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DJMAX 시리즈의 작품, rd1=DJMAX RESPECT, other2=부산광역시 교육청이 올린 동영상, rd2=존중합시다\, 리스펙!, other3=가수 안신애의 싱글, rd3=Respect(안신애))] || '''Respect의 주요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0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1 ~ 30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5, 연도=2010, 순위2=1, 연도2=20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위 ~ 30위))]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226)]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 ||
<-5><#000000> '''{{{#FFFFFF [[Otis Redding]]의 싱글}}}''' || || "[[I've Been Loving You Too Long]]"[br](1965) ||<|2> → || '''Respect'''[br](1965) ||<|2> → || "Just One More Day"[br](1965) || ||<-2> '''{{{+1 Respec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EgKSj1VHZ0, width=100%, height=250)]}}} || || '''수록 음반''' ||[[Otis Blue/Otis Redding Sings Soul]] || || '''아티스트''' ||[[오티스 레딩]] || || '''B-사이드''' ||"Ole Man Trouble" || || '''발매일''' ||1965년 여름 || || '''녹음 기간''' ||1965년 || || '''장르''' ||[[소울 음악|소울]] || || '''길이''' ||2:05 || || '''작사/작곡''' ||[[오티스 레딩]] || || '''프로듀서''' ||스티브 크로퍼 || || '''레이블''' ||볼트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pect.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티스 레딩]]이 부른 곡. [[아레사 프랭클린]]이 커버한 버전이 유명하다. [[1965년]] 발표된 [[오티스 레딩]]의 싱글. [[Otis Blue/Otis Redding Sings Soul]] 앨범에 수록되었다.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4위, [[빌보드 핫 100]]에서 35위를 기록했다. == [[아레사 프랭클린]]의 1967년 커버 버전 == ||
<-5><#000000> '''{{{#FFFFFF [[Aretha Franklin]]의 싱글}}}''' || ||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br](1967) ||<|2> → || '''Respect'''[br](1967) ||<|2> → || "[[Baby I Love You]]"[br](1967) || ||<-2> '''{{{+1 Respec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UWUHaUJfhSo, width=100%, height=250)]}}} || || '''수록 음반'''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 || '''아티스트''' ||[[아레사 프랭클린]] || || '''B-사이드''' ||"Dr. Feelgood" || || '''발매일''' ||1967년 4월 29일 || || '''녹음 기간''' ||1967년 2월 14일 || || '''녹음실'''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애틀랜틱 스튜디오 || || '''장르''' ||[[소울 음악|소울]], [[R&B]] || || '''길이''' ||2:29 || || '''작사/작곡''' ||[[오티스 레딩]] || || '''프로듀서''' ||제리 웩슬러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애틀랜틱]]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espect_Aretha_Franklin.jpg|width=100%]]}}} ||}}}}}}}}} || [clearfix] === 개요 === [[아레사 프랭클린]]의 싱글이며 그녀의 10집 앨범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의 두번째 싱글로 1967년 4월 29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1967년 싱글로 발표된 [[소울 음악]]의 여왕 [[아레사 프랭클린]]의 버전은 [[빌보드 핫 100]]에서 1위를 기록하였으며, 아레사의 대표곡이 되었으며,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 수많은 히트곡을 갖고 있는 아레사 프랭클린이지만,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이 곡을 아레사의 대표곡으로 뽑는다. 아레사 프랭클린 버전은 당시 막 시작되던 [[페미니즘]]과,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Black Power Movement(흑인 자부심 고취 운동)]]에 대한 내용들을 모두 담고 있다. 아레사 프랭클린 본인이 "흑인 여자"라는 점에서, 이 두 운동을 모두 지지했다. 당시로서는 아주 파격적인 곡이었는데, 페미니즘적인 사상이 들어가 있는 최초의 노래 중 하나이며, 백인들에 영합되려고 했던 [[모타운]]과는 다르게 당시 [[미국 흑인]]들의 사회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원곡인 [[오티스 레딩]]의 버전과는 확연히 다른 내용을 담고 있다.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67년 5월 셋째 주부터 7월 둘째 주까지 8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67년 6월 첫째 주부터 둘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67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서 1위, [[1967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13위에 올랐다. == 가사 == || (oo) What you want (oo) Baby, I got (oo) What you need (oo) Do you know I got it? (oo) All I'm askin' (oo) Is for a little respect when you come home (just a little bit) Hey baby (just a little bit) when you get home (just a little bit) mister (just a little bit) I ain't gonna do you wrong while you're gone Ain't gonna do you wrong (oo) 'cause I don't wanna (oo) All I'm askin' (oo) Is for a little respect when you come home (just a little bit) Baby (just a little bit) when you get home (just a little bit) Yeah (just a little bit) I'm about to give you all of my money And all I'm askin' in return, honey Is to give me my propers When you get home (just a, just a, just a, just a) Yeah baby (just a, just a, just a, just a) When you get home (just a little bit) Yeah (just a little bit) [instrumental break] Ooo, your kisses (oo) Sweeter than honey (oo) And guess what? (oo) So is my money (oo) All I want you to do (oo) for me Is give it to me when you get home (re, re, re ,re) Yeah baby (re, re, re ,re) Whip it to me (respect, just a little bit) When you get home, now (just a little bit) R-E-S-P-E-C-T Find out what it means to me R-E-S-P-E-C-T Take care, TCB Oh (sock it to me, sock it to me, sock it to me, sock it to me) A little respect (sock it to me, sock it to me, sock it to me, sock it to me) Whoa, babe (just a little bit) A little respect (just a little bit) I get tired (just a little bit) Keep on tryin' (just a little bit) You're runnin' out of foolin' (just a little bit) And I ain't lyin' (just a little bit) (re, re, re, re) 'spect When you come home (re, re, re ,re) Or you might walk in (respect, just a little bit) And find out I'm gone (just a little bit) I got to have (just a little bit) A little respect (just a little bit) || [[분류:오티스 레딩]][[분류:빌보드 R&B 차트 4위 노래]][[분류:1965년 노래]][[분류:1965년 싱글]][[분류:소울 음악]][[분류:아레사 프랭클린 노래]][[분류:1967년 노래]][[분류:1967년 싱글]][[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R&B]][[분류:민중가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