[[파일:marsoc_emblem 0.png|width=23]]]] || ||<-2>{{{#white '''이력'''}}} || ||'''역사'''||2002년~2009년 || ||'''분류'''||다목적 [[돌격소총]] 도입[br]다목적 [[전투소총]] 도입[br]전용 [[유탄발사기]] 도입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합중국]] || ||'''운용'''||[[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width=23]]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 ||'''담당'''||[[파일:nswcc 0.jpg|width=23]] NSWC 크레인[br][[파일:peo_sw 0.jpg|width=23]] PEO-SOF 웨폰즈 || ||'''계약'''||[[파일:FN 에르스탈 로고.svg|width=23]] [[FN 에르스탈|FNH USA]] || [목차] [clearfix] == 개요 == SCAR(특수작전부대용 [[돌격소총]], Special Operations Forces Combat Assault Rifle)는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의 2002년의 강화형 카빈(Enhanced Carbine) 계획 입안부터 정식 운용이 시작되는 2009년까지의 차세대 [[개인화기]] 도입 사업이며, 여기에는 [[FN 에르스탈|FNH USA(현 FN 아메리카)]] 사가 최종 선정되었다. == 역사 == === 경합 이전 === [[파일:ec_schedule 0.png|width=580]] 2002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의 [[XM29 IAWS|OICW]] 전용 [[운동 에너지]] 모듈 기반의 [[H&K XM8|XM8 LARS(경량형 돌격소총, Lightweight Assault Rifle System)]]가 가진 넓은 확장성에 관심을 나타낸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는 성능 상의 한계에 직면한 [[M4 카빈|M4A1]] 대체 목적의 강화형 카빈(Enhanced Carbine)의 도입을 추진하던 중, [[테러와의 전쟁]] 이전부터 기존의 [[SOPMOD|개조]]에 불만을 품고 [[https://books.google.co.kr/books?id=YdKUDwAAQBAJ&pg=PA21&dq=ussocom+confined+space+carbine&hl=ko&sa=X&ved=2ahUKEwi5tMyCmub2AhXbUvUHHcI0CU4Q6AF6BAgKEAI#v=onepage&q=ussocom%20confined%20space%20carbine&f=false|폐쇄공간용 카빈(Confined Spaces Carbine)]] 운용을 주장해온 [[델타 포스|제1특전단 델타 작전분견대(1SFOD-D)]]의 수요를 받아 [[헤클러 운트 코흐|H&K 디펜스(현 H&K USA)]] 사에 외주를 맡긴 [[H&K HK416|HKM4]] 개발로 분리시켰다. [[파일:scr-program_sheet 0.jpg|width=580]] 그대신 같은 시기에 [[미합중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미 육군특수작전사령부(USASOC)]]가 전장에서 얻기 쉬운 [[7.62×39mm]] [[탄약]] 호환 기종을 새로 도입하려는 [[http://demigodllc.com/articles/6.8-mm-spc-cartridge-history-development-hornady-stag-arms-carbine/|SPR-V(특수작전용 파생형 소총, Special Purpose Rifle—Variant)]][* 유력 기종으로 로빈슨 사의 [[스토너 63#로빈슨 아머먼트 M96 Expeditionary|RAV-02]]와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KAC]] 사의 [[KAC SR-47|SR-47]]가 경합을 벌였으나, 알 수 없는 출처에서 생산된 저품질의 탄약이 기능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노획]] 자체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유의미한 결과 없이 취소되었다.] 사업 개념을 통합시키고 [[모듈|모듈식]] 설계의 내외부 부품 교체로 변형이 가능한 SCR(특수작전부대 전투용 소총, Special Operations Forces Combat Rifle) 운용을 결정하였다. 2003년 1월에는 해당 사업을 맡은 크레인 미 해군해상전연구지부(NSWC Crane Division)에서 참여를 원하는 회사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상세한 조건들이 나열된 자료요청서(RFI)를 발행하였으며,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총열]] 변경 기능 * [[탄약]] 지원 기능 * 내부식성 - 최소치 4일, 목표치 10일 * 명중률 - 최소치 300m에서 1.5 [[MOA]], 목표치 400m에서 1 MOA * 점표적 유효사거리 - 최소치 500m, 목표치 600m * 범위표적 유효사거리 - 최소치 600m, 목표치 700m * 연속발사 중 경미한 작동불량 - 최소치 2,000발, 목표치 4,000발 * 연속발사 중 심각한 작동불량 - 최소치 15,000발, 목표치 30,000발 * [[오버홀]] 수명 - 최소치 15,000발, 목표치 90,000발 === 경합 실시 === [[파일:sopmod-scar_roadmap.jpg|width=580]] [[이라크 전쟁]]이 발발한지 얼마 되지않은 2003년 4월, SCAR(특수작전부대용 [[돌격소총]], Special Operations Forces Combat Assault Rifle)로 개칭된 동시에 [[5.56×45mm NATO]] 탄약의 SCAR-L [[돌격소총]] 형태와 [[7.62×51mm NATO]] 탄약의 SCAR-H [[전투소총]] 형태로 나뉨에 따라 [[단축형 총기|단축형 돌격소총]], [[지정사수소총]] 역할 모두를 포괄하는 용도로 그 비중이 보다 높아졌으며, 동년 8월에는 명중률이나 [[총열]] 수명 등의 조건들이 나열된 합동 운용요구서(JORD)가 확립되었다. ||
