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fff '''Rust Never Sleeps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5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51,연도2=2020,순위2=296)]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189, 연도=1998, 순위2=240,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652)]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498)]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1978~1999))] }}} || ||<-2><#000000> '''{{{#ffffff {{{+1 Rust Never Sleep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Rust Never Sleeps.webp|width=100%]]}}} || || '''발매일''' ||[[1979년]] [[6월 22일]] || || '''녹음일''' ||[[1976년]] - [[1978년]] || || '''장르''' ||[[포크 록]], [[컨트리 록]], [[하드 록]], 프로토 그런지 || || '''재생 시간''' ||38:16 || || '''곡 수''' ||9곡 || || '''프로듀서''' ||[[닐 영]], 데이비드 브릭스, 팀 뮬리건 || || '''레이블''' ||리프라이스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79년]] 발매된 [[닐 영]]과 백밴드 크레이지 호스의 [[라이브 앨범]]. == 상세 == 이 음반은 1978년 영의 "Rust Never Sleeps" 투어에서 녹음되었으며, 나중에 오버더빙이 추가되었다. 콘서트 투어는 Side 1에 수록된 솔로 어쿠스틱 세트와 영의 백밴드 크레이지 호스와 함께한 Side 2의 일렉트릭 세트로 나뉘었다. 일렉트릭 세트는 1970년대 후반 유행하던 [[펑크 록]]의 영향을 받았으며, [[포크 음악]]에서 영감을 받은 조용한 이전 앨범 Comes a Time과는 확연한 대조를 이루었다. 라이브 앨범이지만 기존 곡은 하나도 연주하지 않고 모두 신곡을 수록했으며, 이 때문에 대부분의 팬들과 평론가들은 이 앨범을 실질적으로 닐 영의 정규 앨범 중 하나로 본다. 같은 해에 쌍둥이 격의 라이브 앨범인 "Live Rust"도 발매되었으며 Live Rust에는 신곡들이 아닌 기존 곡들의 라이브가 실려 있다. 이 앨범도 명반으로 꼽힌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rust-never-sleeps-mw0000104616, 점수=★★★★★)]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227.htm, 순위=1979년 4위 / 1970년대 51위 / 올타임 158위)] '''[[록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라이브 앨범''' 중 하나이며, '''[[그런지]]의 효시'''를 날린 앨범으로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매체에서 큰 호평을 내렸으며 주간지 빌리지보이스는 닐 영이 [[밥 딜런]], [[밴 모리슨]]과 함께 성공적으로 변신을 감행하며 그의 시대를 살아간 몇 안 되는 뮤지션 가운데 한 명이라는 평과 함께 ‘Artist Of The Decade’ 부문 후보로 올렸다. 곡들의 퀄리티와 연주 모두 훌륭하며, 앞면의 어쿠스틱 곡들도 뛰어나지만 뒷면의 강력한 하드 록 곡들이 특히 높은 평가를 받는다. 라이브 앨범인데도 불구하고 닐 영의 최고 명반들인 [[After the Gold Rush]], [[Harvest(음반)|Harvest]] 등에 꿀리지 않는다는 평을 받으며 닐 영의 베스트 앨범 중 하나로 꼽힌다.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에서 158위에 올랐는데 이는 60위에 오른 After the Gold Rush, 102위에 오른 Harvest 다음으로 높은 순위이다. == 트랙 리스트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작사 / 작곡'''}}} || {{{#ffffff '''재생 시간'''}}} || ||<-5> '''Side A''' || || 1 || My My, Hey Hey (Out of the Blue) || [[닐 영]], 제프 블랙번 || 3:45 || || 2 || Thrasher ||<|4> [[닐 영]] || 5:38 || || 3 || Ride My Llama || 2:29 || || 4 || Pocahontas || 3:22 || || 5 || Sail Away || 3:46 || ||<-5> '''Side B''' || || 6 || Powderfinger ||<|4> [[닐 영]] || 5:30 || || 7 || Welfare Mothers || 3:48 || || 8 || Sedan Delivery || 4:40 || || 9 || [[Hey Hey, My My (Into the Black)]] || 5:18 || === Side A === ==== My My, Hey Hey (Out of the Blue) ==== [Youtube(i6RZY4Ar3fw)] * 밑의 Hey Hey, My My (Into the Black)의 쌍둥이 곡으로 가사는 거의 같지만 어쿠스틱으로 연주됐다. ==== Thrasher ==== [Youtube(HOgSTD7Kjrw)] ==== Ride My Llama ==== [Youtube(GMC3DjAFQEs)] ==== Pocahontas ==== [Youtube(p13gx9wnNBc)] ==== Sail Away ==== [Youtube(ECU0AliS_cU)] === Side B === ==== Powderfinger ==== [Youtube(tdPs5YXQTSw)] ==== Welfare Mothers ==== [Youtube(pRgPL7WAdLs)] ==== Sedan Delivery ==== [Youtube(HkEXfVsQpUQ)] ==== [[Hey Hey, My My (Into the Black)]] ==== [Youtube(331kyZ9OXMc)] * 항목 참조. [[분류:닐 영]][[분류:1979년 음반]][[분류:캐나다의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라이브 앨범]][[분류:포크 록]][[분류:컨트리 록]][[분류:하드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