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Roland)] [include(틀:Roland 신디사이저)] [목차] == 개요 == [[Roland]]의 [[신디사이저]] 시리즈. == 모델 목록 == === 1990년대 === ==== JD-800 ==== [[파일:Roland JD-800.jpg]] [[1991년]] 발매. 61건반 형태의 디지털 신디사이저. * 1991년 카탈로그 [[http://www.denhaku.com/91/jd800_1.jpg|#1]] [[http://www.denhaku.com/91/jd800_2.jpg|#2]] [[http://www.denhaku.com/91/jd800_3.jpg|#3]] [[http://www.denhaku.com/91/jd800_4.jpg|#4]] [[http://www.denhaku.com/91/jd800_5.jpg|#5]] [[http://www.denhaku.com/91/jd800_6.jpg|#6]] [[Roland/D시리즈#s-2.1|D-50]]에서 사용되었던 Linear arithmetic(LA) 합성 방식을 사용하며, 멀티 모드 필터가 탑재되어 있다. 당시 판매되었던 디지털 신디사이저 중 드물게 에디팅을 위한 슬라이드와 노브를 갖추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특히 [[ADSR 엔벨로프]][* 사실 70년대 초기때부터 롤랜드를 포함한 일본기업들이 투입되었다. 다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려놓은 것은 JD-800부터 나왔다.]의 핵심적인 부분만 정리해서 이해하기 쉽게 투입했다. 또한 내장 사운드는 Roland 신디사이저중 처음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R & D-LA에서 개발되었으며, 전체적인 사운드와 기본 음색은 사운드 디자이너 에릭 펄싱[* 이후 Keyscape, Omnisphere로 유명한 가상악기 회사 Spectrasonics를 창립한 인물이다. 그래서 인지 Keyscape에 JD-800의 EP사운드가 내장되어 있다.]이 제작했다. 사실 [[신디사이저]]로써 성능도 좋지만 가장 큰 특징은 JD시리즈만의 특유의 피아노 (53 Ac.Piano 1) 소리다. 처음에는 날카로우면서 뒷소리는 달달하면서 부드럽다. 특징이 뚜렷하며 지금까지 들어도 일본에서 전설적인 명기로 취급한다.[* 이 특징으로 인해 [[야마하]] 플레이어들이 롤랜드로 전향한 대표적인 사용자 예로 [[코무로 테츠야]], [[아사쿠라 다이스케]]가 있다. 이 둘은 한 때 야마하를 대표하는 일본 엔도서였다.] 30여년이 지난 후에도 뒤떨어지지 않는 사운드다. JD이후의 발매하는 롤랜드의 신디사이저들도 이것도 JD피아노를 살짝 변화시켜서 내장하기도 하고 한때 라이벌이었던 야마하에서도 EOS시리즈에 내장되어있었다.[* 사실 코무로나 아사쿠라에게 맞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그런듯--정작 본인들을 별로 사용한적 없지만-- 게다가 JD뿐만이 아니라 [[엔소닉|Ensoniq]] VFX의 음색도 들어있었다.] [[Roland/JV시리즈#s-2.8|JV-1080]]과 함께 90년대 [[Roland]]를 대표하는 신디사이저로, 유럽에서는 명기로 평가 받고 았으며, 특히 자국인 일본에서도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중고로 살 생각을 포기하는 게 좋다. 왜냐하면 외국과 달리 판매량도 안 좋고 중고로 나오지 않아서 살 수가 없다. 다만 진짜 가지고 싶다면 ebay같은 사이트에서 한화 기준에서 대략 300만원대의 가격과 엄청난 배송비+세금을 감수하고 사야한다.[* 100만원대이면 91년에 발매한다는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좋은 악기라고 생각하는게 좋다. 왜냐하면 같은해에 발매한 [[야마하/SY시리즈|YAMAHA SY99]]은 50만원대이고 후에 발매한 워크 스테이션급 신디사이저인 [[KORG/TRINITY시리즈]], [[KORG/TRITON시리즈]], [[야마하/EX시리즈]], [[Roland/XP시리즈]] 그리고 10년후에 발매한 [[Roland/Fantom시리즈|Fantom]]보다 비싸다. 그리고 발매한지 3년후에 새로운 합성법을 갖쳐진 VL1이랑 가격이 비슷하다. 근데 JD는 신기술? 그런거 없고 게다가 가격이 그렇게 다른 상급자 신디사이저로써는 비싼편도 아닌 30만엔에 이정도 유지한다는것은 상당히 대단한 명기라는 것을 증명한거다.] ==== JD-990(SUPER JD) ==== [[파일:jd990.gif]] JD-800의 2U 사이즈 사운드 모듈. JD-800만큼은 아니지만 인지도가 많은편으로, 한국에서 JD-800보단 비교적 구하기 어렵지 않은 모듈이다. SR-JV80 확장 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슬롯이 1개 있다. === 2010년대 === '''오랫동안 묻혀왔던 JD시리즈의 전설의 귀환'''으로 아날로그 + 디지털 형태의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다.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고, 관심이 적은 한국에서도 적지 않은 인기와 관심을 가져오는 등 혜성같이 나온 신기술과 전설의 귀환 그 자체이다.[* 사실 과장되긴 했지만 다른 신디사이저 항목을 보면 아무리 유명한 명기래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항목이 많다. 근데 여기는 자세히 나온것도 있고 덤으로 코스모스악기 공식대리점에서는 크리스마스때 XI가 품절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 JD-Xi ==== [[파일:Roland JD-Xi.jpg]] 2015년 초에 XA와 함께 공개되면서 한국에서는 2015년 중후반에 발매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두 가지 사운드 엔진 (기판이 두 개) 을 담은 롤랜드 최초의 크로스 오버 신디사이저. 