'''사진''' || '''명칭''' || '''개발''' || '''참고''' || || [[파일:fn-ex16(gen1)_sheet 0.jpg|width=150]] ||[[FN SCAR|SCA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3]] [[FN 에르스탈|FN 에르스탈]][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FNH USA || [[https://fnamerica.com/rifles/fn-scar-series/|최종 선정]] || || [[파일:colt-type(c)_sheet 0.jpg|width=150]] ||Type A~C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콜트(총기회사)|콜트 디펜스]] || [[http://www.smallarmsreview.com/display.article.cfm?idarticles=1623|성능 비교]] || || [[파일:kac-slick_sheet 0a.jpg|width=150]] ||SLICK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 아머먼트]] || [[https://www.thefirearmblog.com/blog/2014/04/02/knights-concept-s-l-i-c-k/|성능 비교]] || || [[파일:cobb-mrc100_sheet 0.jpg|width=150]] ||MC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콥 매뉴팩처링 || [[https://defensereview.com/cobb-scar-candidatemcr-prototype-weapons-at-shot-show-2005/|성능 비교]] || || [[파일:robinson-xcr_sheet 0.jpg|width=150]] ||[[XC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로빈슨 아머먼트 || [[https://robinsonarmament.com/|부품 지각]] || || [[파일:xm8r_profile 0.jpg|width=150]] ||[[H&K XM8|XM8-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헤클러 운트 코흐|헤클러 운트 코흐]][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H&K 디펜스 || [[https://www.thedrive.com/the-war-zone/33228/the-armys-aborted-xm8-starship-troopers-rifle-lived-on-in-the-hands-of-malaysian-frogmen|본체 지각]] || || [[파일:lmt-mrp(qcb)_sheet 0.jpg|width=150]] ||MRP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루이스 머신 & 툴]] || [[https://defensereview.com/lmt-monolithic-rail-platform-mrpquick-change-barrel-system-for-car-15m4a1/|기종 불명]] || ||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디마코 || [[https://gdziewojsko.files.wordpress.com/2011/08/combat_tactics_scar_by_david_crane_fall_2008.pdf|기종 불명]] || ||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아말라이트]] 또는[br][[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IMI|이스라엘 밀리터리 인더스트리]] || [[http://web.archive.org/web/20201124003845/http://looserounds.com/556timeline/556dw-2003/|기종 불명]] || '''주요 조건(H92222-04-R-0001, 2004년 1월~11월)''' * [[모듈|모듈성]] * 상호 변형 기능 * [[FN SCAR|돌격소총형(SCAR-Light)]] - 전장이 최소 76cm에서 최장 85cm 사이, 중량이 3.3kg 이하일 것 * [[Mk.17 SCAR-H|전투소총형(SCAR-Heavy)]] - 전장이 최소 77cm에서 최장 102cm 사이, 중량이 4.1kg 이하일 것 * [[총열]] 교체 기능 * 일반형(Standard) * [[CQB|단축형(Close Quarters Combat)]] * [[지정사수소총|연장형(Sniper Variant)]] * [[유탄발사기]] 간단결속 기능 * [[Mk.13 EGLM|강화형 유탄발사기(Enhanced Grenade Launching Module)]] * [[탄약]] 지원 기능 * [[5.56×45 mm NATO|5.56×45 mm NATO]] * [[7.62×51 mm NATO|7.62×51 mm NATO]] * [[7.62×39 mm M43]] - 취소(시기 불명) * [[6.8 mm#s-3.1|6.8×43 mm 레밍턴 SPC]] - 취소(2007년) * 신뢰성 * 최소 2,000발 연속 발사 중에 1번의 고장 발생, 이상적인 요구치는 8,000발 * 최소 15,000발 이상의 기종 수명 보장, 이상적인 요구치는 90,000발 * 최소 15,000발 이상의 [[총열]] 수명 보장, 이상적인 요구치는 30,000발 * 호환성 * 일반 [[탄약]] * 특수작전기술(SOST) 경기 등급 탄약 * [[SOPMOD|특수작전용 소화기 개조 사업(SOPMOD)]] [[총기 액세서리|보조장비]] 2004년 3월에는 [[SOPMOD|제1차 소화기 