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 {{{+1 Run the Jewels}}}[* a.k.a. RTJ][br]런 더 주얼스}}}'''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알티제이.jpg|width=100%]]}}} || ||<-2> {{{#fff '''킬러 마이크'''[br]{{{-2 Killer Mike}}}}}} || {{{#fff '''엘-피'''[br]{{{-2 El-P}}}}}} || || '''결성'''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활동 시기''' ||<-2>[[2013년]] ~ [[현재]] || || '''장르''' ||<-2>[[힙합 음악|힙합]], 폴리티컬 힙합[* 정치적인 내용을 다루는 힙합] || || '''레이블''' ||<-2>Jewel Runners, BMG, Mass Appeal, Fool's Gold, Big Dada, Definitive Jux || || '''링크''' ||<-2>[[https://runthejewels.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runthejewe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therealrunthejewel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veumRTn2o--9j1Xz2KUC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https://twitter.com/runjewel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5&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래퍼이자 프로듀서 엘피(El-P)와 래퍼 킬러 마이크(Killer Mike)가 2013년 결성한 힙합 듀오. == 상세 == "Pistol & Fist", 말 그대로 권총과 주먹이라는 양손 제스처를 심볼로 사용한다. 킬러 마이크의 다섯번째 앨범 ''R.A.P. Music''에서 프로듀서로 참여했던 엘피가 의기투합하면서 결성되었다. 현재까지 4개의 스튜디오 앨범을 냈다. 4개 앨범 모두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그 중 2집은 힙합 클래식에 비견될 만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최신작인 4집 역시 압도적인 평가를 받으며 2020년 최고의 랩 앨범 중 하나로 등극했다.[* 2집보다 4집을 더 높게 치는 팬들도 있을 정도이다.]또한 모든 정규 앨범을 무료 공개하고 있다.[* Instrumental도 항상 무료로 공개되고 있다.] 내려받기 위한 조건은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하는 것. 크게 한국 리스너들이 알 법한 활동은 크게 안해서 한국에서의 인지도 자체가 높지는 않지만, 현지에서는 결성 당시부터 큰 화제가 되었다.[* 두 멤버 모두 2000년대부터 커리어를 시작했고, 결성 이전부터 개인 정규 앨범도 여러 장 있는 미국 인디 힙합의 베테랑들이다. 특히 El-P는 이전부터 컴퍼니 플로우 활동을 비롯해 앱스트랙 힙합 프로듀서로의 명성이 꽤나 높은 편이었다.] 국내에는 외힙 팬덤이 크지 않아 그리 유명하진 않지만 hiphople 등지의 외힙 팬덤 사이에서는 이들의 앨범이 이미 믿고 듣는 앨범으로 정평이 나 있다. 각각 솔로 음반을 내고 난 뒤의 꾸준한 공연 활동 및 간헐적인 피쳐링 등으로 팬 및 마니아들에게는 확고한 충성도를 자랑하고 있다. [[DJ Shadow]]의 곡 Nobody Speak에 참여한 곡도 상당히 좋은 평을 받고있다. 그 외에는 무수한 공연 활동으로 두텁게 팬층을 쌓아가는 중이다. 영화 [[블랙 팬서]]의 트레일러에 쓰인 곡 "Legend Has It"덕분에 이들도 홍보 효과를 누리고 있다. == 앨범 목록 == 앨범들은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싱글은 굵은 글씨로 표기한다. === Run The Jewels (2013) === ||<-2> '''{{{#04B4AE ''{{{+1 Run The Jewel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런더쥬얼스1집.jpg|width=100%]]}}} || ||<-2> '''{{{#04B4AE 발매 : 2013. 6. 26.}}}''' || || '''트랙''' || '''제목''' || || 1 || Run The Jewels || || 2 || Banana Clipper[br]{{{-2 (feat. [[Big Boi]])}}} || || 3 || '''36" Chain''' || || 4 || DDFH || || 5 || Sea Legs || || 6 || Job Well Done[br]{{{-2 (Feat. Until the Ribbon Breaks)}}} || || 7 || No Come Down || || 8 || Get it || || 9 || Twin Hype Back[br]{{{-2 (Feat. Prince Paul , Chest Rockwell)}}} || || 10 || A Christmas Fucking Miracle || |||| {{{#04B4AE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유럽 & 일본 스페셜 에디션 보너스 트랙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TJ디럭스.jpg|width=96%]]}}}}}}}}}}}} || || 11 || Pew Pew Pew[br]{{{-2 (feat. DJ Qbert)}}} || || 12 || Sea Legs[br]{{{-2 (Dave Sitek remix)}}} || || 13 || 36" Chain[br]{{{-2 (BSBD remix)}}} || === [[Run The Jewels 2]] (201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Run The Jewels 2)] ||<-2> '''{{{#F0CB3E ''{{{+1 Run The Jewels 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https___images.genius.com_94c83514d5589ff98ec3194ba5a694d1.1000x1000x1.jpg|width=100%]]}}} || ||<-2> '''{{{#F0CB3E 발매 : 2014. 10. 28.}}}''' || || '''트랙''' || '''제목''' || || 1 || Jeopardy || || 2 || '''Oh My Darling Don't Cry''' || || 3 || '''Blockbuster Night, Pt. 1''' || || 4 || '''Close Your Eyes (And Count To Fuck)'''[br]{{{-2 (feat.