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변이 및 변종]] [include(틀:상위 문서, top1=SARS-CoV-2/변이 및 변종)] [include(틀: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SARS-CoV-2에 있는 아미노산 변이 목록이다. == 변이될 경우 위험할 수 있는 아미노산 == || 목록 || 비고 || || '''484''' || || || '''417''' || || || '''439''' || || || 440 || || || 444 || || || 446 || || || 450 || || || 452 || || || 453 || || || 477 || || || '''478''' || || || 486 || || || 490 || || || '''493''' || || || '''494''' || || == 백신 회피 증폭 돌연변이 == || 목록 || 특징 || 비고 || || '''K417N''' || 417번째 아미노산인 [[라이신]](K)이 [[아스파라긴]](N)으로 변이 || || === K417N === 417번째 아미노산인 [[라이신]](K)이 [[아스파라긴]](N)으로 변이 소량의 면역 회피 기능이 있으며 다른 백신 회피 변이와 같이 있으면 백신의 효과를 크게 깎거나 무력화시킨다. 다만 다행히도 '''현재까지는 E484K, E484A와의 조합만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기에'''[* E484K, N501Y만 있는 P.3, 그리고 E484K, N501Y, K417T가 있는 P.1, L452R과 K417N이 있는 [[B.1.617.2.1]]도 백신을 무력화시키지 못했다. 심지어 [[B.1.617.2.1]]은 [[B.1.617.2]]와 백신 저항성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리고 화이자 백신의 중화항체 역가도 B.1.351보다 P.1이 훨씬 높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 K417N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351]] || || || [[P.1]] 중 K417N이 들어간 특정 변이 || [[P.1]] 중 매우 드물게 나타남 || || [[B.1.617.2.1]] || || || [[B.1.1.529]] || '''발견된 변이 중 전염성이 가장 높은 변이'''/'''현재 코로나19 지배 변이''' ||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 목록 || 특징 || 비고 || || '''E484K''' || 484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E)이 [[라이신]](K)으로 변이 || 중대 변이에 해당 || || '''T478R''' || 478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T)이 [[아르기닌]](R)으로 변이 || || || '''N439K''' || 439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라이신]](K)으로 변이 || || || N440K || 440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라이신]](K)으로 변이 || || || G446S || 446번째 아미노산인 [[글리신]](G)이 [[세린]](S)으로 변이 || || || L452R || 452번째 아미노산인 [[류신]](L)이 [[아르기닌]](R)으로 변이 || || || S477N || 477번째 아미노산인 [[세린]](S)이 [[아스파라긴]](N)으로 변이 || || || E484Q || 484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E)이 [[글루타민]](Q)으로 변이 || || || L452Q || 452번째 아미노산인 [[류신]](L)이 [[글루타민]](Q)으로 변이 || || || S494P || 494번째 아미노산인 [[세린]](S)이 [[프롤린]](P)으로 변이. || || || '''E484A''' || 484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탐산]](E)이 [[알라닌]](A)으로 변이. || || || '''Q493R''' || 493번째 아미노산인 [[글루타민]](Q)이 [[아르기닌]](R)으로 변이. || || || R346K || 346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R)이 [[라이신]](K)으로 변이. || || || R346S || 346번째 아미노산인 [[아르기닌]](R)이 [[세린]](S)으로 변이. || || || Y449N || 449번째 아미노산인 [[티로신]](Y)이 [[아스파라긴]](N)으로 변이. || || 400번대 아미노산에서 발생한 변이가 대체로 위험한 것으로 보인다. === E484K === 가장 유명한 백신 회피 변이 면역 회피 강도가 강해서 매우 우려되는 변이이다. || E484K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351]] || || || [[P.1]] || || || [[B.1.525]] || || || [[B.1.526]] || || || [[B.1.618]] || || || [[B.1.619]] || || || [[B.1.620]] || || || [[P.2]] || || || [[P.3]] || || || [[B.1.1.7]]+E484K || || || [[A.VOI.V2]] || || || [[AV.1]] || || || [[B.1.621]] || || || [[B.1.1.523]] || || || [[B.1.640.2]] || || === T478R === 478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T)이 [[아르기닌]](R)으로 변이 강한 백신 회피 능력을 가진 변이이다. T478K, T478R 변이의 관계는 K417T, K417N 변이와 비슷한데 K417N, T478R 변이는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대신 백신 회피 강도가 강하며[* K417N의 경우 백신 회피 증폭 강도가 강함] K417T, T478K 변이는 백신 회피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K417T의 경우 백신 회피 증폭 강도가 약하다.] 전파력이 강하다. P681R과 같이 있으면 T478K만큼은 아니지만 전염성을 크게 높일 가능성이 높다. || T478R이 있는 변이 || 비고 || || [[A.VOI.V2]] || || || [[B.1.617.2]] 중 소수 || || || [[B.1.630]] || || === N439K === 439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라이신]](K)으로 변이. 강한 백신 회피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때 제2의 E484K 변이로 주목받았던 변이이다. 