개조 사업(SOPMOD Block 1)]] 시기에 독립 기종으로 떨어져 나간 강화형 유탄발사기(EGLM) 사업이 다시 병합되었으며, 동년 6월부터 총 9개 회사의 12개 기종이 약 5개월의 경합을 거쳐[* 제출품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공포탄|공포탄]] 발사용 부착물(BFA) 첨부가 늦어 탈락한 로빈슨 사의 [[XCR]]이나 [[https://www.thedrive.com/content-b/message-editor%2F1588196766481-xm8r.jpg?quality=60|5일]]을 지각해 경쟁의 기회조차 얻지 못한 [[http://www.hkdefense.us/|H&K 디펜스]][[헤클러 운트 코흐|(현 H&K USA)]] 사의 [[H&K XM8|XM8-R]]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년 11월에는 [[FN 에르스탈|FNH USA(현 FN 아메리카)]] 사가 제안한 기종들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아 각각 [[FN SCAR|Ex.16 Mod.0(SCAR-L)]], [[Mk.17 SCAR-H|Ex.17 Mod.0(SCAR-H)]], [[Mk.13 EGLM|Ex.13 Mod.0(EGLM)]] 시험 제식명을 부여받았다. === 경합 이후 === [[파일:scar_highlights.jpg|width=580]] ==== 제1차 심사 ==== [[파일:scar-l_unknown 1.jpg|width=580]] 2004년 12월부터 진행된 1세대형의 시범 운용 전반으로, [[미합중국 국방부|미 국방부]] 제품통합관리팀(IPT)의 검토를 통해 2005년 2월에 총몸과 [[개머리판]] 등에 대폭적인 설계 변경이 결정되었다. ==== 제2차 심사 ==== [[파일:ex16mod0_unknown 0.jpg|width=580]] 2005년 10월부터 진행된 2세대형의 시범 운용 전반으로, 인위 환경 중의 제2차 개발자 단계 시험(DT#2)과 실전 환경 중의 제2차 사용자 단계 시험(OT/EUAs#2)에 따라 자체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찾는데 주안점이 맞추어진 동시에 [[7.62×51mm NATO|Mk.316 Mod.0]] [[탄약]] 호환을 위해 개량된 [[Mk.17 SCAR-H|Ex.17 Mod.0]]의 저격용 파생형(SV)이 [[Mk.20 SCAR-SSR|분리]]되기도 했다. ==== 제3차 심사 ==== [[파일:mk17mod0(converted)_75rr 0.jpg|width=580]] 2006년 6월부터 본격적인 양산(FRP)에 돌입한 2008년 2월까지 진행된 3세대형의 시범 운용 전반으로, 2007년 7월에는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이 자체 시행한 사막 환경 중에서 총 60,000발을 발사하여 고장 횟수를 따지는 신뢰성 비교 실험에 Ex.16 Mod.0가 제출되어 [[M4 카빈|M4]], [[H&K HK416|HK416D]], [[H&K XM8|XM8]]과의 경쟁에서 2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초도생산품(LRIP) 평가도 큰 문제없이 끝나면서 정식 제식명인 Mk.16 Mod.0, Mk.17 Mod.0, Mk.13 Mod.0으로 바뀌었다. 2009년 4월의 제식화 이후인 2010년 6월에 들어서는 [[SOPMOD|제2차 개조]]를 거친 [[M4 카빈|M4A1]]과의 성능적인 우위를 내지 못한 [[FN SCAR|Mk.16 Mod.0]]의 도입이 결국 취소되어 2011년 12월에 개별적으로 구매한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을 제외한 타군에서는 [[5.56×45mm NATO]] 전환용 부품을 포함한 [[Mk.17 SCAR-H|Mk.17 Mod.0]], [[Mk.20 SCAR-SSR|Mk.20 Mod.0]], [[Mk.13 EGLM|Mk.13 Mod.0]] 만이 운용되고 있다. == 출처 == === [[웹사이트]] ===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ground/scar.htm]] * [[https://en.wikipedia.org/wiki/FN_SCAR]] * [[https://fnamerica.com/why-the-fn-scar/]] * [[https://www.americanrifleman.org/articles/2011/2/17/the-scar-program-present-and-future/]] * [[http://www.defensereview.com/defrev-exlusive-fn-scar-update-navseanswc-crane-division-and-fnh-tri-folds/]] * [[https://www.ar15.com/forums/general/Why_SOCOM_Initially_Chose_the_FN_SCAR_over_the_Colt_Type_C_SCAR/5-1957909/]] * [[http://pewpewpew.work/fn/scar/scar.htm]] === [[PDF]] ===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5/smallarms/thursday/smith.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6/smallarms/smith.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7/smallarms/5_8_07/Smith_400pm.pdf]] * [[https://gdziewojsko.files.wordpress.com/2011/08/combat_tactics_scar_by_david_crane_fall_2008.pdf]] == 관련 문서 == * [[미군/장비/보병 무기/관련 사업]] [[분류:미군]][[분류:군사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