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Rh null.jpg]] [목차] == 개요 == ||<-2>[youtube(6pKaG15F408)] || [youtube(T0v1SrL70Jg)] || ||<-2> [[파일:신박과학.png|width=20]][[신박과학]] || [[파일:과학드림.jpg|width=20]][[과학드림]] || 희귀 [[Rh식 혈액형]]의 일종. == 원인 == Rh식 혈액형을 결정하는 항원은 C, c, D, E, e[* 이들 중 C와 c, E와 e는 대립 유전자로 결정된다.]를 비롯하여 50개가 넘는데, Rh null은 염기서열의 변이로 인해 이 [[항원]]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확률 상 '''6,800만 분의 1'''일 정도로 굉장히 희귀하며 [[2022년]] 기준 전 세계에서 공식적으로 확인된 인원은 총 '''43명''' 뿐이다. == 발견 == 1961년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여성에게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는 총 6명이 확인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Rh null 혈액형 보유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 특징 == 이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은 항원이 존재하지 않아 [[http://www.ncbi.nlm.nih.gov/pubmed/10895258|적혈구 막의 구조가 약한 편]]이라 [[http://www.jpma.org.pk/full_article_text.php?article_id=2399|용해성 빈혈]]이나 [[http://www.ncbi.nlm.nih.gov/pubmed/6324926|대구성 빈혈]]을 앓는다고 한다. 그래서 현재까지 발견된 Rh null 혈액형 보유자는 상당수가 [[빈혈]]로 먼저 진단을 받은 뒤 혈액형 검사를 받으면서 발견되었다. 이 혈액형은 항원이 없어 모든 Rh식 혈액형에게 [[헌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황금의 피라는 별명이 있다. 그러나 빈혈 문제 때문에 Rh null 혈액형을 가진 사람 중 헌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2010년 기준으로 [[http://www.bloodbook.com/rare-chart.html|9명]], 2014년 기준으로 6명뿐이다. 43명 중 9명만이 적극적으로 헌혈하는 이유도 빈혈로 인해 본인 몸을 건사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대형병원 [[혈액은행]]에서는 그래도 재고가 유지되는 Rh-형과도 비교가 불가능한 수준이며, 자가 냉동 수혈은 필수적이다. 모든 혈액형에 공혈이 가능한 황금의 피라고는 하지만, 연구용으로 쓰기에도 너무 적고 무엇보다 Rh null끼리 최우선적으로 수혈을 해 줘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혈에는 전혀 쓰이지 않는다. 반대로 수혈을 받을 때는 오직 Rh null 혈액만 수혈받을 수 있는데다가 ABO 혈액형까지 동일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실상 거의 타인 수혈을 받을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특히 Rh null AB형일 경우, '''해당 혈액형을 가진 사람이 전 세계에 2명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혈액형은 염기서열의 변이로 생기기 때문에 유전되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희귀 혈액형, version=477)] [[분류:혈액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