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일리 미노그/음반 목록)] ---- ||<-5> [[카일리 미노그#s-4.1|{{{#000000 '''카일리 미노그의 정규 앨범 (발매일순)'''}}}]] || || {{{#FFFFFF '''정규 2집'''}}}[br][[Enjoy Yourself|{{{#!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00BFFF;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Enjoy Yourself'''}}}]][br]{{{-2 {{{#FFFFFF (1989)}}}}}} || {{{+1 →}}} || {{{#B8860B '''정규 3집'''}}}[br][[Rhythm of Lov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B8860B;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Rhythm of Love'''}}}]][br]{{{-2 {{{#B8860B (1990)}}}}}} || {{{+1 →}}} || {{{#FFFFFF '''정규 4집'''}}}[br][[Let's Get to It|{{{#!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87CEEB; font-size: 0.865em; color: #FFFFFF; letter-spacing: -0.2px" '''Let's Get to It'''}}}]][br]{{{-2 {{{#FFFFFF (1991)}}}}}} || ||||
[[카일리 미노그|[[파일:Rhythm of Love - Logo 1600x408.png|width=200]]]] || |||| [[Rhythm of Love|[[파일:RoL - Logo 640x640.png|width=5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R-1491716-1223723749.jpeg.jpg|width=100%]]}}} || ||<:><#fff>'''{{{#000000 발매일}}}'''||<#ffffff>'''1990년 11월 12일'''|| ||<:><#fff>'''{{{#000000 장르}}}'''||<#ffffff>[[댄스 팝]]|| ||<:><#fff>'''{{{#000000 레이블}}}'''||<#ffffff>PWL|| ||<:><#fff>'''{{{#000000 프로듀서}}}'''||<#ffffff>[[스톡 에이트켄 워터맨|Stock Aitken Waterman]], Keith Cohen, Stephen Bray, Michael Jay|| [목차] == 개요 == [[카일리 미노그]]의 세번째 정규 앨범. 이 앨범에서 [[틴 팝]]을 벗어던지고 섹시 컨셉으로 돌아왔으며 'Sex Kylie' 라는 수식어를 얻을 정도로 큰 이미지 변신을 시도한 앨범. == 제작 및 발매 과정 == 21살이 된 카일리는 [[INXS]]의 보컬 마이클 허친스와 교제하기 시작하면서 그녀의 음악 커리어를 송두리째 바꿔놓을 큰 영향를 받게 된다. 마이클은 반항적인 성격의 전형적인 락스타였는데, 이런 마이클에 눈에 전형적인 공장식 아이돌 카일리의 행보는 당연히 답답해보일 수 밖에 없었다. 카일리는 '자신의 일은 자신이 결정할 줄 알아야 한다' 는 마이클의 조언에 동의하게 되며 마음 한켠에 프로듀서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에 대한 반항심을 조금씩 품게 된다. 또한 마이클은 카일리를 [[클럽]]에 데리고 다니며 클럽 문화를 경험시켜주었고 카일리는 '스튜디오54' 로 대표되는 70년대 [[클럽]] 음악에 빠져들었다. 이 시기의 카일리는 내면[* 마이클 허친스의 전기 [[다큐멘터리]] 'Mystify' 를 통해 카일리가 인터뷰한 바에 따르면 '나쁜 남자 마이클과 순수한 소녀 카일리의 만남' 이라는 세간의 인식은 실제로 사실이였으며, 마이클 자체가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고 [[욕구]] 표출이 확실한 편이였기에 카일리 본인 역시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 둘은 약 2년간 사귄 후 1991년 결별하였다.] 뿐 아니라 화장이나 사복 스타일까지 크게 바뀌는 등 보다 섹슈얼한 이미지를 전면에 부각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당연히 음악적인 지향점에도 변화를 주어 카일리는 아이돌에서 벗어나 성숙한 [[댄스 팝]]을 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생각은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도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카일리가 영화 'The Delinquents' 를 촬영하는 동안 섹시 컨셉의 [[댄스]] 앨범의 제작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카일리가 예전같이 프로듀서들의 의견에 마냥 끌려다니기 보다는 '하기 싫은 것은 안한다.' 는 의사 표시를 분명히 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또한 미약하게나마 몇몇 수록곡의 작업에도 조금씩 참여하며 크레딧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 이는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과 작업하는 가수 치곤 극히 드문 경우였다. 전체적인 트랙들 모두 격한 안무와 성숙한 뮤직비디오를 특징으로 한, 당시 카일리가 추구하던 색깔과도 잘 맞았기 때문에 앨범 활동이 매우 만족스러웠고 즐거웠다고 회고한다. 이 앨범의 싱글들 역시 이전 앨범 만큼은 아니지만 차트 상위권 안에 들며 인기를 얻었고 오늘날 [[댄스팝]] [[디스코]]의 여왕으로 불리는 카일리를 만들어준 시초격 앨범이기에 굉장히 의미있는 앨범. 그러나 싱글들의 흥행과 달리 앨범 자체는 부진해서 상업적인 측면에서는 다소 대조적인 평가를 받는다. 이 앨범에 실린 11곡 중 세 곡은 [[스톡 에이트켄 워터맨]]이 아닌 다른 미국의 음악가들과 협업한 결과물이다. 두 개의 초대형 히트 앨범을 낸 후 이미지 변신을 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One Boy Girl' 에서 카일리가 최초로 랩을 선보인 것이 그 예이다. == 트랙리스트 == ||||||<:>
