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RouteNote-header.jpg]] [[https://routenote.com/|Routenote.com]] [[https://blog.naver.com/routenote/222874675017|루트노트 한국 블로그]] [목차] == 개요 == 루트노트(RouteNote)는 2008년 설립된 [[영국]]의 음원 유통사 기업으로, 인디 음악가들과 레이블들이 자신의 음악을 세계적인 디지털 음원 플랫폼들에 쉽게 배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첫 앨범부터 무료로 배포 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전 세계 수많은 아티스트와 레이블들에게 알려져 있다. == 서비스 특징 == 루트노트의 주요 서비스는 음악 배급 및 저작권 관리다. 이를 통해 독립 음악가들이 음원을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Spotify, Apple Music, Amazon Music, Google Play Music 등 글로벌 음원 플랫폼에서 음악을 찾아들을 수 있게 된다. 독특한 점으로는 최초 음원 등록 비용이 무료라는 점. 대신 매달 수익에서 15%를 떼어가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국내 음원 유통사들의 경우 --등록비도 받고 수익에서 떼어가는 비중은 30~40%을 넘어가는 곳이 대부분--[*1 국내 음원유통사들도 15~20%의 유통수수료를 받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다.]임을 감안해볼 때 창작자 입장에선 매우 좋은 혜택이라 할 수 있다(게다가 여기는 발매 대상이 전세계다.). 개인 음악인한테 아주 좋은 서비스다. '''앨범 발매 시에 Free Distribution과 Premium Distribution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routenote/222663834979|자료 출처]]''' Free Distribution은 위에 앨범 등록비 무료, 수익에서 15%를 공제하는 정책을 말한다. Premium Distribution은 앨범의 수록곡 개수에 따라 최초 등록비를 내고, 연간 9.99달러를 지불한다. 수익은 100% 지급된다. Premium Distribution 최초 등록비는 다음과 같다. ・ 싱글(1트랙): $10 ・ EP(2~6개 트랙): $20 ・ Album(7~18개 트랙): $30 ・ Extended Album(19곡 이상): $45 ・ 후에 연간 연간 $9.99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https://blog.naver.com/routenote/222973516321|블로그 글]]을 참고 해보자. '''두가지 플렌 모두 공통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무손실 오디오 업로드 ・ 각 릴리스에서 생성되는 무료 ISRC 및 UPC (앨범을 관리하는 국제 표준 코드) ・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아이튠즈, 아마존뮤직, 유튜브뮤직, Deezer, TIDAL과 같은 동일한 스토어와 스트리밍 서비스 ・ 유튜브 콘텐츠 ID,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사운드클라우드, 틱톡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동일한 수익 창출 툴 사용 ・ Fan Links, Pre-save 및 Content Unlocks와 같은 PUSH.fm 마케팅 툴 ・ 빠른 조정과 지원 시간 동일 ・ 상세 통계 자료를 통해 각 플랫폼에서 릴리스별로 얻은 스트리밍, 다운로드 및 수익을 정확하게 확인 ・ 음악에 대한 100%의 권리와 언제든지 해지 가능 수익금 15% 이상을 떼어가는 일은 없으며 Free Distribution의 조건이 대단히 파격적인 것은 분명하니 음원을 발매할 계획이 있는 창작자라면 이곳에서 Free Distribution을 선택하여 발매를 시작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각 나라마다 언어를 다르게 낼 수 있는 로컬라이징 기능도 추가가 되었다. 뮤지션을 처음 대뷔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티클이 다양하다. [[https://support.routenote.com/|서포트 허브]]를 통해 음악 시장의 전반에 대한 질문 사항을 방대하게 정리를 해놓았다. [[https://support.routenote.com/|블로그]] 글도 꾸준히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 == 수익정산 및 데이터 확인 == 루트노트는 사용자 계정에 로그인하면 사용자의 대시보드에서 수익 정산을 확인할 수 있다. 약 2달 기준으로 업데이트가 된다. 대시보드에서는 아티스트들의 음악 판매 수익, 스트리밍 수익, 다운로드 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엑셀로도 데이터를 뽑을 수 있기 때문에 플랫폼별, 국가별, 기간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수익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분석 해볼 수 있다[* 루트노트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는 무료발매 기준 15%가 떼어진 이후의 금액을 표기한다.]. 추가적으로 마케팅 전략을 세우거나, 음악 활동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 최소 50$이상이 누적으로 정산금이 모여야 받을 수 있다. 주로 [[PayPal]]로 분배하고 있으며[[https://blog.naver.com/routenote/222995083821|참고 링크1]], 사이트에서 은행계좌로 정산을 신청하는 폼을 따로 받고 있기도 하다. [[https://blog.naver.com/routenote/223070276323|참고 링크2]] 최근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routenote.app&hl=ko|핸드폰 어플리케이션]] 이 출시하였기 때문에 긴단하게 스트리밍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다. == 한국에서 주목 할 만한 점 == 한국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멜론, 네이버 음악(VIBE), 벅스!, FLO, GENIE[* 한국지사에 문의를 하면 발매를 도와준다.]로 유통할 수 있다는 것.''' 음반 유통 서비스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신뢰받는 [[DistroKid]]로는[* 매년 20달러로 가입할 수 있는데, 속도만큼은 기업 내에서 최고라서 앨범을 입력하면 1-2일만에 도착한다.] 이 상점들로 유통할 수가 없어서 한국에서는 국내 발매를 위해 다른 유통사를 추가로 사용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창작자가 자기 음원을 바탕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것으로도 유명한데, 유튜브나 사운드 클라우드 등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도와주며 모든 발매 음원에 국제 표준 번호를 부여해 유튜브(Youtube Network, CID) 등에서 자신의 음원이 사용될 시 저작권료를 대신해서 징수해 지급해주는 것 역시 큰 장점이다. == 비슷한 서비스 == 해외에 비슷한 사이트는 [[DistroKid]], [[https://www.amuse.io/|Amuse]], --[[https://cdbaby.com/|CdBaby]]--[* 사기 논란이있음], [[TuneCore]]가 있다. 국내에 비슷한 서비스는 [[mixtape.]]와 [[https://musicspray.net/|MusicSpray]]가 있다. == 파트너 == 앨범을 발매하면 유통되는 사이트이다. '''국내''' * [[멜론(음원 서비스)]] * [[벅스(음원 서비스)]] * [[FLO]] * [[네이버 VIBE]] * [[지니뮤직]] '''해외''' * RN Direct * [[YouTube]] CID (유트브에서 음원 정산을 받을 수 있는 라이브러리 시스템, 유트브 뮤직과는 다르다.) * '''[[iTunes]]''' * '''[[아마존 뮤직]]''' * eMUSIC * '''[[Spotify]]''' * '''[[YouTube Music]]''' * Anghami * '''[[Deezer]]''' * '''WiMp/[[TIDAL]]''' * Claro-musica * Nuuday * [[SoundCloud]] * Gracenote * Kanjian * Pandora * [[napster]] * iHeartRadio * 7Digital * Saavn * '''Facebook, Instagram''' * Netease * '''[[Tencent]]''' * '''[[AWA]]''' * '''[[TikTok]]''' * Kuack Media * Qobuz * KKBOX * Zing MP3 * Joox * Hungama * Boomplay [[분류:영국의 음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