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Zack De La Rocha]]) }}} || || 5 || All My Life || || 6 || Lie, Cheat, Steal || || 7 || Early[br]{{{-2 (feat. BOOTS) }}} || || 8 || All Due Respect[br]{{{-2 (feat. [[Travis Barker]]) }}} || || 9 || Love Again (Akinyele Back)[br]{{{-2 (feat. [[Three 6 Mafia|Gangsta Boo]]) }}} || || 10 || Crown[br]{{{-2 (feat. Diane Coffee) }}} || || 11 || Angel Duster || ||<-2> '''{{{#F0CB3E 일본 & [[iTunes|{{{#F0CB3E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 || || 12 || Blockbuster Night, Pt. 2[br]{{{-2 (feat. Despot and Wiki)}}} || === Run The Jewels 3 (2016) === ||<-2> '''{{{#F3D45F ''{{{+1 Run The Jewels 3}}}''}}}'''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런더쥬얼스3집.jpg|width=100%]]}}} || ||<-2> '''{{{#ff0 발매 : 2016. 12. 24.}}}''' || || '''트랙''' || '''제목''' || || 1 || Down || || 2 || '''Talk to Me''' || || 3 || '''Legend Has It'''[* [[블랙 팬서]]의 예고편 주제가이다.] || || 4 || Call Ticketron || || 5 || Hey Kids (Bumaye)[br]{{{-2 (feat. [[Danny Brown]]) }}} || || 6 || Stay Gold || || 7 || Don't Get Captured || || 8 || Thieves! (Screamed the Ghost)[br]{{{-2 (feat. Tunde Adebimpe)}}} || || 9 || '''2100'''[br]{{{-2 (feat. BOOTS)}}} || || 10 || Panther Like a Panther (Miracle Mix)[br]{{{-2 (feat. Trina)}}} || || 11 || Everybody Stay Calm || || 12 || Oh Mama || || 13 || Thursday in the Danger Room[br]{{{-2 (feat. Kamasi Washington)}}} || || 14 || A Report to the Shareholders" / "Kill Your Masters || ||<-2> '''{{{#ff0 일본 보너스 트랙}}}''' || || 15 || Call Ticketron (instrumental version) || || 16 || Legend Has It[br]{{{-2 (TOYOMU remix)}}} || === RTJ4 (2020)[* 발매 예정일이었던 6월 5일보다 하루 일찍 공개했다. 이유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때문이라고 한다.] === ||<-2> '''{{{#E38E19 ''{{{+1 RTJ4}}}''}}}'''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런더쥬얼스4집.jpg|width=100%]]}}} || ||<-2> '''{{{#E38E19 발매 : 2020. 6. 4.}}}'''[*발매] || || '''트랙''' || '''제목''' || || 1 || '''Yankee and the Brave (Ep. 4)''' || || 2 || '''Ooh La La'''[br]{{{-2 (Feat. Greg Nice , [[DJ Premier]])}}} || || 3 || Out of Sight[br]{{{-2 (feat. [[2 Chainz]])}}} || || 4 || Holy Calamafuck || || 5 || Goonies vs. E.T || || 6 || Walking in the Snow || || 7 || '''JU$T'''[br]{{{-2 (feat. [[Pharrell Williams]]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Zack De La Rocha]])}}} || || 8 || Never Look Back || || 9 || The Ground Below || || 10 || Pulling the Pin[br]{{{-2 (feat. Mavis Staples , Josh Homme)}}} || || 11 || A Few Words for the Firing Squad (Radiation) || |||| {{{#000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디럭스 에디션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RTJ4디럭스.jpg|width=96%]]}}}}}}}}}}}} || || 12 || '''ooh la la'''[br]{{{-2 (Remix) (feat. DJ Premier, Greg Nice, [[Lil Wayne]])}}} || || 13 || '''JU$T'''[br]{{{-2 (What So Not Remix) (feat. Pharrell Williams, Zack de la Rocha)}}} || || 14 || '''No Save Point'''[br]{{{-2 (From “Cyberpunk 2077”)}}} || || 15 || '''the ground below'''[br]{{{-2 [Royal Jewels Mix] (feat. Royal Blood)}}} || 디럭스 버전에는 Instrumental도 같이 수록되어 있다. == 여담 == * 킬러 마이크는 이전부터 행동파 뮤지션으로 유명했고, 이번 시위에서도 애틀랜타의 시위에 직접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엘-피 역시 킬러 마이크 수준의 행동파는 아니더라도 정치적인 메시지가 담긴 곡을 내놓는 걸로 유명하다.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두 멤버 모두 민주당의 [[버니 샌더스]]를 지지했다. * [[어덜트 스윔]]에서 R.T.J 3집의 'Oh Mama'를 [[릭 앤 모티]]의 홍보 뮤직 비디오에 사용했다. [youtube(EBYsx1QWF9A)] [[분류:남성 힙합 듀오]][[분류:2013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폴리티컬 힙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