그러나 생각보다 많이 퍼지지 않았다. || N439K가 있는 변이 || 비고 || || [[AV.1]] || || === N440K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N440K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619]] || || || [[B.1.1.529]] || || === G446S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G446S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1.529]] || || === L452R === 백신 회피 돌연변이이며 ACE2 수용체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전파 능력도 동시에 향상시킨다. || L452R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617.1]] || || || [[B.1.617.2]] || '''가장 치명적인 변이''' || || [[B.1.617.3]] || || || [[B.1.617.2.1]] || || || [[B.1.427]] || || || [[B.1.429]] || || || [[P.4]] || || || [[B.1.630]] || || || [[B.1.633]] || || === S477N === 백신 회피 돌연변이 E484K, E484Q보다 백신 회피 강도가 약하다. || S477N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526.2]] || || || [[B.1.620]] || || || [[B.1.1.529]] || || === E484Q === 백신 회피 돌연변이 E484K보다는 면역 회피 강도가 약하지만 백신 회피 돌연변이 중에서는 강한 편이다. || E484Q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617.1]] || || || [[B.1.617.3]] || || || [[B.1.630]] || || === L452Q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L452Q가 있는 변이 || 비고 || || [[C.37]] || || === S494P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S494P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1.7]]+S494P || || || [[B.1.1.523]] || || === E484A === 백신 회피 돌연변이 E484K보다는 면역 회피 강도가 약하지만 E484Q보다 강하다. || E484A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1.529]] || || || [[B.1.633]] || || === Q493R === 백신 회피 돌연변이 강한 백신 저항성을 가진 변이이다. || Q493R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1.529]] || || === R346K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R346K가 있는 변이 || 비고 || || [[A.VOI.V2]] || || || [[B.1.621]] || || === R346S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R346S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640.2]] || || === Y449N === 백신 회피 돌연변이 || Y449N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640.2]] || || == 우려 돌연변이 == || 목록 || 특징 || 비고 || || K417T || 417번째 아미노산인 [[라이신]](K)이 [[트레오닌]](T)으로 변이 || 경우에 따라 백신 회피 증폭 변이가 될 수 있다.[* 얀센 백신의 중화항체 역가 확인 결과 중화항체 역가가 K417N이 있는 변이와 비슷함, [[B.1.351]]은 68, [[P.1]]은 72(1회 접종 기준)] || || T478K || 478번째 아미노산인 [[트레오닌]](T)이 [[라이신]](K)으로 변이 || 경우에 따라 백신 회피 변이가 될 수 있다. || || F490S || 490번째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F)이 [[세린]](S)으로 변이 || 경우에 따라 백신 회피 변이가 될 수 있다. || || N501S || 501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세린]](S)으로 변이 || || || N501Y || 501번째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N)이 [[티로신]](Y)으로 변이 || || || P681H || 681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이 [[히스티딘]](H)으로 변이 || || || P681R || 681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이 [[아르기닌]](R)으로 변이 || || || A701V || 701번째 아미노산인 [[알라닌]](A)이 [[발린]](V)으로 변이 || || === K417T === K417N보다 전파력이 강하지만 K417N보다 백신 회피 효과 증폭 강도가 낮다. || K417T가 있는 변이 || 비고 || || [[P.1]] || || === T478K === T478R보다 전파력이 강하지만 T478R보다 백신 회피 강도가 낮다. 이 변이와 P681R 조합이 매우 악명높다고 한다. || T478K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617.2]] || || || [[B.1.617.2.1]] || || || [[B.1.1.529]] || || || [[B.1.633]] || || === F490S === || F490S가 있는 변이 || 비고 || || [[C.37]] || || || [[B.1.640.2]] || || === N501S === || N501S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617.2]]+N501S || || === N501Y ===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이 세포에 침투하는 데 표적으로 삼는 '안지오텐신2(ACE2)' 수용체 단백질과의 결합을 더 강하게 만든다. || N501Y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1.7]] || || || [[B.1.351]] || || || [[P.1]] || || || [[P.3]] || || || [[B.1.621]] || || || [[B.1.1.529]] || || || [[B.1.640.2]] || || === P681H === 전염성을 증가시키는 변이이나 P681R보다 약하다. || P681H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1.7]] || || || [[P.3]] || || || [[B.1.1.207]] || || || [[B.1.1.620]] || || || [[B.1.621]] || || || [[A.VOI.V2]] || || || [[AV.1]] || || || [[B.1.1.529]] || || || [[B.1.640.2]] || || === P681R === P681H보다 전파력이 강하다. T478K와의 궁합은 전파속도를 기하급수적으로 상승시킨다. 델타 변이의 전염성이 강했던 이유이다. || P681R이 있는 변이 || 비고 || || [[B.1.617.1]] || || || [[B.1.617.2]] || || || [[B.1.617.2.1]] || || || [[B.1.633]] || || === A701V === || A701V가 있는 변이 || 비고 || || [[B.1.351]] || || || [[B.1.526]] || || == 일반적인 돌연변이 == || 목록 || 특징 || 비고 || || D614G || 614번째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D)이 [[글리신]](G)으로 변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