{{{#FFFFFF '''Rhythm of Love'''}}}|| ||<:>{{{#FFFFFF 트랙}}}||<:>{{{#FFFFFF 제목}}}[* 굵은 글씨는 정식 싱글 컷 한 곡.]||<:>{{{#FFFFFF 길이}}}|| ||<:>1||<#fff>'''Better the Devil You Know'''||<:>3:52|| ||<:>2||<#fff>'''Step Back in Time'''||<:>3:05|| ||<:>3||<#fff>'''What Do I Have to Do'''||<:>3:44|| ||<:>4||<#fff>Secrets||<:>4:06|| ||<:>5||<#fff>Always Find The Time||<:>3:36|| ||<:>6||<#fff>The World Still Turns||<:>4:00|| ||<:>7||<#fff>'''Shocked'''||<:>4:48|| ||<:>8||<#fff>One Boy Girl||<:>4:35|| ||<:>9||<#fff>Things Can Only Get Better||<:>3:57|| ||<:>10||<#fff>Count the Days||<:>4:23|| ||<:>11||<#fff>Rhythm of Love||<:>4:13|| ||<:>총길이||<#fff>'''11곡''' ||<:>'''44:28'''|| == 성적 == ||
<:>{{{#white 차트명}}}||{{{#white 피크 순위 (피크 유지 기간/차트 인 기간) }}}|| ||<:><#fff> [[Official Charts|UK Albums]] || '''9위(1주 / 22주 차트 인)''' || ||<:><#fff> [[Australia]] AR1A Albums || '''13위''' || * 영국에서는 최고 순위 9위를 기록하며 전 작들에 비해 말도 안되게 부진했다. 리팩키지까지 발매하는 초강수를 두어 결과적으로 플래티넘 인증을 받는데는 성공하였다. * 호주에서도 최고 순위 13위에 그쳤으나 마찬가지로 리팩키지 버전을 발매해 플래티넘 인증을 받아냈다. == 싱글 == === Better the Devil You Know [[https://youtu.be/tto_nmsND_o|#]] === 1990년 4월 30일 발매된 리드 싱글. 정식 발매전 호주와 아시아를 중심으로 진행했던 콘서트 Enjoy Yourself Tour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섹시 카일리의 시작이 된 곡이며 [[신스팝]]과 [[디스코]] 요소를 차용한 신나는 댄스곡이다. 'better the devil you know' 는 '구관이 명관이다' 라는 뜻의 영어 속담인데, 카일리의 'Neighbours' 하차 이후 떠나간 팬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라고. 영국에서 2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카일리의 이미지 변신이 워낙 파격적이었기 때문에 이 싱글은 카일리의 가수 인생에 기념비적인 곡이 되었다. 동성애자들의 엄청난 지지를 받았으며 한때 [[런던]]의 유명 클럽 G-A-Y에서는 토요일 자정만 되면 이 곡을 틀어주었다. === Step Back in Time [[https://youtu.be/6ykq-E_7TZA|#]] === 1990년 10월 22일 앨범의 두번째 싱글로 발매되었다. 마찬가지로 디스코 음악이며 영국 4위, 호주 5위를 기록하였다. "Remember the old days"/"Remember the O'Jays" 등의 가사를 통해 대놓고 70년대를 모티브로 했음을 드러낸다. 2019년에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의 제목으로 쓰이기도 했다. === What Do I Have to Do [[https://youtu.be/aGxJm_Sy2aw|#]] === 1991년 1월 21일에 발매된 세번째 싱글. 본래 두번째 싱글로 발매될 계획이었다가 세번째 싱글이 되었다. 앨범에 실린 곡과 다르게 리믹스되어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전 싱글들에 비해 차트 상으로는 큰 히트를 치지 못했다. 영국 6위, 호주 11위. 이 곡의 뮤직비디오에 당시 영국에서 신인으로 데뷔한 동생 '대니 미노그' 가 카메오로 출연하여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단순히 노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변신을 통해 패션 아이콘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첫 비디오였다. === Shocked [[https://youtu.be/cwYB-DVS27k|#]] === 1991년 5월 20일에 발매된 네번째 싱글. 전작 'What Do I Have To Do' 의 싱글 리믹스가 앨범 버젼과 궤를 같이 하는 댄스뮤직의 틀을 유지했던 반면, 이 곡의 싱글 리믹스는 앨범 버전과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이다. 앨범 버전은 매우 강력한 기타 리듬에 날카로움이 강조되었던 반면, 싱글 버전은 당시 유행하던 하우스 뮤직으로 명성을 날리던 DNA가 래퍼 Jazzy-P의 도움을 받아 차분하고 서늘한 느낌이 나는 음악으로 탈바꿈시켰다. 뮤직비디오와 싱글 커버들이 [[프랑스 파리]]에서 촬영되었다. [[영국]] 6위, [[호주]] 7위. 카일리가 이 노래를 공연할 때에는 언제나 싱글 버전을 랩과 함께 불렀다. [[분류:카일리 미노그]][[분류:카일리 미노그/음반]][[분류:1990년 음반]][[분류:오스트레일리아의 팝 음반]][[분류:댄스 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