아날로그 회로와 2012년 발매한 플래그십 모듈인 INTEGRA-7의 SuperNATURAL 신디 음원을 탑재하고 있다. 오토피치, 보코더 연주가 가능하는 보컬 기능이 지원되고, 구즈넥 마이크도 포함되어 있다. 디지털 2개, 아날로그 1개 드럼 1개 총 4가지 트랙의 패턴 시퀀서 탑재로 즉석으로 프레이즈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롤랜드에서 무료 패치를 제공하는 [[http://axial.roland.com/|Axial]]에서 최신 패치를 다운로드 해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디사이저+롤랜드에 인지도나 관심이 적은 한국에서 --크리스마스 할인 버프로--매진되는 등 나름 인지도나 인기는 좋은 편이다.[* 한국에서 여러가지 문제로 마이너한 부분이 상당수인 JD-XI가 매진된 경우는 거의 기적에 가깝다. 왜냐하면 롤랜드는 [[KORG]], [[야마하]]에 비해서 인지도가 많이 뒤쳐지고 [[Roland/Fantom시리즈|Fantom]]은 [[야마하/모티프(motif)시리즈|MOTIF]], [[KORG/TRITON시리즈|TRITON]]에 비해서 판매량이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아날로그 계열 신디사이저는 상당히 마이너해서 음악에 크게 관심이 있지 않는 이상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 JD-Xi LIMITED EDITION ==== [[파일:Roland JD-Xi Limited.jpg]] 발매 기념으로 나온 도색한 한정판 모델 레드, 화이트로 나왔다. 그리고 한국에도 발매했는데 역시나 매진이 되어버렸다. ==== [[JD-X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JD-XA)] == 사용 뮤지션 == ※ ㄱ-ㅎ/A-Z 순서로 작성 * [[게리 발로우]] : JD-800 * [[김요한(재즈)|김요한]] : JD-Xi * 닉 로즈([[듀란 듀란]]) : JD-800, JD-Xi, JD-XA[* [[https://m.youtube.com/watch?v=Bkq6a0hHof0|영상]]. ] * [[릭 웨이크먼]]([[예스(밴드)]]) : JD-800[* [[http://2.bp.blogspot.com/-YpUzt1L0lwk/VB2o5baqdBI/AAAAAAAACKI/FTz66U38UUI/s1600/Rick_Wakeman_Cheltenham_JD800.jpg|사진]]을 자세히 보면 보인다.] * [[아사쿠라 다이스케]]([[access]]) : JD-800[* 음악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악기이며 [[access]]때는 스테이지에서는 올리지 않았지만 사실 SY99에서 나오는 피아노 소리도 JD에서 나오는 소리이다. 그 후에도 T.M.Revolution - INVOKE의 현란한 피아노 리프도 여기서 나오는것이고 2000년대 중후반에서도 잘안보이긴 하지만 스테이지에 올려놓고 잘 사용하고 있다.], JD-Xi(엔도씨), JD-XA(엔도씨), JD-Xi LIMETED EDITION(RED) * [[양태경]] : JD-990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JD-990 * [[윤상]] : JD-800[* 2집 Part.1 [[LP]]판 앨범 뒷표지에서 [[http://m1.daumcdn.net/cfile221/R400x0/205F42524D28257C136C97|JD-800]](아래쪽 신디사이저)이 찍혔다.] * [[이종민]]([[장기하와 얼굴들]]) : JD-Xi * [[장 미셸 자르]] : JD-800[* [[Chronologie]]에 신스 사운드는 거의 이 악기와 [[커즈와일 K2000]]으로 만들어 졌다. 이후 2013년 까지 그의 콘서트에선 빠지지 않고 나온 악기이다.], JD-990, JD-XA * [[주윤채|지현수]] : JD-XA[* 롤랜드 엔도씨가 되고 구미에서 배치는 되어있다.] * [[케빈 무어]]([[드림시어터]]) : JD-800 * [[코무로 테츠야]]([[T.M.Network]], [[globe]]) : JD-800[* [[TM NETWORK]]의 마지막 무대인 5.18 Last Goove에서 맹활약하고 마지막을 화려하게 막을 내리기도 하였고 [[globe]] 리즈 시절에도 많이 사용하기도 하였다.], JD-Xi, JD-XA * 토니 뱅크스([[제네시스(밴드)]]) : JD-800[* [[http://img.youtube.com/vi/IxAYj8FCzps/hqdefault.jpg|사진 참조]] ] * [[히라사와 스스무]] : JD-800[* 1991~2년 [[https://pbs.twimg.com/media/CWaWBgfWoAAZeu7.jpg|WIRE SELF 스튜디오]]에서부터 2001년 [[히라사와 스스무#s-6.1|SOLAR LAY 라이브]]까지 JD-800을 사용했다.] == 연주 영상 == [youtube(/yiSmi-84aCg)] JD 800 데모 [youtube(/cYWnwD2lWP4)] Roland 정식 동영상 - 아사쿠라 다이스케[* 후반부가면 솔로엘범에 수록되어있는 음악이 나온다.--Roland GAIA때도 2001년에 수록된곡을 연주하긴 했지만--][* 같이 있는것은 [[Roland/AIRA시리즈|Roland AIRA시리즈]]들이다. AIRA와 호환이 가능한거 같다.] [youtube(7FZjiXldgrc)] JD-Xi 정식 동영상 - 도리안 콘셉트[* [[오스트리아]]의 일렉트로닉 뮤지션] [[분류:Roland]][[분류:신디사이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